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patial Therapy Progra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Value of Old Houses : Focus on Kwon Seong-baek Old House in Andong

고택의 의미와 가치 분석을 통한 공간치료 프로그램 연구 : 안동 권성백 고택을 중심으로

  • 조정은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산업연구소) ;
  • 장창수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산업연구소) ;
  • 권기창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산업연구소)
  • Received : 2020.11.17
  • Accepted : 2020.12.23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study of complementary medicine for the mental illness of modern people has been made up of academic fields. Psychotherapy, art therapy, literary therapy and dance therapy are among them, but these non-integrated studies are extremely limited to apply to reality. Collaboration with the medical community seeking supplementary measures after drug treatment is also a problem, and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institutionalize them in a policy way. In response, the study suggested a shift to a space-oriented treatment paradigm by studying the value of space that most treatment programs value. Based on the theory of integrated literature therapy developed in Germany and introduced into Korea, the Tetra system was applied to one of Korea's cultural heritages. And I presented a sample of how to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 house space. Kwon Seong-baek old house in Andong wa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space and analyzed. As a similar case, we looked at the Healian Sun Village, the Knife Village in Germany, and the Temple Stay of Bongeunsa Temple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space utilization. Accordingly, space treatment programs such as walking, writing poems, reading poems, and writing letter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old houses with a Tetra system. This is significant as the first study to incorporate spatialization and placeability into the program.

현대인의 정신질환에 대한 보완의학 연구는 학문적 분야별로 이루어져 왔다. 심리치료, 미술치료, 문학치료, 무용치료 등이 그 중 하나지만 이러한 비통합적 연구를 현실에 적용하기는 극히 제한적이다. 약물치료 후 보완책을 모색하는 의료계와의 협업도 문제고, 이를 정책적으로 제도화하기는 더욱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대부분의 치료 프로그램이 중시하는 공간의 가치를 연구해 공간 중심의 치료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제언하였다. 독일에서 발달해 국내에 유입된 통합문학치료학의 이론을 기저로 고찰하고 테트라시스템을 우리의 문화유산이도 한 고택 공간에 대입해 적용했다. 그리고 고택 공간의 특성을 치료 프로그램화 하는 방안을 샘플로 제시해 보았다. 안동시의 권성백 고택을 대표적인 공간으로 보고 분석해 보았다. 유사 사례로서 힐리언스 선마을, 독일의 크나이프 마을, 봉은사 템플스테이를 살펴보고 공간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에 고택 공간들을 테트라시스템으로 분석해 걷기, 시 쓰기, 풍욕, 편지 쓰기 등의 공간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는 공간의 장소화와 장소성을 프로그램에 접목하는 시초의 연구로서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개천(2005), 템플스테이를 위한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11, 67-86.
  2. 배수을(2012), 통합무용치료의 접근 방법론 연구, 무용예술학연구 37, 1-26.
  3. 변학수(2005), 문학치료, 학지사.
  4. 이시형(2010), 세로토닌 하라, 중앙일보플러스(주).
  5. 이시형(2013), 숲으로 가면 깨닫는 것들, (주)자음과모음.
  6. 오훈성.강준수(2016), 치유공간으로서의 고택 : 전상국의 동행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8(1), 77-97.
  7. 장창수.김진희(2020), 재난 일상에 대한 텍스트로서 자기연구: 코로나 기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5), 1335-135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5.1335
  8. 정운채(1999), 시화에 나타난 문학의 치료적 효과와 문학치료학을 위한 전망, 고전문학 교육 1, 165-187.
  9. 주진형.최형순(2015), 한국건축 공간 디자인, 도서출판 구미서관.
  10. 채연숙 외(2020), 통합문학치료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1. 채연숙(2014), 창조산업으로서 통합문학치료를 위한 인력양성방안, 지역과 문화 1(1), 23-41.
  12. 채연숙(2015), 형상화된 언어, 치유적 삶, 교육과학사.
  13. 채연숙.조희주(2014), 통합문학치료의 현황과 발전 방향, 문학치료연구 31, 189-213.
  14. 한길연(2011), 대하소설 속 독특한 여성공간의 탐색을 통한 문학치료, 문학치료연구 19, 41-74.
  15. 문화재청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 고택 자료 검색일 2020.11.15.)
  16. (사)한국크나이프협회 홈페이지(http://kneippkorea.co.kr, 한국크나이프 자료 검색일 2020.11.15.)
  17. 힐리언스 선마을 홈페이지(www.healience.co.kr, 힐리언스 선마을 자료 검색일 2020.11.15.)
  18. Petzold, Hilarion(1996), Integrative Bewegungs- und Leibtherapie, Paderbo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