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10년대 고 지형도를 이용한 행정리 경계 구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dministrative Boundaries Using Old Topographical Map in the 1910s

  • 엄성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숙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유수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안필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투고 : 2021.04.10
  • 심사 : 2021.05.21
  • 발행 : 2021.05.25

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dministrative boundaries by utilizing digitalized old topographical map.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due to unclear administrative boundaries.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 amongst residents to occupy a larger area, unnecessar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and difficulty in collecting various data for administrative units (farm area, statistical data, spatial analysis, living ara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dministrative boundaries by using an old topographical map containing information on villages before administrative reform in 1914. As a result, the boundaries of towns, towns and villages were largely consistent. In order to divide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based on the legal district boundari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village introduction and natural boundaries (roads, rivers, mountain ranges, etc.) provided in towns and villages.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establishing a precise boundary as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a high-quality digitalized old topographical map.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21년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전문연구원 과정 지원사업(PJ01561502)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참고문헌

  1.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행정리경계지도, www.pc.go.kr
  2. 공공데이터 포털, 전국법정구역(읍면동) 정보표준데이터, www.data.go.kr, 2021.04.19.
  3. 국토정보플랫폼, 광복이전지형도, www.map.ngii.go.kr, 2021.04.19.
  4.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1:5000), www.ngii.go.kr, 2021.04.19.
  5. 김상빈, 지리학에서 경계연구의 동향-중.동부 유럽을 사례로-, 지리학논총, 40, 2002.
  6. 농림축산식품부, 2021년 농촌협약 추진계획, 2021.
  7. 배선학,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2007.
  8. 유창호, 행정리 경계결정시 갈등요인 분석,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0(2), 2018.
  9. 윤정미, 충남 기초공간데이터 구축을 통한 자연마을 과소.고령 실태 분석, 충남리포트 211, 충남연구원, 2016.
  10. 윤정미, 김정하, 충남 기초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I, 2014.
  11. 이광률, 자연 경계와 인위 경계 불일치 지역의 지형 경관 특성: 백두대간과 도 경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5(1), 2016.
  12. 이명재, 김영성, 이태열, 한국 행정구역의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 17(1), 1991.
  13. 이성화, 행정구역경계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4(2), 2003.
  14. 이원영, 유역(流域)을 기초로 한 행정구역경계설정의 필요성, 환경영향평가, 10(3), 2001.
  15.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군, 행정리 경계 명확해진다, 보도자료, 2017.08.28., www.yeonggwang.go.kr/bbs/?b_id=news_data&type=view&site=headquarter&mn=1072&bs_idx=963532
  16. 정효원, 행정구역 경계 불일치 해소방안 연구-서울 강서구, 양천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7.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군 부리면 행정리경계지도, www.geumsan.go.kr
  18.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군 행정지도, www.oc.go.kr
  19. 한국농어촌공사(KRC), 농촌협약 시범지구 모니터링 보고서, 2020.
  20.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행정안전부,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