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8/eamj.2018.032

Topological Geometry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the Analysis of the Map of West Capital Pyongyangbu of Old Korea  

Jung, Tacksun (Department of Mathematics, Kunsan National University)
Choi, Q-Heung (Department of Mathematics, Inh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We analyse the map of the west capital Pyongyangbu of Old Korea(AD 920)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 it with the map of North Korea Pyongyang. By the analyse of the map we find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The analysing and finding the real place of the old map is a very good example of geometry education. Many Koreans had learned and recognized that Old Korea(AD 920) was a small country located in the south part of Ablok river. But, after reading this paper they change their old recognitions and they take prides in Great Old Korea.
Keywords
Map of west capital Pyongyangbu of Old Korea; northwest territory of Old Korea; northeast territory of Old Korea; topological method; geometrical method; mathematics education; genu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1책(세가). 도서출판 신서원.
2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2책(세가). 도서출판 신서원.
3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3책(세가). 도서출판 신서원.
4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4책(세가). 도서출판 신서원.
5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5책(천문력, 오행, 지리). 도서출판 신서원.
6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9책(열전). 도서출판 신서원.
7 고전연구실(1997). 北譯高麗史(鄭麟趾著). 제10책(열전). 도서출판 신서원.
8 고형주(2007). 집합, 위상수학. 경문사.
9 김갑동(2016). 고려시대 巫俗信仰의 전개와 변화. 역사와 담론, Vol. 78, 35-70. 호서사학회.
10 김창현(1996). 고려시대 승병의 성격과 역할. 동국사학, Vol. 59, 75-116. 동국사학회.
11 김창현(2001). 고려 서경의 성곽과 궁궐. 역사와 현실, 182-213. 한국역사연구회.
12 박형표(1996). 高麗王朝의 國是와 妙淸亂. 학술지, Vol. 7, No. 1, 97-124, 건국대학교.
13 복기대(2017).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주류성출판사.
14 신현우(1961). 妙淸의 亂에 對한 硏究. 녹우연구논문집. 91-102.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사회생활과.
15 안대희, 안승호(2012). 위상수학. 경문사.
16 이근호(2011).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사건. 청아출판사.
17 이정선(2009). <서경별곡(西京別曲>의 창작 배경을 통해 본 신(新)해석. 한국시가 연구, Vol. 27, 5-51. 한국시가학회지.
18 이재연(1979). 妙淸의 亂에 對한 一考察.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19 이정신(1996). 고려의 대외관계와 묘청의 난. 사총, Vol. 45, 67-98. 고대사학회.
20 정택선, 최규흥(2017). 위상수학 교육과 묘청의 고지도 분석에의 응용, 교육문화 연구, Vol. 23,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1 최지은(2009). 고려사와 교과서 서술 비교분석 : 묘청의 난과 삼별초의 난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