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Map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2초

위상수학을 활용한 고려 평양부 고지도 분석 (Topological Geometry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the Analysis of the Map of West Capital Pyongyangbu of Old Korea)

  • 정택선;최규홍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487-509
    • /
    • 2018
  • We analyse the map of the west capital Pyongyangbu of Old Korea(AD 920)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North Korea Pyongyang. By the analyse of the map we fi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The analysing and finding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is a very good example of geometry education. Many Koreans had learned and recognized that Old Korea(AD 920) was a small country located in the south part of Ablok river. But, after reading this paper they change their old recognitions and they take prides in Great Old Korea.

고지도 계통 연구를 활용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Using Genealogy Research of Old Maps: Focused on 「Yeongyeondo」 in National Library of France)

  • 유종연;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99-224
    • /
    • 2024
  • 해외 소장 한국 고지도는 자료의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점과 고지도의 추상성 등으로 인해 연구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서지사항이나 기술요소에 좀 더 자세하고 전문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이를 통해 고지도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고지도의 계통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고지도의 요소를 해주신본 계통의 고지도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고지도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도출된 총 8개 영역의 56개 고지도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해외 소재 주요 고지도인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에 적용한 후, 고지도 연구의 접근성과 활용성에 도움이 되는 고지도 기술요소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1910년대 고 지형도를 이용한 행정리 경계 구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dministrative Boundaries Using Old Topographical Map in the 1910s)

  • 엄성준;조숙영;유수진;안필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5-5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dministrative boundaries by utilizing digitalized old topographical map.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due to unclear administrative boundaries.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 amongst residents to occupy a larger area, unnecessar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and difficulty in collecting various data for administrative units (farm area, statistical data, spatial analysis, living ara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dministrative boundaries by using an old topographical map containing information on villages before administrative reform in 1914. As a result, the boundaries of towns, towns and villages were largely consistent. In order to divide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based on the legal district boundari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village introduction and natural boundaries (roads, rivers, mountain ranges, etc.) provided in towns and villages.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establishing a precise boundary as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a high-quality digitalized old topographical map.

고지도를 이용한 웹기반 정보검색시스템 구축 방안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of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Old Maps :Focusing on Kyung Hee University Hyejung Museum)

  • 오일환;이승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6-64
    • /
    • 2011
  • 고지도는 인문학적 자료이면서 과학성을 가진 정보기록의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고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기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지도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기관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고지도 자료의 정보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통일화된 지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기반 정보시스템 구축방안을 모색하였다. 고지도에 대한 정보체계의 구축은 자료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하여 분류항목과 정보검색체계의 표준화가 쉽지 않아서 공학적 정보관리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고지도 자료의 인문학적 정보를 전산화하고 체계화하려는 시도와 융합적 통찰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고지도 자료에 대한 인문학적 정보를 전산화 기술과의 융합으로 인문학과 공학이 복합적인 학문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국내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현황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Old Map in Library and Museums in Korea)

  • 김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2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고지도를 이용한 서비스 및 정보제공 등 고지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고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기관의 정보검색시스템을 조사하고 해당 웹 사이트에서 고지도 자료 검색 및 정보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 각 기관의 홈페이지와 도록 및 연구서, 간행물 등을 참고하여 국내 도서관 및 박물관의 고지도 소장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국·공립 및 대학 도서관과 박물관 등 76개 기관에 약 2,200여점의 고지도가 소장되어 있었다. 고지도 소장 각 기관에서는 영인본 간행, 전시회 및 도록, 목록 및 총서 등의 연구서 편집서의 간행 등 출판사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지도의 희귀성, 유일본 등의 자료적 특성으로 원문 자료의 열람 및 이용이 제한적이다. 고지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고지도 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 및 학술정보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자료로 고지도 활용을 제안한다. 셋째, 고지도 자료에 대한 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일제강점기 천안군 중심부 필지구조의 복원적 고찰 : 조선후기 천안군 읍치시설 비정을 위하여 (Study of the Restoration of Urban Land Lots Arrangement in Old Cheonan-Gun's Center Parts : for Understanding of Governing Institutions' Arrangement)

  • 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884-6889
    • /
    • 2014
  • 읍지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조선시대 읍치시설의 배치 양상을 공간적으로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세한 지도 자료와의 비교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지적원도의 필지구조 파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현존 최고(最古)의 천안군 지적원도를 대상으로 조선시대 각종 읍치시설이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천안군 중심부의 필지구조에 대한 복원적 고찰을 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천안군 읍치시설의 배치상황을 비정해 볼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동여지도의 도법에 관한 연구 (A Map projection of Daedongyojido)

  • 김두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5
    • /
    • 1994
  • 대동여지도의 공간적 정확성을 측정하기위하여 이를 현대지도와 비교할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것의 하나가 현대지도의 도법이며 이는 곧바로 대동여지도의 도법과 연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교를 위하여 대동여지도의 도법을 각종 도법에 의한 현대지도와 대동 여지도의 유사성, 김정호와 관련된 지지 또는 지도의 기록, 그리고 대동여지도의 제작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동여지도의 도법으로는 몇가지의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대 축척의 지형도와 같은 지도의 제작에 사용되고 있는 TM 도법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조선 후기 고령현 군현지도의 계열별 특성과 고지명 연구 (The Study on the Contexts and Place Names in Old County Maps of Goryeong-hyeon(高靈縣) in Late-Joseon Dynasty)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35
    • /
    • 2009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고령현을 그린 군현지도와 지리지의 부도(이하 '군현지도')를 계열별로 내용과 고지명을 비교하였고, "대동여지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3점의 고령현 군현지도들은 회화식지도 8점, 1리 방안지도와 20리 방안지도가 각 4점, 지방지도 5점, 분류 미상인 지도 2점로 구분되었다. 계열별 특징을 보면 회화식지도 계열의 경우 산과 하천을 풍수 형국으로 해석하여, 산줄기가 고령현의 서쪽에서 동쪽의 낙동강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묘사하였고, 하천도 이와 상응하여 서쪽에서 발원하여 동으로 유입하는 형태로 그렸다. 1리 방안지도 계열에서는 지도의 배치를 서쪽을 위로 하여 그렸으며, 낙동강을 지도의 아래에 배치하였다. 고령현이 역사적으로 내륙으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로서, 이를 현장감있게 표현한 결과로 사료된다. 20리 방안지도는 다른 지도와는 달리 낙동강의 일부만이 묘사되어 있다. 이는 당시 낙동강변의 일부 지역이 다른 고을에 속하였기 때문이다. 다른 지도에 비해 간결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도로망등을 통해 인접한 고을과의 연결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방지도 계열의 경우 지도 구도는 1리 방안지도와 유사하여 서쪽을 지도 위에 표현하였다. 특히 초계와의 경계를 산줄기로 뚜렷하게 표현하여 지리적 소통이 약함을 표현하였고, 대신 지도의 우측인 북쪽을 열린 공간으로 묘사하였다. 지도별 수록 지명을 보면 회화식 지도와 지방 지도의 경우 읍치 관련 지명들이 많다. 1리 방안지도의 경우 봉수 관련 지명과 험로 등의 지명이 비교적 상세하다. 20리 방안지도의 경우 수록 지명수는 적으나 이웃 고을과의 연결성을 파악할 수 있는 산지 지명을 많이 수록하였다. "대동여지도"와 이들 군현지도를 비교하여 보았을때 20리 방안지도와 가장 가까우나 일부 지명에서 새로운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내용은 "대동여지도"가 제작되면서 이용된 자료를 추적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 PDF

『황여전람도』 「조선도」의 모본(母本) 지도 형태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관동·관서지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Origins of Geography on the Map of Korea in the Kangxi Atlas)

  • 김기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3-175
    • /
    • 2015
  • 규장각에 소장된 "관동 관서지도"의 조선전도는 다른 지도에 비해 "황여전람도" "조선도"와 가장 유사하다. 본 연구는 두 지도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하여 "조선도"의 모본이 된 지도의 형태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 지도를 비교하여 볼 때 섬 지명의 기록은 거의 동일할 뿐만 아니라 지명에서 약 80%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 한반도 모습, 함경도, 평안도 등 북부 지역 내용에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 지역에서는 해안선 형태, 도별 경계, 감영 위치 묘사에서 상당히 유사하다. 이를 볼 때 "규장각본"의 모본이 된 지도가 "조선도" 제작 당시 조선이 제공한 지도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명에서 차이를 보면 "규장각본"은 강원도 경상도에서 누정 지명이 많으나 "조선도"의 경우 이들은 삭제되고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관방 지명의 비중이 높다. 이들 차이는 "조선도"를 제작하면서 지리정보가 편집된 내용을 추정하게 한다. "규장각본"과 다른 조선 지도와 비교해 보면 17세기에 이미 이전과는 다른 형태의 지도가 만들어졌으며, 이는 "조선도"와 함께 18세기 지도 제작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안동부 고지도의 유형별 수록지명 연구 (A Study on the Place-Names in Old Maps of Andong-Bu)

  • 배미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11-538
    • /
    • 2004
  • 지명은 특정 지역의 생활양식이나 고유한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상징적 언어이다. 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통하여 과거나 현재의 지역성과 역사적 연속성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 안동대도호부를 그린 지도의 지명을 추출하여 과거 안동부의 지역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오늘날의 안동문화권을 이해하고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안동부 고지도의 자연지명을 통하여 산천을 신앙시하는 선조들의 사고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합리적인 행정을 위해 지도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충실하여 방면 등 행정지명에 비중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봉수중심의 군사지명과 역원중심의 교통지명은 중앙과의 연계에서 안동부 사람들의 지역의 안위에 대한 인식과 영남내륙의 교통중심으로서 안동부의 위상을 설명해준다. 영남사림의 중심지역인 안동부는 삶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사상으로서 유교를 중심축으로 하여 공간구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안동부 고지도에 수록된 문화지명 속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