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83건 처리시간 0.029초

유기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eding Organic Feed on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전병수;송준익;전중환;곽정훈;장선식;권응기;조영무;조원모;최희철;박규현;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1-90
    • /
    • 2008
  • 본 연구는 유기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 특성을 구명하고자 거세한우 30두에 대한 사양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세한우에 대한 유기 조사료 및 농후사료 급여 시 관행구에 비해 유기구의 발육성적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양시험 종료 체중이 유기구의 T1 및 T2의 581.5kg 및 573.3kg으로 관행 597.5kg에 비해 $2.7{\sim}4.1%$ 감소하였다. 2.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유기구인 T1 및 T2의 0.80 및 0.78kg에 비해 관행구는 0.83kg으로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일당증체량이 $3.6{\sim}6.0%$ 감소되었다. 3. 도체등급에 있어서 1등급이상 출현율은 관행구 T1이 50%이었고 유기구인 T2 및 T3이 각각 50% 및 70%이었다. 4. 등심부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 연도, 향미는 관행과 유기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건초 및 유기 옥수수사일리지 위주의 양질 조사료 사육과 볏짚 위주의 일반 관행사육 간에 성장 및 도체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질 조사료를 급여한 유기구에서 근내지방도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 고유의 품종을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유채 개발 (Development of herbicide-tolerant Korean rapeseed (Brassica napus L.) cultivars)

  • 김효진;이혜진;고영삼;노경희;이영화;장영석;서미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319-326
    • /
    • 2010
  •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재생 가능한 식물자원으로부터 바이오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바이오디젤의 원료로 사용 되기 적합한 형질전환이 된 유채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로 한국 고유 유채 품종을 이용한 형질전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내한, 영산, 탐미, 한라 유채의 종자를 분양 받아 지방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자의 약 32-40% 식물성 오일이 포함되어 있었고, 그 중 올레인산의 함량은 60mole%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오일 함량 및 올레인산 함량이 높고,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높은 한라 유채품종이 그리고 $\beta$-glucuronidase (GUS)와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PAT) 유전자가 포함된 pCAM-BIA3301 벡터가 도입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GV3101균주가 형질전환에 사용되었다. 형질전환이 된 유채 식물체는 제초제에 대한 내성, PCR을 이용한 PAT 유전자의 도입 여부 및 GUS 활성 분석을 통하여 선별하였다. 그 결과 한라 유채의 경우, 10. 4% 형질전환 효율을 보였고, 제초제 저항성이 다음 세대 ($T_1$ 식물체)로 안정되게 유전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될 다양한 유채 품종에 교배를 통해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흰쥐 모델에서 Capsaicin이 소장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teral Capsaicin on the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Fats in Rats)

  • 서윤정;김주연;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12-1717
    • /
    • 2009
  • 본 연구는 capsaicin 투여가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지방의 소장 흡수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지방의 소장 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흰쥐 소장 지방 흡수율 측정모델을 이용하여, 쥐의 십이지장으로 capsaicin이 포함된 지질유화액을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주 입하면서 8시간 동안 림프관으로 분비되는 14C-cholesterol, α-tocopherol, 지방산을 분석하여 capsaicin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8시간 동안 분비된 림프액의 양은 대조군과 capsaicin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α-tocopherol의 흡수율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총 8시간 그리고 시간대별 14C-cholesterol 흡수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apsaicin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중성지방의 흡수율의 비교에서도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돈산, DHA의 흡수율은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유화액을 통해 주입한 올레인산의 흡수율에서는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capsaicin의 응용성은 비만 치료 및 지방대사 조절과 관련해 특히, 소장 지방 흡수대사에 치중한 식이적인 수단의 근거로써 활용이 기대된다.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소장과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한 흰가루병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Small Type Watermelon and Effect of Organic Materials on Powdery Mildew Control)

  • 한종우;정택구;김영상;김태일;노솔지;김익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19-429
    • /
    • 2017
  • 본 연구는 소과종 수박의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고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병 들 중의 하나인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한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충북 음성에서 소과종 수박에 발생하는 병해충 조사 결과 덩굴마름병, 흰가루병,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총채벌레류,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 일반수박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대부분의 병해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흰가루병은 6월 중순에 품종별로 27~99.3%의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점박이응애는 6월 중순에 품종별로 엽당 마릿수가 79.9~111마리로 높은 발생을 보였다. 또한, 총채벌레류는 6월 중순과 상순에 황색과 청색 평판점착트랩 각각에 트랩당 407마리와 774마리로 높은 유살수를 나타냈다. 포장에서 마요네즈와 올레산 그리고 현재 시판 중인 유기농업자재 3종에 대한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 마요네즈 그리고 대황추출물 1%가 함유된 자재가 60% 이상까지 효과적으로 병 발생을 감소시켰으며, 이중 sodium bicarbonate 80%가 함유된 자재가 83%로 가장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소과종에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정보와 sodium bicarbonate 80% 함유 자재가 흰가루병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 및 탄수화물 흡수억제 메커니즘을 활용한 비만 개선 식이 연구 (A Study on Dietary Supplement to Reduce Obesity by the Mechanism of Decreasing Lipid and Carbohydrate Absorption)

  • 김석기;안국환;윤승원;이영춘;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9-52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게 적합한 비만 개선책을 찾고자 지방 흡수억제 기천뿐만 아니라 과잉의 탄수화물 흡수억제가 함께 작용하는 분화억제에 대한 지방흡수 억제 물질과 율무 열수에서 ${\alpha}$-amylase 활성 저해에 대한 탄수화물 흡수 억제물질이 첨가된 비만 개선 식이조성물이 동물 실험 시 체중 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호박의 열수 추출물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췌장 lipase 활성 저해를 확인하였으며, 호박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농축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C-18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 저해 물질을 분리하였다. 또한 율무 열수는 chloroform으로 추출하여 호박 열수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하여 ${\alpha}$-amylase 활성 저해를 확인하였다. 3T3-L1 분화억제 확인 실험에서는 3T3-L1에 분화 유도물질만 처리한 경우 지방 세포로 분화되어 세포내에 지방축적이 일어났지만, 분화 유도물질과 호박 추출물을 동시처리 결과 지방 세포로의 분화가 호박 추출물 $120\;{\mu}g/mL$ 처리 시약 5% 이하로 일어났으며, 세포내에 지방축적도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동물실험에서 고지방 식이와 비만개선용 식이조성물을 동시에 섭취한 군의 체중 증가가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군보다 13% 정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만개선용 식이 조성물을 8주간 경구 투여한 뒤 간 기능 지표와 혈액학적 지표 및 흰쥐의 행동학적 소견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비만개선용 식이조성물이 경구 투여에 의한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호박의 췌장 lipase 활성 저해물질과 율무의 ${\alpha}$-amylase 활성 저해물질을 첨가한 비만개선용 식이조성물이 동물 실험에서 체중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비만 환자들의 다이어트 식이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험적으로 유발된 급성 췌장염 견에서 컬러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한 전방 십이지장 동맥 혈류의 혈역학적 변화에 대한 평가 (Use of the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the Hemodynamic Changes of the Cranial Pancreaticoduodenal Arterial Flow in Experimentally Induced Acute Pancreatitis Dogs)

  • 이해운;엄기동;성윤상;이정민;이종원;이근우;김명철;김두;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340
    • /
    • 2003
  • For the study of the hemodynamic changes of the cranial pancreaticoduodenal arterial flow(cPDAF) in the dog with acute pancreatitis, acute pancreatitis was experimentally induced in 10 dogs by the injection of oleic acid into the accessory pancreatic duct. The parameters of cPDAF were measured by transcutaneous pulsed-wave Doppler ultrasonography. The hemodynamic changes included resistive indexe(RI), pulsatility index(PI) and maximum velocity (Vmax). Ultrasonographic scans were performed before the induction of pancreatitis and once daily for five days after the induction. The RI, PI and Vmax were increased with day as follows; the RI prior to induction was 0.625$\pm$0.096 (mean$\pm$SD), the PI was 1.117$\pm$0.289 and the Vmax was 0.349$\pm$0.094 m/s. After five days, the RI was 0.727$\pm$0.051 (p<0.0l), the PI was 1.480$\pm$0.284 (p<0.0l) and the Vmax was 0.585:$\pm$0.114 m/s (p<0.00l).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some 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of the RI, PI and Vmax of cPDAF and the progress of acute pancreatitis in dogs. Therefore, the measurements of the hemodynamic changes of cPDAF may be a valuable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acute pancreatitis in dogs.

의학적 응용을 위한 생체 고분자로 피복 된 자성 나노 입자와 미소구체의 제조 (Preparation of Biopolymer coated Magnetite And Magnetic Biopolymer Microsphere Particles for Medical Application)

  • 고상길;조준희;안양규;송기창;최은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1-227
    • /
    • 2006
  • 균일한 마그나타이트 나노 입자를 합성하기 위해 음향화학법을 이용한 공침 기술을 적용해 합성 하였다.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고 응집을 막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올레인산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합성한 마그네타이트 나노입자를 의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나노 입자의 표면을 개질하고 자성 미소구체를 제조 하였다. 마그네타이트 입자의 표면 개질과 자성 미소 구체를 제조하기 위해 저독성, 생분해성, 생체 친화성의 특징을 갖고 있는 키토산과 $\beta$-글루칸을 사용하였다. 생체 고분자로 마그네타이트 나노 입자를 피복하기 위해 묽은 초산 용액을 이용하여 키토산을 용해하고 $\beta$-글루칸은 묽은 수산화나트륨에 용해하여 사용 하였다.나노 입자의 피복은 자성유체를 초음파를 가해주면서 용해시킨 각각의 생체 고분자 용액을 서서히 가하여 나노 입자를 피복하였다. 자성 미소구체는 2 % 키토산과 5 %의 $\beta$-글루칸 수용액을 이용해 제조 하였다. 마그네타이트를 생체 고분자에 분산 시켜 주기 위해 콜로이드 상으로 제조 하고 초음파를 조사 해주어 분무 장치를 통해 미소 구체를 제조하였다. SQUID(SuperconductingQuantum Interference Device)를 측정한 결과 피복한 나노 입자와 미소구체에서 모두 초상자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측정 결과 MRI 조영제와 색전 물질로서 사용하기 적합 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가용화 및 연질캅셀제로의 설계 (Solubilization and Fomulation as Soft Gelatine Capsule of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박기배;정채경;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1호
    • /
    • pp.1-11
    • /
    • 1996
  •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PMC),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hepatitis, is insoluble in water, therefore it has low bioavailability after oral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dissolution rate of PMC, the physical mixtures and inclusion complexes of PMC and $dimethyl-{\beta}-cyclodextrin\;(DM\;{\beta}CD)\;or\;hydroxypropyl-{\beta}-cyclodextrin\;(HP{\beta}CD)$ in molar ratio of 1 : 1 and 1 : 2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Mixed micelles of PMC were prepared by reacting PMC with bile salts [sodium cholate(NaC), sodium glycocholate (NaGC)] and oleic acid (OA) or palmitoylcarnitine chloride(PCC). Chloroform/water partition coefficient (PC) of PMC was 36.14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GJ) and 33.47 in artificial intestinal juice (AIJ),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ctanol/water PC was 63.36. PMC formulation was prepared by reacting PMC with PEG400-glycerin system(95 : 5, 90 : 10, respectively) and PEG400-PEG4000-glycerin system (70 : 25 : 5, 65 : 25 : 10, respectively).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in AGJ and AIJ by paddle method at $37{\pm}0.5^{\circ}C$. The dissolution rates of PMC tablets on the market were 5.74% and 8.26% at AGJ and AIJ, respectively and marketed PMC capsules were 22.14% and 28.64% at AGJ and AIJ, respectively. The dissolution rates of inclusion complexes of PMC with $DM{\beta}CD$ and $HP{\beta}CD$ in a molar ratio of 1 : 1 were more fast than those of corresponding physical mixtures. The decreasing order of dissolution rates was as follows;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 PMC-PEG400-glycerin formulation > mixed micelles > CD inclusion complexes. The dissolution rates of PMC-PEG400-glycerin and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were most fast and the percentage of dissolution was almost 100% within 20 minutes. And their dissolution rates after 120 minutes were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capsules on the market (4.0-fold and 3.2-fold in PMC-PEG400-glycerin formulation at AGJ and AIJ, respectively, and 4.8-fold and 3.7-fold in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at AGJ and AIJ, respectively).

  • PDF

어성초 분말을 급여한 돼지 등심의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의 변화 (Feeding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on the Quality Property of Pork Loin at Chilled Storage)

  • 강민정;이준열;신정혜;최선영;이수정;양승미;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2-227
    • /
    • 2007
  • 어성초 분말을 사료에 0%, 5% 및 10% 첨가하여 12주간 사육한 돼지 등심의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어성초의 일반성분은 조섬유가 $56.8{\pm}2.6%$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C18:1)의 비율이 29.6%로 가장 높았다. 각 실험군의 관능평가 결과 어성초 분말 5% 첨가군이 연도와 누린내에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돈육 등심을 23일간 냉장 보관하면서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10% 어성초 분말 첨가 급이군에서 다소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어성초 분말 첨가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pH는 실험군간 및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육색 중 L값과 a값은 저장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b값은 저장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이후에는 그 변화가 미미하였다. 전단가는 저장 2일에서 9일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급격한 연도의 저하는 없었다.

Novel Glycolipoproteins from Ginseng

  • Pyo, Mi-Kyung;Choi, Sun-Hye;Hwang, Sung-Hee;Shin, Tae-Joon;Lee, Byung-Hwan;Lee, Sang-Mok;Lim, Yoong-Ho;Kim, Dong-Hyun;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92-103
    • /
    • 2011
  • Ginseng has been used as a general tonic agent to invigorate human body.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novel glycolipoproteins from ginseng that activate $Ca^{2+}$-activated $Cl^-$ channel (CaCC) in Xenopus oocytes and transiently increase intracellular free $Ca^{2+}$ concentration ($[Ca^{2+}]_i$) in mouse Ehrlich ascites tumor cells. We named the active ingredients as gintonin. Gintonin exists in at least six different forms. The native molecular weight of gintonin is about 67 kDa but its apparent molecular weight is about 13 kDa, indicating that gintonin might be a pentamer. Gintonin is rich in hydrophobic amino acids. Its main carbohydrates are glucose and glucosamine. Its lipid components are linoleic, palmitic, oleic, and stearic acids. Gintonin actions were blocked by U73122, a phospholipase C inhibitor, 2-aminoethxydiphenyl borate, an inositol 1,4,5-trisphosphate receptor antagonist, or bis (o-aminophenoxy) ethane-N,N,N0,N0-tetracetic acid acetoxymethyl ester, a membrane permeable $Ca^{2+}$ chelator. In the present study, we for the first time isolated novel gintonin and showed the signaling pathways on gintonin-mediated CaCC activations and transient increase of $[Ca^{2+}]_i$. Since $[Ca^{2+}]_i$ as a second messenger plays a pivotal role in the regulation of diverse $Ca^{2+}$-dependent intracellular signal pathways, gintonin-mediated regulations of $[Ca^{2+}]_i$ might contribute to biological actions of gins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