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ous Compound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최적 토양 바이오 필터 혼합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mal Mixture Fraction of Soil Bio-Filter for Removing NOX)

  • 조기철;이내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47-1255
    • /
    • 2007
  • Soil biofiltration is an environmentally-sound technology for elimination of VOCs, odorous and $NO_X$ compounds from a low concentration, high volume waste gas streams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cost-effectiven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mixture fraction of briquet ash, compost, soil and loess for $NO_X$ degradation. Extreme vertices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role of four components on $NO_X$ degradation.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s, 74.5% of $NO_X$ degradation was observed, using a model mixture(25% briquet ash, 10% compost, 30% soil and 40% loess) containing 100 ppb of NO. It was shown that experimental design analysis could allow selecting optimal conditions in such biodegrad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퇴적층 배양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 형성과 이취미물질 발생 특성 (Form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Occurrences of Odorous Compounds by Sediment Incubation)

  • 김용진;윤석제;김헌년;박응로;황문영;박진락;이병천;이재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58-664
    • /
    • 2014
  • In this study, Uiam-sediment(US) and Gongji-sediment(GS) were incubated to analyze the form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occurrences of odorous compounds from benthic cyanobacteria. For the phytoplankton, 45 and 40 taxa were found in GS and US, respectively. The phytoplankton species detected in the harmful algae included Microcystis, Anabaena and Oscillatoria. As a result, a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appeared to be in the range of $0.9{\sim}71.8{\times}10^3$ cells/mL in GS, $0.8{\sim}51.2{\times}10^3$ cells/mL in US, and as the incubation progressed, benthic cyanobacteria was increased. The highest number of akinetes was shown in the initial incubation, and akinetes was reduced by 10% on day 4 of incubation start. After reduction of akinetes incubated for 4 days in US and 15 days in GS, Anabaena appeared from the surface water. Benthic cyanobacteria such as Oscillatoria tenuis, O. limosa and Lyngbya hieronymusii was dominant in GS (max. $3.96{\times}10^6cells/cm^2$) and US (max. $5.77{\times}10^6cells/cm^2$), forming cyanobacterial mats in sediment surface. Cyanobacterial mats were suspended after 10~12 days incubation in GS and US. Before and after the suspension of cyanobacterial mats, the concentration of geosmin was the highest in GS(115 ng/L) and US(175 ng/L). In the second suspension of cyanobacterial mats in GS, the concentration of 2-MIB was increased to the range of 22~92 ng/L.

생물학적 첨가제 살포에 의한 밀폐형 돈사에서의 악취 저감 평가 (Evaluation of Odor Reduction in the Enclosed Pig Building Through Spraying Biological Additives)

  • 김기연;최홍림;고한종;이용기;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67-478
    • /
    • 2006
  • 본 연구는 지금까지 돈사 악취 제어를 목적으로 이용되었던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살포 방법을 통해 실제 돈사 현장에 적용하여 악취 저감 효율 및 지속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금물, 인공 식향료, 식물성 천연향료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첨가제는 살포 전과 후의 악취 저감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지 않았다. 소금물의 경우 특히 암모니아 농도의 시간에 따른 저감율이 현저했는데, 이는 소금물의 염소 이온이 피트 분뇨내 암모늄 이온과 결합,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게 하여 대기 중으로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인공 식향료의 경우 악취 원인 물질 농도의 저감 현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관능법으로 평가된 악취 강도와 불쾌도 측면에서는 상당한 제어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인공 식향료가 돈사내 피트 슬러리에서 발생되는 악취 원인 물질을 분해한다기 보다는 돈사내 악취 은폐제로써 작용하여 지속성은 짧지만 효율적인 악취 저감 작용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성 천연향료의 경우 악취 강도와 불쾌도, 황 계열 악취 물질의 저감 효과가 다른 첨가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등하게 나타났다. 인공 식향료와는 달리 식물성 천연 향료는 은폐 효과와 더불어, 분뇨내 황 계열 악취 원인 물질을 생성하는 혐기성 미생물 군집의 생장을 제어하는 antimicrobial agent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악취 센서기를 통해 측정된 악취 농도는 위와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악취 센서기가 인공 식향료와 식물성 천연향료가 자체적으로 지닌 향 성분도 악취의 한 범주로 인식되어 유도된 결과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현장에서 수행된 분석 결과로 실험 당일 날의 외부 기후 상황 및 돈사내 환경 여건에 따른 돼지들의 반응 행동 양상에 따라 실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염두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비육돈 사료의 고추냉이 첨가수준별 분뇨의 악취물질 농도 변화 (The Effect of Horseradish Powder Level in Fattening Pig Diet on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from Manure)

  • 이강훈;황옥화;박규현;양승학;송준익;전중환;이준엽;오상집;성하균;최동윤;조성백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41-46
    • /
    • 2012
  • 서양고추냉이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1. 서양고추냉이 분말을 사료에 혼합하여 돼지에 급여한 후 분뇨의 단쇄지방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 사료에 고추냉이를 0.02% 혼합했을 때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이소발레르산, SCFA 및 I-SCFA 농도가 가장 높았다(p<0.05). 2. 페놀과 p-크레졸을 합한 페놀류 농도는 고추냉이를 0.01~0.02%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p<0.05). 인돌과 스카톨을 합한 인돌류 농도는 사료에 고추냉이를 0.03% 첨가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p<0.05). 3. 따라서 분뇨의 페놀류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료에 고추냉이를 0.02% 이하로 첨가하고, 인돌류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료에 고추냉이를 0.03% 정도 첨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악취성분중 황화합물에 대한 기기분석법의 적용 (Application of Analytical Instrument Method for Determining Level of Malodorous Sulfur Compounds.)

  • 유병태;최종욱;조기찬;이충언;김건흥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117-123
    • /
    • 1999
  • The analytical instrument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malodorous sulfur compounds emitted from industrial fields. Six factories and two sites which release malodorous substances into ambient air were sele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hydrogen sulfide($H_2S$), methylmercaptan(MeSH), dimethyl sulfide($Me_2S$), and dimethyl disulfide($Me_2S_2$) using automated thermal desorption system (STD400) and GC-FPD in summer and fall seasons of 1999. The Air sampler for ATD400 uses a small pump to draw sample and a mass flow controller to adjust sample amount without using a dilution apparatus. The trap temperature of ATD400 reached to $-80^{\circ}$ by supplying liquid nitrogen and $H_2S$ can be analyzed under this condition. The recovery rates of $H_2S$, MeSH, $Me_2S$, and $Me_2S_2$ of odorous sulfur compounds standard were shown 98.2%, 93.6%, 98.2%, 99.4%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Me_2S$ at outside boundary of G market, L factory, and J factory were 0.018ppm, 0.021ppm, 0.032ppm in summer,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H_2S$ at Nanjido landfill was 1.167ppm in summer, but that of $H_2S$ was not detected in fall because of soil covering. The concentration of H2S and $Me_2S_2$ at inside of Chonggye stream were 0.564ppm and 1.045ppm in summer, while those of H2S and Me2S2 were 0.285ppm and 0.465ppm in fall, respectively.

  • PDF

DNPH Cartridge를 이용한 악취성 카르보닐화합물의 분석회수율 비교 (Comparison of recovery rates of DNPH-Cartridge sampler in the analysis of odorous carbonyl compounds)

  • 홍원필;임승민;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446-4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악취성 카르보닐화합물(CC)의 채취에 많이 사용하는 DNPH cartridge의 분석 회수율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3종류의 DNPH cartridge (A =Waters, B = Top trading, C = Supelco) 제품을 대상으로 5가지 CC 성분들에 대하여 총 9 가지 농도단계(33~2600 nmol)의 작업용 표준시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제품들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분석 방식별, 제품별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cartridge 제품에서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 성분의 blank를 일반적으로 검출하였다. 검량 기울기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5 가지 CC성분에 대한 제품별 회수율 비교하였다. 그 결과, 3 가지 제품 모두 CC 성분의 분자량이 증가할 경우 회수능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회수율의 변화추이를 percent error(%)와 같은 변수로 살펴본 결과, 263 nmol 부터 1312 nmol 농도 범위에서 가장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분석 대상 CC에 대한 이상적인 농도범위와 cartridge의 선택이 정확한 분석자료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액상 가축분뇨의 처리 및 토양환원에 따른 악취 및 악취물질의 평가 (Evaluation of Odors and Odorous Compounds from Liquid Animal Manure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to Soils)

  • 고한종;최홍림;김기연;이용기;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53-466
    • /
    • 2006
  • 효율적인 악취방지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축산 뿐만 아니라 증가되는 악취 민원과 더욱 엄격해지는 법규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돈분뇨의 처리방법에 따른 액상분뇨 유래 악취 및 처리방법이 다른 액상분뇨를 토양에 살포시 발생하는 악취 및 악취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액상분뇨는 신선 분뇨,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 및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를 이용하였고, 토양 특성이 다른 논/밭 토양을대상으로 총 6처리 5반복 설계 배치하였다. 시료 포집은 관능법과 기기분석법에 사용될 시료를 각각 주사기와 테들러 백을 이용하여 액상분뇨와 액상분뇨를 살포한 토양의 상부공간에서 채취하였다. 악취 분석은 관능법을 이용하여 악취강도 및 불쾌도를 평가하였고, 기기분석법으로는 질소화합물 악취물질인 암모니아를 흡광광도법, 황화합물 악취물질인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다이메틸설파이드 및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를 GC-PF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과정이 다른 액상분뇨의 악취 및 악취물질 발생 평가에서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가 신선 분뇨 및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에 비해 악취강도, 불쾌도 및 악취농도 저감 효과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와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에서 발생되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및 암모니아의 평균농도는 각각 65.93 : 5.15 ppb, 18.55 : 0.97ppb, 5.26 : 0.80ppb, 0.33 : 0.56ppb 및 10.57 : 1.34ppm으로 분석되었다. 액상분뇨를 밭과 논 토양에 살포시 혐기성 소화 액상분뇨와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가 각각 51~94% 및 22~91%의 암모니아 저감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고온 호기성 소화 액상분뇨가 악취 저감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처리방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액상분뇨의 토양환원에서 발생되는 악취문제는 액상분뇨의 처리방법에 따른 악취발생 정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사료된다.

토양 Bio-Filter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x Using a Soil-Biofilter)

  • 조기철;고병익;이내현;조일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3-139
    • /
    • 2006
  • Soil biofiltration is an environmentally-sound technology for elimination of VOCs, odorous and NOx compounds from a low concentration, high volume waste gas streams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cost-effectiven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ffect of removal of gaseous NOx using a soil and a yellow soil. Over $60\%\;and\;48\%$ of NOx from a soil and a yellow soil was removed at the inlet NO concentrations of $423\~451$ppb, respectively. The bio-filter using a soil media was capable of purifying NOx with a different natural processes. Although some of the processes are quite complex, they can broadly be summarized as adsorption into soil pore water, and biochemical transformations by soil bacteria. When the filteration bio-reactor was applied to a soil and a yellow soil, effective NOx removal was obtained for several times and months. These results show that a soil biofilter can be of use as an alternative advanced NOx treatment system.

시멘트공장 소성로 악취 배출특성 (Charaterization of Odor from Cement Kiln)

  • 김지현;임희아;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94-703
    • /
    • 2017
  • 최근 시멘트 공장의 소성로 배출가스 악취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생활환경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 앞서, 시멘트 공장에서의 악취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장 주요 악취발생원으로 예상되는 소성로 배출가스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악취 유발 가스의 대기 흐름과 희석, 확산 효과를 수치적으로 해석하고, 지역생활 환경 개선 및 친환경적 시멘트 생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일정한 풍향 및 풍속이 지속될 경우 특정 지점에서 악취의 영향이 발생될 수 있으며, 풍향 및 풍속의 변화율이 증가될수록 악취 영향은 감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관거 및 토구에서 발생하는 유황계 화합물 악취특성 (Odor Characteristics of Malodorous Sulfur-containing Gas Emitted from a Sewer and Its Outlets)

  • 박상진;권수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77-48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dors emitted from sewage in a sanitary sewer and its outlets. Methods: The concentration of mal-odorous sulfur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 and odor intensity was estimated by an on-site sensory test. Odor intensity calculated from instrumental analysis results was compared with odor intensity observed at field. Results: As a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H_2S$ ranged from 2.4 ppb to 5,889 ppb (average 703 ppb), while $CH_3SH$, $(CH_3)_2S$, and $(CH_3)_2S_2$ showed from 10 ppb to 554 ppb (average 119 ppb) and from 20 ppb to 332 ppb (average 70 ppb) and from 2.7 ppb to 8.1 ppb (average 5 ppb) individually. Average odor intensity observed in the field was degree three. Odor intensity calculated from sulfur compound concentration was confirmed as similar to the observed odor intensity because the coefficient of variance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calculated intensities was less than one. Conclusion: It wa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design a deodorizing device to reduce odor emissions from sewerage faciliti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