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ials

검색결과 1,236건 처리시간 0.03초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 김종래;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83-193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업무 과중,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조직에 보다 적응하고, 몰입할 수 있는 요인을 조직적인 측면에서 접근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으로는 경기북부지역의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조직 적응과 몰입을 위한 행정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Fire officials's Job stress on Wellness :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강민아;하영미;채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333-342
    • /
    • 202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남도에 근무중인 소방공무원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상관계수분석, Sobel 테스트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방공무원의 웰니스는 직무스트레스(r=.-49, p<.001), 긍정심리자본(r=.70, p<.001)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56, p<.001).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웰니스의 연관성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웰니스 증진과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조선 후기 종부사(宗簿寺) 낭청(郎廳)의 실태 및 운영체계 - 장서각 소장 『종부사낭청선생안(宗簿寺郎廳先生案)』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System of the Staff Officials at Jongbusi (Court of the Royal Clan) in the Late Joseon Period - Based on Jongbusi nangcheong seonsaengan (Register of Staff Officials at the Court of the Royal Clan) Kept at Jangseogak Archives)

  • 김동근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83-114
    • /
    • 2017
  • 이 글은 18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종부시의 관원, 그 중에서도 실무를 담당했던 정 이하의 관원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종부시는 왕실 보첩을 편찬하고 친진 범위 내의 종친들을 규찰하던 정3품 당하 관서이다. 조선 후기 종부시의 낭청으로는 정3품 당하관 정, 종6품 주부, 종7품 직장이 있었다. 이러한 체제는 조선 시대 내내 유지되다가 1864년(고종 1) 종친부에 합속 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유일본인 "종부시낭청선생안"은 1794년(정조 18)부터 종친부에 합속 될 때까지 낭청에 대한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의 관직, 성명, 자, 생년, 본관, 전직, 이직 등의 기록들이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종부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들의 출신 성분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문과 출신자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장의 경우에는 상당수가 소과 출신자들이었는데, 관직을 제수 받을 때에는 문음의 자격으로 임명되었다. 이들의 전직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해당 관직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낮은 품계에서 차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부의 전직 관서로는 청요직 관서에서의 차출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각종 행정아문에서의 차출도 많았다. 직장의 경우 1품아문인 의금부의 도사가 가장 많이 차출되었는데, 이러한 낮은 관서로의 차출은 관직 고하를 떠나 실직을 제수한 것으로 보인다. 종부시 관원의 이직을 살펴보면, 종부시 정은 낮은 직급으로의 이직을 많이 하였는데, 정3품 당상관의 자리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주로 청요직 관서로 이직한 것으로 보아 정3품 당하관의 청요직 관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외관으로의 이직도 많았는데 인사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이해된다. 주부와 직장은 대체적으로 승진을 하거나 유사한 관품의 직급으로 이직을 하였다. 특히 종7품인 직장은 절대 다수가 승육을 하였다. 종부시 관원을 가장 많이 역임한 가문은 전주 이씨로 전체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종부시 관원을 역임한 성관은 조선 후기 문과 급제자의 출신 성관과 대부분 겹치는데, 문과 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성관에서 종부시 관원을 많이 배출해 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위 20개 가문의 역임 횟수가 전체 50% 정도에 이르는데 특정 가문의 관직 독점 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부시낭청선생안"의 기록에 나와 있는 승진, 승육, 가자 등의 사유를 살펴보면 90% 가까이 선원보략 수정 후의 일로 나와 있다. 종부시의 두 가지 직능 가운데 종친 규찰 업무가 조선 후기에 상실된 것으로 보이는데, 연대기 자료에서도 조선 후기 종친 규찰 업무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는 17세기 인조 대부터 종친의 수가 급감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종친의 수가 왕실 의례를 거행하는데 미치지 못할 만큼 줄어들게 되자, 종부시에서의 종친 규찰 업무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왕실보첩 편찬 업무만이 남게 된 것이다. 이렇듯 종친의 위상이 격하되자, 흥선대원군은 종친의 위상 강화 및 왕실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종친부와 종부시를 통합하게 되었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서 소진의 영향 (Effects of Burnout on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f Fire Officials)

  • 이해영;김엽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106-112
    • /
    • 2017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소진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정책대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으로 경기도 북부지역 현직 소방공무원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2.0를 통해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소방공무원의 소진과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다.'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직무 불안정성과 보상 부적절성 요인이 고갈, 냉소, 직업 효능감 등의 소진척도에 영향을 주고, 이는 긍정적인 미래지향성, 감정조절, 흥미와 관심 등을 나타내는 자아탄력성을 낮추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먼저,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상 안정성에 대한 확신이 주어져야 한다는 점, 업무성과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소방공무원의 정서적 신체적 피로감과 긴장감 해소를 위한 내실 있는 지원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 Lee, Jung-Seo;Kim, You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31-237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대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실증분석의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시사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G광역시 시청과 5개 자치구청(동 주민센터 포함)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직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에 대한 평균을 통한 기술적 통계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인 직무내적 요인과,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관계 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인 직무외적 요인 모두에서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주관적인 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자존감 부여와 담당업무의 개선과 업무량을 적정한 수준으로의 조정이 필요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Regional Environmental Conflict and countermeasures

  • Kim, 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6-30
    • /
    • 2017
  •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decided to designate Goesan County as a comprehensive venue for determining the geography of the land, the efficient management of land, the public opin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group of civic complaints. In the meantime, Goesan focused on attracting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nd high-ranking tourist attractions, to attract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high-ranking officials of the National Guard, to promote the nation's bid to attract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 this paper, we intend to conduct a study centered on the controversy over the survival of the Korean National Guard. conflict between local governments is a non-authoritative administrative administrative body, it can be regarded as a matter of difficulty by intervening in any autonomous matter, and ultimately, it can be changed to judicial judgment. This is not to say that the residents of Goesan county will protest this time. Even though Goesan promotes region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for local residents, it can not guarantee that the judgment of Goesan County will be held in the same situation. Thus, it should develop a win-win strategy based on the threat of sabotage. To this end,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measures.

17.18세기 기로연도(耆老宴圖)의 관료복색(官僚服色) 연구(硏究) (A Study on the Governmenat Officials Costume for the 'Giroyondo' of 17.18th Century)

  • 이혜자
    • 복식
    • /
    • 제57권5호
    • /
    • pp.112-122
    • /
    • 2007
  • This study reviewed the costume mainly on the Joseon Giroyondo(耆老宴圖) between 17th 18th Century. In Joseon Dynasty, they produced paintings to commemorate the meeting of Girohwe(耆老會), namely Giroyon(耆老宴); this painting is Giroyondo. The feature of Giroyon depended on political purpose and social phenomenon.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figures in Giroyondo and their costume were seen differently. By its character, Giroyondo was classified into official one from Giroso(耆老所), private one arranged by the participants and Court Giroyon(宮中腸宴圖). People figured in Giroyondo are roughly divided into costume in Girosin(耆老臣) officials and minor officials. Girosin officials wore Hongdalyong(紅團領) and Samo(紗帽) in official Giroyondo while they wore Hungnib(黑笠.) and Jingnyong(直領) in private Giroyondo. In Court Giroyon, which was for classy and formal Court event, they wore Dalyong(團領) and Samo but in colors of blue and green. Minor officials were observed in two categories; those who wore Samo and Gakdae(角帶), and those in Dugeon(頭巾). However, they were not showed up in private Giroyondo.

대전시 공무원의 성주류화 정책 인식격차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aejeon city officials about the gender mainstreaming)

  • 이갑숙;손진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25-437
    • /
    • 2008
  • The global trend for women's policy has selected gender mainstreaming to change unequal gender relation. The gender mainstreaming means that the gender perspective is integrated into all policy processes to accomplish gender equality. In other words, 'gender'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factor such as classes, regions, and races when a policy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to integrate gender persp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officials' perception about various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Daejeon city officials (699 men and 457 women). Officials' percep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an important means used as a tool in shap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length of service, work place, etc. were chose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were perceived as ones only for women. Therefore, various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ge, position and length of service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s for officials to improve gender sensitiveness should be developed and expanded.

19세기 역서(曆書)편찬 천문관원의 교육과 선발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 최고은;민병희;이용삼
    • 천문학논총
    • /
    • 제30권3호
    • /
    • pp.789-800
    • /
    • 2015
  •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wansanggam (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was the royal administration in charge of Astronomy (天文), Geography (地理), Calendars (曆),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測候), and Timekeeping (刻漏). Of those affairs, the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was most important. In this paper, we study the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According to this study, their main area was calendar calculation, and they were involved in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for nearly 40 years, until they resigned. In addition, they served as Samryeok-susulgwan (三曆修述官, Official for calendar calculation by the $Sh{\acute{i}}xi{\grave{a}}n$ calendar), and Ilgwa-gamingwan (日課監印官, Official printing supervisor). To undertake these core duties, an official had to pass several examinations and courses. The Gwansanggam (after Gwansangso) carried out the educational function for the officials. In particular, reserved officials of the astronomy division had to be educated starting with a trainee course.

공무원교육훈련기관(公務員敎育訓練機關)의 교관확보현황(敎官確保現況)과 개선방안(改善方案) -I.현황(現況)과 문제점(問題點) (Securing Status and Improving Scheme of Instructors in the Governmental Officials Training Facilities)

  • 장철호;이병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20-32
    • /
    • 1994
  • According to the changing of administrative environment from the high-leveled industrial age to the informational and international open door age, necessity of governmental officials re-training has been being emphasized. For leveling up the re-training effect, leveling up of the instructors' capability is strongly required with enlargement of re-training participating opportunity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authors carried out a study on the securing status of instructors for the governmental officials training facilities and picked up some problems involved. Required academic career of instructors which is certified as holders of bachelor degree or more for the central training facilities and junior college graduate diploma or more for the district ones looks too low considering with trainees' age, academic career and social experiment. Then it should be leveled up to the holders of master degree or more for the central facilities and bachelor degree or more for the district ones. Required official career of instructors for specific subjects which is certified as three years or more looks so short that should be enlarged to five years or more. Preliminary training for instructors themselves should be reinforced before appointing the instructors to have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and concerned subjects, and also the career of instructors should be reflected with advantage to the promotion of offic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