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이 장애노인의 삶의 질 궤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quality of life trajectory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전해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7-107
    • /
    • 2015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 of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NLCI) on the quality of life(QoL) trajectory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more positive than its influence on those without disabilities. Methods: Sample consisted of 5,362 elderly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Wave1 to Wave7.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Resul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Before the NLCI, the trajectories of QoL between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were same. (2) After the NLCI, elders with disabilities showed lower levels of QoL at the beginning, but the gaps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NLCI more positively affected elders with disabilities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LCI functions properly as one of social security nets to cope with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ustainable NLCI system to enhance the QoL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고령장애인의 만성질환과 다차원적 장애 :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틀(ICF)을 적용하여 (Chronic Illnesses and Multidimensional Disability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pplying the ICF Framework)

  • 조상은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91-12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WHO의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틀(ICF)을 기반으로 고령장애인의 만성질환과 다차원적 장애 간의 관계, 공식 비공식 지지와 다차원적 장애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식 비공식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0세 이상 고령장애인 450명을 대상으로 2014년도 9차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로 분석하였다. ICF에 근거하여 건강조건은 고령장애인의 만성질환 수준으로 측정하였고 다차원적 장애는 심리 정서적 기능, 일상활동 수행능력, 사회활동 참여로 측정하였으며 환경요인인 공식 지지와 비공식 지지는 각각 공적서비스 이용 총 수와 지각된 사적 사회적 지지 수준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만성질환은 심리 정서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비공식 지지는 심리 정서적 기능과 일상활동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공식 지지의 경우, 일상활동 수행능력과 부적 관계를 나타냈고 만성질환과 심리 정서적 기능의 부적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장애인의 기능수행(functioning)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Safety Percep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박시은;전지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18-226
    • /
    • 2019
  •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 수준과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사회조사에 응답한 50세 이상 장애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소와 위험대처수준, 본인준법수준, 타인준법수준, 공공질서 준수수준을 주요 변인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안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영향의 수준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조사 응답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위험대처수준, 타인 준법수준, 공공질서 준수수준 요인이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에는 개인적 요건과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장애유형별 안전인식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거나 인식과 함께 실제적 사회안전수준도 연구에서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논의하였다.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 Yoon, Saun-Joo L.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3권1호
    • /
    • pp.73-89
    • /
    • 2006
  •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has gained popularity and respectability in recent years in the United States. Since aging is often associated with chronic health conditions that commonly lead to physical and psychosocial disabilities (e.g., depression, functional and/or cognitive disabilities, and decreased quality of life), older adults often seek options to maintain health and treat chronic conditions as an adjunct to conventional medical care. Herbal products,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variou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CAM), should be used with caution due to potential herbal-drug interactions (related to polypharmacy) and herbal-disease interactions (related to comorbidities). Five of the most common chronic conditions in older adults are chronic pain, cardiovascular problems, hypertension, diabetes, and chronic lung problems. A high rate of falls or risk of falling is also a problem unique to this older population. For these conditions, only a few types of CAM (e.g., acupuncture, qi gong, tai chi) were tested, with promising results. However, in spite of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certain types of CAM to alleviate some common chronic conditions, findings are limited in terms of other types of CAM tested and both short and long-term effects. More rigorous clinical trials of various CAM types are thus warranted to advance scientific knowledge and establish evidence-based practices to care for the growing number of older adults who deserve to have a better quality of life.

  • PDF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Characters and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 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72-280
    • /
    • 2018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여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8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고, 연구대상은 1인 가구 126명, 다인가구 326명이다. 분석은 $x^2$,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는 남성, 유배우자, 경증장애, 신체외부 장애, 비수급자, 미취업자가 많고, 생활만족도 수준은 3.27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여성, 무배우자, 중증 장애, 장애수용이 낮은 경우, 전반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하고, 차별경험이 많은 경우, 미취업, 낮은 월소득, 수급자, 주관적 소속계층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가구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수용(p<.05), 전반적 건강상태(p<.05), 사회활동 참여도(p<.05), 종교생활(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다인가구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수용(p<.001), 전반적 건강상태(p<.001), 주관적 소속계층(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장애인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의미 있는 낮 시간을 위한 주간활동서비스 지원 방안 (Daytime Activities Support Plan for Meaningful Days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05-114
    • /
    • 2019
  • 커뮤니티케어가 기반이 된 주간활동서비스는 학령기 이후의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돌봄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참여를 결합한 '참여형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 케어) 서비스를 의미한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발달장애인이 낮 시간 돌봄 및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다는 점에서 부모 및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고 발달장애인 당사자에게는 생애주기별 평생케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케어기반의 주간활동서비스내용을 고찰하고, 성인기 발달장애인에게 의미 있는 사회참여가 될 수 있는 돌봄 프로그램을 전개하기 위해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주간 활동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커뮤니티케어로서의 성인발달장애인의 주간활동 서비스, 사회활동실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보다 앞서 주간활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국 켄트 주의 주간활동서비스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상을 바탕으로 활동지원바우처 증액, 주간활동 서비스 시간확대, 주간활동 서비스 대상자 수 확대를 위한 예산편성 확대, 최중증 발달장애인 20% 우선순위를 확대 적용 및 별도의 팀 구성, 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역할 강화를 제시하였다.

Health Conditions Sensitive to Retirement and Job Loss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Park, Su-San;Cho, Sung-Il;Jang, Soong-Na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5권3호
    • /
    • pp.188-195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leaving the labor market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as obtained from individuals aged 45 years and older participating in the 2006 and 2008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e used various health measures including chronic diseases, comorbidities, traffic accident injuries, disabili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ve symptoms, and self-rated health. The odds ratios of job loss, and retirement, versus employment were calculat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by each health measure. Results: In our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is, health problems related to physical disabilities had the greatest effect on leaving the worksite. A shift in health condition from good to poor in a short period was a predictor of increased risk of unemployment but a persistent pattern of health problems was not associated with unemployment. Women with health problems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retirement, whereas among men, health problems instantly the possibility of both job loss and retirement. Conclusions: Health problems of middle aged and older workers were crucial risk factors for retirement and involuntarily job loss. Especially functional defect and recent health problems strongly and instanty affected employment status.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내 복지기술 동향 분석 (Current Trends Analysis of Welfare Technology in Korea for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 박소영;이영석;강창욱;박화옥;배성근;이재욱;최승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95-304
    • /
    • 2017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검토를 통해 복지 요구 및 기능, ICT 기술 범주를 함께 고려한 복지기술 분류틀을 개발하고 이 분류틀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 대상의 국내 복지기술 활용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복지기술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계적 문헌 검토 방법을 사용하여 5개의 복지요구 및 기능 요소와 8개의 ICT 기술로 구성된 복지기술 분류틀을 도출해 낸 뒤 국내 복지기술 활용 현황에 대해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 복지기술 활용은 복지 요구 중 자립자조 분야, 기능면에서는 이동성, ICT 기술에 있어서는 ICT 디바이스를 이용한 기술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실정에 맞는 복지기술 분류틀을 사용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향후 한국 복지기술의 방향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가족부양자의 대처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Caregivers' Coping Resources and Life Satisfaction)

  • 황지선;전혜정;이은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19-530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ping resources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er caregivers looking after family members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sabilities. Personal resources and socio-relational resources were included as predictors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studied 154 middle and 132 older adults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health and family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middle-aged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subjective health and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predicte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Second, cognitive function, household income, and family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middle-aged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Higher household incomes, higher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and better relationships with family predicte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For both middle and older adults, the effect size of family satisfaction was the largest out of all coping resources. The results revealed discrepancie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oping resources between middle and older caregivers, implying that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middle and older caregivers (in accordance with their need for coping resources) is necessar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having good relationships with one's famil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oth middle aged and older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or services focused on endorsing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 생활실태와 서비스 욕구 분석 (Analysis on Life Condition and Needs for Welfare Servi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Adult in Gyeongbuk)

  • 박주영;김동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29-244
    • /
    • 2018
  • 본 연구는 경북 성인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성인 여성장애인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1명, 고졸이하, 무배우, 정신적 장애로 경제활동 고용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2대 가족, 자녀수 2명, 고졸이하, 유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일상생활지원, 경제활동 고용,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1인 가구, 자녀수 3명, 초졸이하, 무배우, 지체/뇌병변장애로 건강 의료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년기 여성장애인은 경제활동 고용 지원으로 직업훈련, 취업지원, 경력개발 지원으로 최근 경북 핵심사업인 신소재 산업, 스마트 프로젝트, 농산업, 관광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재활시설의 확대도 요구된다. 장년기 여성장애인은 일상생활 지원,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이 요구되므로 산간지역으로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곳은 교통인프라 마련과 여성장애인 전용 산부인과 지정제 도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여성장애인은 건강 의료 서비스 지원으로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등과 연계하여 정기 방문, 신체 및 심리 지원, 가정활동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