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e of Science

검색결과 2,671건 처리시간 0.026초

쌀보리의 돌연변이육종에 관한 연구 I. 방사선에 의한 유용변이계통 및 신품종 ′방사6호′에 대하여 (Studies on the Mutation Breeding of Naked Barley I. A New Mutant Variety "Radiation No. 6" and Several Promising Mutant Lines by Radiation)

  • 김영상;박공열;이돈길;김일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86
    • /
    • 1976
  • 쌀보리에서 돌연변이 육종법에 의한 조숙 단간에 의한 내도복성, 다수성인 신품종육성을 시도하고저 쌀보리품종 '방주', '기까이하다가' 및 '재래종'을 공시하여 열중성자 및 X-ray를 조사한 처리집단에서의 유용변이 계통들과 신품종 '방사 006'의 그 특성을 교비검토하였다. 1. M$_3$와 M$_4$세대에서의 단간 조숙형질에 대한 선발효과는 높았고 1m$^2$당 천립중의 변이폭은크게 나타나고 일수립수의 차는 적게 보였다. 2. 단백질함량의 변이폭이 컸으며 특히 '방사 1004'의 단백질함량이 높게 나타났음은 성분육종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3. 신품종 '방사 006'는 모품종에 비하여 조숙, 단간(23%단간화) 내도복성이고 수수확보(모품종대 방사 006=367/498 개/m$^2$)가 용역한 품종으로서 수량 안정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4. "방사006호"는 모품종과 비교하여 내한성이 다소 약하나 내습성과 내병성은 거의 동일하다. 5. 돌연변이육종법의 이점의 하나로서 육종 년한의 단축을 실증해주는 좋은 예로서 "방사 6호"는 한국에서는 최초로 변이를 유기한 후 7년만인 1974년 9월에 신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다.증해주는 좋은 예로서 "방사 6호"는 한국에서는 최초로 변이를 유기한 후 7년만인 1974년 9월에 신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다.종으로 결정되었다.

  • PDF

캄보디아 바이욘 양식 관음보살상의 풍화특성과 보존처리 상태평가 (Weathering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Assessment Conservation Treatment for Bayon Style Avalokitesvara, Cambodia)

  • 최명주;이명성;유지현;전유근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7-177
    • /
    • 2018
  • 캄보디아 앙코르 보존소에 소재하는 관음보살은 13세기 바이욘 양식의 석상으로, 중립의 장석질 잡사암으로 조성되었으며 석재 표면에 형성된 담갈색 풍화면에서는 방해석이 관찰되었다. 석상의 상태평가 결과, 박리와 균열의 중첩발생으로 인한 파편화 및 박락으로 인한 물리적 훼손이 심각하였다. 특히 물리적 훼손부 및 주변은 초음파속도가 낮아 입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존처리가 필요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석상의 보존환경을 고려한 염풍화의 방재 및 물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에틸 실리케이트계 강화제 및 석재와 유사성분의 석분을 배합하여 충전하고 노후된 보수물질을 교체하였다.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를 이용한 수박의 품종간 유연관계 분석 (Assessment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Watermelon Varieties Revealed by ISSR Marker)

  • 권용삼;이원식;조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9-224
    • /
    • 2006
  • ISSR markers를 이용하여 수박 18품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박 18품종의 genomic DNA와 ISSR primer 100개를 PCR 반응시킨 결과 다형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primer는 21개 이였으며, 이들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는 105개 이였고 다형성을 보이는 밴드는 58개 였으며 증폭된 DNA 단편의 크기는 $0.2{\sim}5.0kb$ 사이에 위치하였다. 다형성을 나타낸 primer는 18개의 anchored primer와 3개의 non-anchored primer로 구분되었고 모든 anchored primer는 2개의 염기서열이 반복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non-anchored primer보다. 다형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박 18품종은 유전적 유사도 값 0.42를 기준으로 할 때 18개 품종을 2개의 그룹 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은 유전적 유사도가 아주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고, 이들 품종은 수박의 과형에 따라 유사하게 구분되었다.

19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를 통해 본 지방관아의 조직과 기록물 연구 (Organizations and Records of Local Government Office in the 19th Century Through an Analysis on the Transition Documents in Yeongnam Region)

  • 손계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7-262
    • /
    • 2017
  • 조선시대 지방관아는 지역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공간과 조직 사람이 필수적으로 존재하였고, 행정 업무의 결과를 통해 지방관아의 기록물이 생산되고 관리 보관되었다. 지방관아의 건물과 공간은 첫째, 수령의 통치와 생활공간, 둘째, 관속들의 행정업무 공간, 셋째, 창고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고, 관속의 규모 측면에서도 대규모 기관이었기 때문에 조직구조도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관아의 조직은 크게 육방임과 기타 색임으로 구분하여 호장(戶長) 이방(吏房) 호방(戶房) 형방(刑房) 병방(兵房) 예방(禮房) 공방(工房)의 육방임 업무와 생산 기록물을 살펴보았고, 기타 색임의 업무를 살펴보았다. 또한 세기 영남지역 중기(重記)에 기재되어 있는 물목명 가운데 기록물류를 추출하여 지방관아에서 조직별로 관리하였던 기록물류를 크게 절목(節目), 안(案), 대장(大帳), 완문(完文), 등록(謄錄)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 국내 공공청사 내 도서관 현황과 부산지역 시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brary Current State in Government Office and Citizen's Perception in Busan)

  • 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11-437
    • /
    • 2020
  •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고, 지자체마다 다른 시설과 한 건물에 혹은 한 대지에 함께 건립되는 복합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을 확대함과 동시에 생활 SOC사업과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이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계획 중 2025년까지 25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유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공공청사 내 도서관 조성 역시 공공청사와 도서관을 결합한 형태로 이러한 복합화 움직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 현황을 조사하여 우수사례를 제시하고,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의 기본 방향, 조직과 인력, 장서개발, 서비스 프로그램(특성화 프로그램) 등 운영의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봉사거점으로서 동사무소문고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Dong-office Minilibraries as Service Stations for Public Library in Daejeon City)

  • 김영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2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사무소의 기능전환에 따라 전국적으로 설치 ${\cdot}$ 운영되고 있는 동사무소문고의 정체성 확립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이다. 운영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파악하였고 현장관찰을 통하여 장서현황과 이용상황을, 그리고 이용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이용자행태를 조사 ${\cdot}$ 분석하였다. 현재의 상황에서 동사무소문고가 본래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의 봉사거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 공공도서관으로부터 기술적인 지원을 받으며 지역의 교육기관과 사회봉사기관의 협조를 얻어 이용자와 자원봉사자를 확보하는 등 관련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맺어야 한다. 내부적으로는 동사무소문고의 운영담당자들 사이에 활발한 교류를 위한 협력망을 형성하여야 한다. 학계에서는 문고의 운영을 위한 기본 모델과 동사무소문고의 환경과 이용자의 필요에 따른 특화 모델을 개발하여야 한다.

해바라기 품종들의 생태적 차이와 수량성에 관하여 (Studies on Ecological Variation and the Yielding Capacity of "Sunflower" Varieties)

  • 김규진;조준호;유익상;최현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4-111
    • /
    • 1977
  • 최근에 도입된 해바라기 품종들의 우리나라 기상조건하에서의 생태적인 차이와 이에 따른 수량성을 검토하여 품종선택에 있어서나 재배적인 문제점을 구명하고져 25품종을 공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교적 수량이 높은 수원 001 bulgaria, local black giant, HESA. hybrid 204 품종들은 발아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일수가 90$\pm$2일정도로서 이 기간의 적산온도는 190$0^{\circ}C$이상이었다. 2) 유분함량이 높은 수원 001 peredovic, local black giant, Hungary, Sunbred 등은 발뢰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일수가 65~70일 정도로서 적산온도는 810$\pm$5$0^{\circ}C$로 그 폭은 비교적 큰 편이었다. 3) 생육 Stage중 발뢰기에서 개화기까지의 일사량과 수량간에, 적산온도와 임실비율간에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수량이 높은 품종군들의 두상화직경은 19cm이상이었다. 5)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간장 및 경태간에는 유의성은 인정되나, 이들 요인이 두상화중, 종실중함유율 등에는 크게 영향하지 않었고, 6) 우리나라 기상조건하에서 종실중, 유분함량이 높은 품종들은 비교적 발아기에서 발뢰기까지의 일수가 짧고 개화기에서 성숙기까지의 일수가 긴 품종군들이었다.

  • PDF

태안반도 하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Summer Marine Algal Floras and Community Structures in Taean Peninsula, Korea)

  • 유현일;이지희;이기훈;백상흠;허영범;노형수;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0-219
    • /
    • 2007
  • Th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ive sites of the Taean Peninsula, Korea, during July-August 2005. Ninety-six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4 green, 21 brown, and 60 red algae, and 1 marine plant. The common species that occurred at the five sites were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divaricatum, Caulacanthus okamurae, Gracilavia vermiculophylla, and Neorhodomela aculeata. Sthunbergii was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coverage and biomass at ail of the study sites. The average biomass varied from $23.72g/m^2$ in dry weight at Chaeseokpo to $66.43g/m^2$ at Padori. The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in term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41 coarsely branched forms, 25 filamentous forms, 16 sheet forms, 7 thick leathery forms, including the marine plant Phyllospadix iwatensis, 4 crustose forms, and 3 Jointed calcareous forms. The seaweed communities at the five study sites were unstable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bad or very bad. Among the five study sites, the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and diversity index (H') were maximal at Padori at 2.29 and 1.98, respectively. By contrast, the dominance index (DI) was minimal at Padori (0.55) and maximal at Baramarae (0.96).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rocky shore at Padori has the best environment among the five study sites, although the species richness and biomass of seaweeds have declined continuously over the last 10 years.

구획화재실험을 통한 온도 변화 예측 기법 연구 (The Study on the Prediction of Temperature Curve by Compartment Fire Experiment)

  • 권오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44-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서의 성능기반 화재안전 설계 시에 사용되는 구획공간에서의 화재 성상 분석을 위해서 사무실 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2.4(L){\times}3.6(W){\times}2.4(H)m$의 크기의 구획 Mock-up을 제작하고 구획 내부에는 화재하중 $18.74kg/m^2$을 적용하여 책상, 의자, 컴퓨터 등과 같은 실제 가연물을 배치하여 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화재실험 결과, 구획 공간의 내부 중앙에서는 394~408 s 사이에 $600^{\circ}C$에 도달하였고 구획 입구 모서리에서는 404~420 s 사이에 $600^{\circ}C$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실험을 통해 측정된 온도변화 데이터를 BFD 곡선에 적용하여 화재시 구획 공간내의 온도변화 예측 기법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화재실험을 통해 BFD 곡선 인자는 최대온도 $900^{\circ}C$, 최대온도 도달시간 7분과 형태계수 1.5로 결정하였다. BFD 곡선에 적용된 사무실 공간의 시간에 따른 온도 곡선은 화재초기에 빠르게 상승한 이후에 약 9분경 이후에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땅콩비닐 일피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inyl-mulching Culture of Peanut)

  • 이기백;나종성;노승표;이돈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7-74
    • /
    • 1979
  • 땅콩을 온도조건 및 재실거리를 이동시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온은 비닐 무피복구에 비하여 비닐 피복구가 4월중순경에 4.6$^{\circ}C$나 높았으며 초기생육의 왕성으로 햇빛을 차단하므로 6월중순부터는 지온이 떨어졌다. 2. 생육기간중에 착화수는 상당수에 이르나 그중 수정하여 자방병이 생기고 지하에 침입하여 결실하는 것은 58.8%이다. 3. 개화수의 대부분이 1~4지에 착생하나, 자엽정분지는 발육이 개화수의 60~70%를 점육하고 있다. 4. 총개화수는 분지의 차별 착생율에는 심한 차가 인정되었다. 5. 주당협실비율 및 결실비율은 밀식보다 소식에서 높았고 만파보다 조파에서 좋았다. 6. 유효개화 한계기는 7월중순이다. 7. 식물체분석은 경보다 엽이 N, Ca, Mg 함량이 많으나 P_2O$_{5}$, K_2는 엽보다 경에서 많았다. 8. 수량은 무피복 5월 10일(129kg/10a)에 비하여 비닐피복 5월 10일이 9%, 4월 20일이 49% 증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