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house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8초

長興 悟川精舍의 集書考 (A Study on the collected process of Ochonjongsa′s old books)

  • 노기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47
    • /
    • 2001
  • 본 연구는 全羅南道 長興郡 龍山面 上金里(金谷) 위치한 白達淳 가옥의 연계세거 과정과 본가에 전존되고 있는 전적의 집서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金谷은 혼인관계로 인하여 廣州 李氏 $\longrightarrow$ 靈光 金氏 $\longrightarrow$ 水原 白氏로 연계세거 되었으며, 본가에 전존되고 있는 전적의 집서 과정은 대부분 白鎭恒(1760-1818)이 집서한 전적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구술로 본 1970년대 이후 전주지역 단독주택 부엌의 변화 (The change of Kitchen in a Single Detached House in Jeonju City after 70's through Oral Life History method)

  • 박선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55-6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kitchen in a single detached house in Jeonju city after 70's. Oral life history method which has 12 women's personal narratives and 17 women's personal narratives with written report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It was beginning about late 1970 year that heating system and cooking place were separated in a house. 2) Many kitchens were reconstructed for indoor stand-up work place from late 1970's to the early 1980's. 3) There were major factors such as heating system, cooking fuel, and work center in the change of kitchen in old houses. 4) The kitchen toward the center with a living room was appeared in the floor plan of modem house after 1990's. The symbolic words of the indoor kitchen that work for women were 'warmness' and 'convenience'.

고택의 의미와 가치 분석을 통한 공간치료 프로그램 연구 : 안동 권성백 고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Therapy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Old Houses : Focus on Kwon Seong-baek Old House in Andong)

  • 조정은;장창수;권기창
    • 지역과문화
    • /
    • 제7권4호
    • /
    • pp.49-68
    • /
    • 2020
  • 현대인의 정신질환에 대한 보완의학 연구는 학문적 분야별로 이루어져 왔다. 심리치료, 미술치료, 문학치료, 무용치료 등이 그 중 하나지만 이러한 비통합적 연구를 현실에 적용하기는 극히 제한적이다. 약물치료 후 보완책을 모색하는 의료계와의 협업도 문제고, 이를 정책적으로 제도화하기는 더욱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대부분의 치료 프로그램이 중시하는 공간의 가치를 연구해 공간 중심의 치료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제언하였다. 독일에서 발달해 국내에 유입된 통합문학치료학의 이론을 기저로 고찰하고 테트라시스템을 우리의 문화유산이도 한 고택 공간에 대입해 적용했다. 그리고 고택 공간의 특성을 치료 프로그램화 하는 방안을 샘플로 제시해 보았다. 안동시의 권성백 고택을 대표적인 공간으로 보고 분석해 보았다. 유사 사례로서 힐리언스 선마을, 독일의 크나이프 마을, 봉은사 템플스테이를 살펴보고 공간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에 고택 공간들을 테트라시스템으로 분석해 걷기, 시 쓰기, 풍욕, 편지 쓰기 등의 공간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는 공간의 장소화와 장소성을 프로그램에 접목하는 시초의 연구로서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둔덕리 이웅재고가(李雄宰古家)의 공간 및 경관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nd Visual Composition of Yi Ung-Jae's Old House, Dundeok-ri)

  • 노재현;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0-76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가치 발굴과 재조명을 목적으로, 임실 이웅재고가의 공간적·시각적 배치 특성과 경관과 정원 구조를 검토하여 전통정원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부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가가 입지한 둔덕리 동촌마을은 배산임수의 전형적인 형국으로 3개로 모인 물줄기 북측에 전착후관한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단구대와 삼계석문의 경승을 갖는 동촌마을은 노적봉과 계관봉은 안산(案山)으로 한 '지네가 하늘을 나는 형국(飛天蜈蚣形)'의 길지로 이해된다. 이웅재고가는 16C 중반 춘성정 이담손에 의해 조영된 전북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가이자 조선 왕실가문의 종가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및 일제강점기 일본에 저항한 충정과 대문채의 효자정려 그리고 편액과 주련에 담긴 충효의 가풍은 물리적인 가옥의 가치를 부상시키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경사진 지형에 거스르지 않게 배치된 사랑채나 안채의 배치 그리고 높은 돈대에 올린 사랑채는 최대한 원경을 차경하는 효과를 거두며 왕가 건물로서의 위엄성과 위계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사주문과 중문을 통한 안채 진입방식, 넓은 후원과 채원의 할애 그리고 안채에 배려된 공루 등의 가옥 구성은 일반 사대부가에 비해 매우 독특하다. 그러나 전후관계로 보면 사당을 주변으로 넓은 후원을 안배함으로써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는 한편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지금은 교란·훼손되었으나 외원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방지원도형(方池圓島型)의 지당(池塘)이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가에서 주목되는 식재수종은 후원의 소나무, 팽나무, 감나무, 매화, 홍단풍 그리고 측정의 산수유를 비롯하여 외원의 자두나무 등이다. 석축 위로 조성된 화계는 고가의 정원상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공간으로 정원 특성을 잘 간직한 공간이지만 화계 식생경관에 어울리지 않게 종 다양성과 사당에 어울리지 않는 화려함이 극도로 높아 식재의 짜임새를 상실한 느낌이다. 이웅재고가는 조선 전기 궁궐 밖에 조성된 궁가(宮家) 건축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는 조영물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웅재고가의 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농촌 노후주택 정비를 위한 건물에너지 분석 (Analysis of House Energy for Remodeling Rural House)

  • 박미정;김정국;신민지;오수민;남해경;유지황;김은자;임창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9-16
    • /
    • 2019
  • The increase in housing energy costs due to deteriorated rural house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which is fundamental challenge for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energy performance and the effect of housing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fter remodeling of the four rural houses over 20 years old considering the rural housing type. As the result, the heating energy requirements of the unit surface is very high, and the effect was predicted to vary by housing after improved thermal insulation. This means that the cost of housing energy will be utilized as a target selection criterion or post-effect for the rural house remodeling project. In addition, the energy performance was analyze for the compact houses, which are in demand, mainly for young rural immigrants. As the result, the energy performance is very efficient.

노인이 인지하는 주거문제와 주거만족도에 관한연구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Problems and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in Urban Area)

  • 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6권3호
    • /
    • pp.95-11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perception of elderly's residential problems and satisfaction.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ed of 556 elderly husband and wives over 55 years old living in Seoul Daejeon Jeonju and Daegu. Statistics employ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one-way anova and um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Deficiency of privacy was the worst status and then noise and air-pollution and the level of facilties in residential space. And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problems could be affected by age health the type of family the number of family the ownership of house the type of house location and the economic status The significant variable positively related to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the healthy conditon of eldely ownership of house living in multihousing the perception of privacy and high level of facilities in the house.

  • PDF

농촌 주거취약계층 주택 개보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ouse Repairs for Weak Class in Rural)

  • 정금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7-24
    • /
    • 2013
  • Rural community in Korea being changed to aging community, declining population and income loss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urbanization. The weak class in rural is confronted with more poorly environment. So it is needed to check the quality of the weak class's house in rural. Basically proposes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about rural housing improving and the vitality of rural community. This paper contents rural housing problems through the paper review and house repair characteristics for the weak class. Data for statics analysis were obtained from house repair support program for the weak class in Jeonnam province from 2011 to 2012.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 First, house repair items ranking for the weak class in rural was insulation & heating, toilet, structure, indoor environment, electricity, outside and kitchen & waterproof. This result was reflected that weak class's energy bills is high ratio compared with income. Second, health facilities were improved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s convenience in considering that most of weak class is a senior. Last, most of houses for weak class in rural are old clay wall and block wall. So these houses are reinforced the wall for structural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