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an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생물학적 자극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돼지 페로몬성 냄새 물질의 탐색: Ⅱ. 휘발성 냄새분자의 리간드와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pOBP) 사이의 결합 친화력에 관한 홀로그래피적 QSAR 모델 (The Search of Pig Pheromonal Odorants for Biostimulation Control System Technologies: Ⅱ. Holographic QSAR Model for Binding Affinities between Ligands of Volatile Odorants Molecules and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pOBP))

  • 성낙도;박창식;최양석;명평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43-48
    • /
    • 2005
  • 돼지 웅성 페르몬인 5a-androst-16-en-3-one을 대체할 수 있는 활성 분자를 탐색하여 가축의 생산과 수요를 조절하기 위한 생물학적 자극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냄새 분자로서 2-cyclohexyloxytetrahydrofurane (A) 및 2-phenoxytetrahydrofurane (B) 유도체들의 구조 변화와 수용체인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pOBP)에 대한 결합친화력 상수(p[Od.]/sub 50/) 사이의 정량적인 구조-활성관계에 관한 분자 HQSAR 모델XI을 유도하였다. 냄새 분자 중에서 cyclohexyl-치환체(A)가 phenyl-치환체(B)보다 높은 결합 친화력을 나타내었으며(A>B) 모델XI은 분자 조각크기(5∼8), 홀로그램 길이(97 bin)의 키랄성(chirality)조건에서 예측성(q²=0.916)과 상관성(r²=0.988)이 매우 양호하였다. 기여도(contribution map)로부터 냄새 분자의 결합 친화력 상수에 기여하는 부분은 2-oxyfuryl group의 C3 및 C5 원자인 반면에 cyclohexyl 고리상 tert-butyl group의 중심 탄소 원자와 furyl group의 C4 원자 부분은 기여하지 않았다.

스마트 웨이브 조성물질의 odorant 결합 단백질에 대한 분자 결합 친화도 비교 분석 및 후각 흡입으로 유도되는 뇌파 변화 연구 (Brain Wave Control Effect of Smart-wave via Docking into the Odorant-binding Protein)

  • 김동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6-352
    • /
    • 2016
  • 전통적으로 향기(aroma) 치료법은 대체 의학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정신과 치료에서도 실제로 널리 활용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odorant-binding protein (OBP) 활성 부위에 대한 스마트 웨이브(SW) 주요 화학적 조성물과 OBP 활성 리간드인 citrate anion 결합 친화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SW는 OBP 활성 부위에 대해 citrate anion보다 훨씬 높은 분자 결합 친화도를 나타내었다. 임상적으로 SW혼합 조성물을 후각으로 흡입한 전/후, 뇌파에 어떠한 변화가 유도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18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SW 흡입 전/후 뇌파의 명상(안정감) 변화 지수를, 악취를 내는 음성 대조군(EV)과 파우더향을 발산하는 양성 대조군(HB) 흡입 전/후의 변화 값과 비교하였다. SW를 흡입한 실험군에서는 SW를 흡입하고 난 후 상쾌함을 경험하였다는 반응을 나타냈으며 SW흡입군에서는 EV흡입군과 HB흡입군에 비하여 뇌파의 명상 지수가 현저하게 안정된 값으로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V흡입 이후 SW를 흡입하였을 때 뇌파 명상 지수가 안정 뇌파값 범위로 개선되었다. 결과적으로 SW혼합 조성물은 OBP에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OBP를 활성화 시키고, SW 흡입은 뇌파를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심리적 상태를 현저하게 안정화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SW흡입법은 외부의 스트레스 자극으로부터 뇌 활성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향기 치료법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eneral Odorant Using Electroantennogram of Male Silkworm Moth, Bombyx mori

  • Yun, Enug-Sik;Park, Tai-H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2호
    • /
    • pp.150-152
    • /
    • 2000
  • The investigation of electroantennogram (EAG) using insect antennad has been primari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insect pheromone. Insect has highly specialized olfactroy receptors inside their antennae. In this paper, EAG was applied to detect general oborants and the feasibility of this system for the olfactroy biosensor was investigated. Electroantennogram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antennae of male silkworm moth, bombyx mori, and ammonia gas as the model odorant. EAG parametres including peak ampiltude increased linearly with the ammonia concentration and the reproducible electrical signals were generated at least for 2 hrs after the antenna was cut off from the sulkworm moth.

  • PDF

화상 시뮬레이터에 고속 운전 중 향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Autonomic Responses due to Odorant Stimulation during fast Vehicular drivingina Graphic Simulator)

  • 김유나;민병찬;정순철;김수진;민병운;남경돈;한정수;김철중;박세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235-239
    • /
    • 2000
  • 본 연구는 화상 시뮬레이터 상에서 고속 주행(160km/h)으로 긴장감을 유발시킨 후, 향이 긴장감의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에 사용된 향은 100%의 Jasmineabs, Lavender oil france(KIMEX co. Ltd)이다. 10명의 신체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Simulator sickness와 생리 반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리 신호는 심전도, 피부온도, 피부저항, 맥파와 같은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또한 Simulator Sickness가 실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고속 주행 시 향을 제시하지 않았을 때보다 2가지 향을 제시하였을 때 긴장감이 모두 이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속 주행으로 유발되는 신체의 긴장감이 향 자극으로 인해 감소된다는 사실을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SAW 디바이스를 이용한 냄새센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odorant sensor using SAW Device)

  • 김기영;김종민;신훈규;최웅성;권영수;장상목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457-1459
    • /
    • 1994
  • A surface acoustic wave(SAW) sensor for the detection of odorants has been constructed by depositing various phospholipids and fatty acids onto the surface of the SAW device. Applying the Langmuir-Blodgett technique, it was possible to deposit the optimal number of layers which was found to be between 10 and 20. Menthone, amylacetate, acetoin, and other organic gases showed different affinities to the coated lipids. An explanation is given for different odorant affinities based on the monolayer properties of phospholipids.

  • PDF

Characteristics of Electroantennogram Parameters for the Detection of Odorants

  • Yun, Eung-Sik;Ko, Hwi-Jin;Sun, Jong-Hwan;Park, Tai-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885-888
    • /
    • 2000
  • Electroantennogram(EAG) can be applied to detect odorants since insects have highly specialized olfactory receptors inside their antennae. The characteristics of EAG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 general odorant using ammonia as a model odorant. The antennae of male silkworm moth, Bombyx mori, were used for the EAG. The electical signal curves generated from a pair of antennae originating from the same silkworm moth were never identical; however, they exhibited a typical type I or type II characteristic curve pattern for every pair of antenna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G parameters and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analyzed for the type I and type II antennae. The stability of each parameter was also investigated for each type of antenna. Th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eneral odorants using the EAG technique.

  • PDF

Inhaled Volatile Molecules-Responsive TRP Channels as Non-Olfactory Receptors

  • Hyungsup Kim;Minwoo Kim;Yongwoo J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2호
    • /
    • pp.192-204
    • /
    • 2024
  • Generally, odorant molecules are detected by olfactory receptors, which are specialized chemoreceptors expressed in olfactory neurons. Besides odorant molecules, certain volatile molecules can be inhaled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often leading to pathophysiological changes in the body. These inhaled molecules mediate cellular signal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Ca2+-permeabl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channels in peripheral tissues. This re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RP channels that are involved in the detection and response to volatile molecules, including hazardous substances, anesthetics, plant-derived compounds, and pheromones. The review aims to shed light on the b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sensing of inhaled volatile molecules. Therefore, this review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TRP channels in the response to inhaled molecules, providing insights into their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and disease.

액화천연가스(LNG) 사용시설내의 부취농도 분포 및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dorization Levels and Management in the Facility using Liquified Natural Gas(LNG))

  • 원승연;신헌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5-32
    • /
    • 2019
  • 많은 대량소비 가스시설에서는 천연가스를 가스공사의 배관망을 통해 공급받지 못하여 탱크로리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를 가스공사로부터 공급받아 기화시켜 사용한다. 이러한 시설에서 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 또는 재산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입하는 부취제가, 최초지점과 소비지점들에서 어떤 농도로 분포하는지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정한 유량이 흐를 때 가스시설내의 배관위치에 따라 부취농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시료채취는 알루미늄 재질의 4.5 L 용기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부취제가 주입되는 정압기와 가스가 사용되는 소비지점에서 시료를 포집하였다. 포집된 가스시료로부터 가스크로마토그래피(Main Body : Agilent 7890A, Detector : ANTEC 7090)를 이용하여 부취제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안전한 가스시설관리를 위하여 대량수요자 시설의 형태별로 부취농도 관리방법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