•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82건 처리시간 0.032초

곰팡이 유지 생산에 관한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Lipid Production by Moulds)

  • 손병효;정태명;김용균;최상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2-258
    • /
    • 1985
  •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Aspergillus fumigatus, Penicillium notatum 및 Penicillium spinulosum의 곰팡이를 배양 온도 및 배양 기간을 달리하여 배양하고 이들 곰팡이가 생산한 지질량과 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곰팡이에 의해 생성된 최대 지질량은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가 17.8%. Aspergillus fumigatus가 31 %. Penicillium notatum이 12.6% 그리고 Pen. spinulosum이 17.5%였다. 이들 균주가 생산한 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였으며 Asp. niger var. macrosporus와 Asp. fumigatus는 전체 배양 기간 동안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P. nota turn과 P. spinulosum은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지질의 불포화도는 Penicillium속이 Aspergillus속보다 높았다. 한편 지방산 조성은 배양온도에 따라 변화를 보였으나 대부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Aspergillus fumigatus와 Penicillium notatum에서 저온 일수록 linoleic acid와 불포화도가 높아졌다.

  • PDF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분획별지질(分劃別脂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ach Fraction of Sesame Oil)

  • 최상도;양민석;조무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2
    • /
    • 1984
  • 1) 분획별(分劃別) 지질중(脂質中) triglyceride가 $73.4{\sim}77.2%$로 가장 높았고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았다.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다.

  • PDF

한국산 식용버섯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edible mushrooms)

  • 안장수;이규한
    • 환경위생공학
    • /
    • 제2권3호
    • /
    • pp.7-11
    • /
    • 1987
  • 한국산 식용버섯 7종(양송이, 송이, 표고, 느타리 , 싸리 . 능이 , 밤버섯)에 대한 지방산 조성을 GC로서 비교 분석하였다. 1) 모든 버섯의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71.33-35.53\%)$, oleic acid$(39.69-158\%)$, Palmitic acid $(22.51-7.31\%)$이었다. 2) linoleic acid의 함량은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및 표고버섯에서 가장 높았으나 이들 버섯의 oleic acid의 함량은 바른 버섯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3) myristic acid는 일반적인 지질보다 약간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 PDF

Curdlan 복합 가식성 필름의 제조와 물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urdlan Composite Edible Films)

  • 한윤정;노희진;김석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8-163
    • /
    • 2007
  • 본 연구는 curdlan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물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low set 방식과 high set 방식 중 적절한 방식을 선정하였고, 순차적으로 AMG나 oleic acid 중에서 적절한 방습소재를 선정하였으며, PB와 PIB 중에서 적절한 물성개량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igh set 필름이 low set 필름보다 신장율은 다소 작지만 인장강도가 높고 수증기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curdlan 복합필름 제조에는 high set 방법이 더 적합하며 이때 PEG는 2.0g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oleic acid 첨가군이 AMG 첨가군보다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더 크고, 수증기투과도는 더 낮은 편이며 특히 oleic acid 0.3g 첨가한 경우 신장율과 수증기 차단성 면에서 유리하므로 방습소재로서 oleic acid를 0.3g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을 판단하였다. PIB 첨가군이나 PB 첨가군 모두 인장강도와 수증기투과도는 비슷하나 신장율의 경우는 PIB 첨가군이 PB 첨가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유연성과 관련된 물성개량 측면에서는 PIB 첨가가 더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종합적으로 curdlan에 가소제 PEG와 방습소재 oleic acid와 물성개량제 PIB를 첨가하는 것이 유연성과 관련된 물성 면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녹차 추출물이 흰쥐 소장세포의 지방 에스테르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Intestinal Mucosal Esterification of $^{14}C$-Oleic Acid in Rats)

  • 서윤정;노상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0-455
    • /
    • 2008
  • 이 실험은 녹차추출물이 흰쥐 소장mucosa에서 $^{14}C$-oleic acid의 에스테르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먼저, olive oil을 구강으로 강제 투여했을 때, 1시간 그리고 5시간 후에, 녹차 성분의 변수에 의해서 소장 mucosa 내에 축적된 중성지방이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소장세포 내에서 녹차 성분에 의해서 각종 지방으로 $^{14}C$-oleic acid의 분배비율이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된 micelle 용액은 $200.0\;{\mu}Ci$ $^{14}C$-oleic acid, $200.1\;{\mu}mol$ oleic acid, $200.1\;{\mu}mol$ 2-monooleoylglycerol, $66.7\;{\mu}mol$ palmitoyl-sn-glycero-3-phosphocholine, 2.2 mmol glucose, $50.0\;{\mu}mol$ albumin, 그리고 16.5 mmol Na-taurocholate per L of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6.3)를 기본으로 하며, 실험군의 micelle 용액은 녹차추출물 분말(green tea extract powder)이 8.87 g/L의 농도로 추가되었다. Ligament of Treitz 부위 에 연결된 소장 부위의 양 끝을 살균 처리된 suture silk(4-0 Silk)로 느슨하게 매듭처리 한 후, $800.0\;{\mu}L$ micelle 용액을 매듭 처리된 소장의 윗매듭 속으로 주입하여, 장기 및 부속기관을 원위치시켰다. 10분 후에, cervical dislocation 방법으로 희생시킨 후 매듭된 소장 부위를 꺼내어 장내용물(luminal content)의 잔존 $^{14}C$-oleic acid를 측정하였다. 획득된 소장 벽에서 각종 지방으로 $^{14}C$-oleic acid의 분배율을 측정하였다. 소장 mucosa에서 총지방량은 녹차추출물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이중 중성지방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소장 벽에서 각종지방으로 $^{14}C$-oleic acid의 분배율은 녹차추출물에 의해서, 중성지방과 인지질 분획에서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이 실험은, 이전 동물실험들에서 누차 보고되었던, 녹차추출물에 의한 소장 지방 흡수 억제 현상은 $^{14}C$-oleic acid의 에스테르화 비율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저장중 율무가루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in Raw and Processed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7-705
    • /
    • 1989
  • 생 율무가루와 가공(침지, 증자, 건조)된 율무가루를 $5^{\circ}C$$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지방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획분별 지방질의 주요지방산은 oleic, linoleic, palmitic acid였으며, stearic 및 linolenic acid도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linoleic acid의 조성비는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oleic 및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증가하였으나, $5^{\circ}C$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생 율무가루가 가공된 율무가루보다도 더욱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TG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중성지방질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유리지방산은 $3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5^{\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oleic acid를 많이 함유한 반면, linoleic acid를 적게 함유하였으며 이러한 현장은 생 시료에서 더 현저하였다.

  • PDF

유화공정에 의한 글리코시드 지방산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Glycoside Fatty Acid Polyester Synthesis by Emulsion Process)

  • 김혜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4
    • /
    • 2002
  • Methyl glycoside oleic acid polyester was successfully prepared from methyl glycosides and methyl oleate by emulsion interesterification in the presence of methyl fructoside oleic acid polyester as an emulsifier. Emulsion interesterification process was optimized to obtain 98% yield of methyl glycoside polyester within $3{\sim}5hr$ at temperatures as relatively low as $90{\sim}150^{\circ}C$ and $20{\sim}200mmHg$ pressure with a five-fold molar ratio of oleic acid methyl ester to methyl glycoside in the presence of 2(w/w)% potassium carbonate and 2O(v/v)% methyl fructoside polyester based on oleic acid methyl ester.

Fatty Acid Profiles, Meat Quality, and Sensory Palatability of Grain-fed and Grass-fed Beef from Hanwoo, American, and Australian Crossbred Cattle

  • Hwang, Young-Hwa;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3-161
    • /
    • 2017
  • Fatty acid profiles in relation to meat quality traits and sensory palatability of grain-fed and grass-fed beef from Hanwoo, American, and Australian crossbred cattl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p<0.001) differences in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between grain-fed and grass-fed beef. Grain-fed Hanwoo had significantly (p<0.001) lower saturated fatty acid (SFA) proportion but high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proportion compared to grass-fed cattle. The proportion of oleic acid in grain-fed Hanwoo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in grass-fed Hanwoo, Australian crossbred, or American crossbred cattle. Grain-fed Hanwoo had significantly (p<0.001) lower percentages of drip loss and cooking loss compared to other cattle. Overall palatability panel scores of grain-fed cattle were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ose of grass-fed cattle. Consequently, sensory overall palat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portions of S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portion of MUFA.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oleic acid was strong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 content (r=0.91, p<0.001) and overall palatability (r=0.92, p<0.001). These results implied that high-concentrate grain-fed could increase intramuscular fat (IMF) content and the proportion of oleic acid, thus increasing the sensory palatability of Hanwoo beef.

호두(Juglans nigra)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from γ-ray irradiated walnut (Juglans nigra))

  • 노은영;최지연;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9-865
    • /
    • 2014
  • 본 연구는 호두를 대상으로 감마선을 1-10 kGy 선량으로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통해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였다. 지방은 soxhlet방법으로 n-hexa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고 florisil이 충진된 column으로 분리하여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GC/MS)로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호두에서 검출된 주요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8,11-Heptadecadiene, 1,7,10-Hexadecatriene이었고, 검출된 주요 2-alkylcyclobutanone류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에서 유도된 2-(5',8'-tetradecadienyl)cyclobutanone(5',8'-TCB), 2-(5'-tetradecenyl) cyclobutanone(TECB)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호두에서 생성된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생성량은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은 1 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만 나타났으며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oleic acid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 8,11-Heptadecadiene 및 1,7,10-Hexadecatriene, 2-alkylcyclobutanone류 중 5',8'-TCB 및 TECB는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을 위한 marker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태의 가열시간 및 냉동저장에 따른 지방산 조성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hank During Heating Time and Frozen Storage)

  • 김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5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of the lipid content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hank during heating time and frozen storage.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raw shank were about 3.57% and decreased stepwise during heating time 30, 60, 90 min and frozen storage(24hrs) The contents of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ere 70.71%, 6.36%, and 22.93% in raw shank, and neutral lipid contents were decreased, whereas Phospholipid conten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heating tide. In frozen storage, neutral lipid and glycolipid contents were increased, while phospholipid contents were decreased. 2. Lipids of shank possessed about 8 kinds of fatty acid as the constituent by gas-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The main fatty acid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stearic acid and linoleic acid: the fatty acids of total lipids in raw shank were 43.48% of oleic acid, 23.13% of palmitic acid,12.00% of stearic acid and 6.75% of linoleic acid. Also the fatty acids were 43.32% of oleic acid, 23.26% of palmitic acid, 9.30% of stearic acid 2.15% of linoleic acid in neutral lipid, 22.63% of oleic acid, 8.44% of palmitic acid, 11.98% of stearic acid, 27.01% of linoleic acidin glycolipid, 39.38% of oleic acid, 15.89% of palmitic acid, 15.55% of stearic acid, 17.49% of linoleic acid in phospholipid. 3. The fatty acid pattern of total lipid,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as not any changes, wherea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tty acid content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of total lipid were decreased in the 30 min and 60 min heating but increased in 90min heating, and linoleic acid of neutral lipid was increased stepwise during heating time and frozen storage. Also palmiict acid of glycolipid was increased gradually and linoleic acid in heating time 30, 60 min was higher than 90 min and frozen storage. Among fatty acids in phoapholipid, oleic acid was increased during heating time, while decreased in frozen storage, and linoleic acid was not any change but linolanic acid was increased. UFA/SFA of phospholipid was the highest when heating time was 60 min. From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n heating time was 60 min beneficial nutritionally, comparing with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heating time aid frozen stor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