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 causing compound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wine excreta

  • Recharla, Neeraja;Kim, Kihyun;Park, Juncheol;Jeong, Jinyoung;Jeong, Yongdae;Lee, Hyunjeong;Hwang, Okhwa;Ryu, Jaehyoung;Baek, Youlchang;Oh, Youngkyun;Park, Sungkw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8.1-28.8
    • /
    • 2017
  • Background: Major amino acids in pig diets are Lys, Met, Thr, and Trp,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specially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feces of growing-finishing pigs. To this end, different levels of amino acid composition added to die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odorous compounds concentration. Methods: A total eight (n = 8) barrow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weight of $89.38{\pm}3.3kg$ were individually fed diets formulated by Korean Feeding Standards 2007 (old version) or 2012 (updated with ideal protein concept) in metabolism crates with two replication. After 15-day adaptation period, fresh faecal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pigs every week for 4 weeks and analysed for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phenols and indoles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nitrogen was determined by Kjeldahl method. Bacterial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using a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 Results: Level of VFA tended to be greater in 2012 than 2007 group. Among VFAs, 2012 group had greater (p < 0.05) level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than control.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feces was also affected by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Levels of ammonium and indoles tended to be higher in 2012 group when compared with 2007 group.Concentration of phenols, p-cresol,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Kjeldahl nitrogen, however, were lower (P < 0.05) in 2012 treatment group compare to 2007. The proportion of Firmicute phylum were decreased, while the Bacteriodetes phylum proportion increased and bacterial genera includingCoprococcus, Bacillus, and Bacteroides increased (p < 0.05) in 2012 compare to 2007 group. Conclusion: Results from our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well balanced amino acid composition reduces odor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al community. Administration of pig diet formulated with the ideal protein concept may help improve gut fermentation as well as reduce the odor causing compounds in pig manure.

메조공극 흡착제를 이용한 상수원수내 맛·냄새 유발물질 제거특성 평가 (Evaluation of Removal Characteristics of Taste and Odor Causing Compounds using Meso-Porous Absorbent)

  • 김종두;박철휘;윤여복;이대성;김효전;강석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6-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메조공극 흡착제(Meso-Porous Adsorbent, MPA)에 대한 흡착특성을 평가하고, 상수원수 내 맛 냄새유발물질인 geosmin에 대한 흡착제거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해 평가하는데 있다. 등온흡착에 대한 실험결과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Langmuir식과 Freundlich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PA는 Langmuir식과 Freundlich식 모두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흡착속도 평가를 위해 1차 속도식과 2차 속도식을 각각 적용하였다. 본 흡착특성 평가결과 MPA를 이용할 경우 기존 입상활성탄에 비해 최대 흡착량이 7배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1차 속도식 기준으로 흡착속도는 11배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PA를 정수장에 적용할 경우 짧은 EBCT 조건에서도 효과적으로 상수원수 내 geosmin을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활성탄 공정에 비해 재생주기가 짧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말 활성탄에 의한 먹는 물 내의 이취미 물질 제거 (Removal of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in Drinking Water by Powdered Activated Carbon)

  • 채아나;신재원;조강우;이병찬;송경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475-483
    • /
    • 2017
  • 녹조현상 발생시 남조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취미 물질인 Geosmin과 2-methylisoborneol(2-MIB)는 수돗물에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로서 제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에서는 이취미 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활성탄을 사용하고 있으나 활성탄의 기공 분포와 활성탄의 입자크기가 이취미 물질 흡착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활성탄의 기공분포와 활성탄의 입자 크기가 이 취미 물질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말활성탄(PAC), 입상활성탄(GAC), 활성탄소섬유(ACF)의 이취미 물질 흡착을 비교한 결과, PAC > ACF > GAC 순서로 이취미물질 흡착제거효율이 높았다. 다양한 기공분포 특성을 갖는 분말활성탄들을 비교한 결과, 미세기공이 잘발달된 경우가 Geosmin과 2-MIB의 흡착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자 크기의 경우에는 작을수록 Geosmin과 2-MIB의 흡착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PAC를 이용한 2-MIB와 Geosmin의 흡착특성과 제거에 관한 연구 (The Removal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2-MIB & Geosmin using PAC)

  • 전대영;이현주;홍성호;윤제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2097-2104
    • /
    • 2000
  •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이취미 문제는 주로 조류나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신진대사에 기인한다. 이취미와 관련한 원인물질은 주로 MIB와 Geosmin으로서 이는 9ng/L와 4 ng/L의 아주 저농도에서도 흙과 곰팡이 냄새를 일으킨다. 정수처리공정에서는 분말활성탄을 이용한 이취미 유발물질 제어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성분과 이성분계에 있어서의 흡착등온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PAC 투여량과 반응시간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또한 원수를 이용하여 수중에 포함된 자연유기물질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유기물질의 유무에 관계없이 Geosmin의 흡착능이 우수하였으며, 자연유기물질이 존재할 경우 MIB와 Geosmin 모두 4배 정도의 흡착능 저하를 보였다. 초기농도 100ng/L 정도의 원수의 경우 99%의 제거율을 얻기 위해서는 PAC 투여량 20mg/L, 4시간 이상의 반응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 PDF

대구지역 공단과 인근 주거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Levels in Industrial Complex and Nearby Residential Areas of Daegu)

  • 조완근;이진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19-525
    • /
    • 2004
  • Air pollution from the Daegu industrial complex (Die) in Korea has been a common nuisance and cause of complaints for nearby residents. The current study measured the indoor and outdoor levels of six VOC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three isomeric xylenes) at two residential areas with a different proximity to the ODIC, plus the ambient levels at two industrial areas within the boundary of the DDIC. The QA/QC program included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 (0.94-0.99) for calibration curve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Toluene was the most abundant VOC in the ambient air both in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Both indoor and outdoor air concentrations of all target VOC except benzene were higher in residential area near the DIC compared to that further away from the DIC. Moreover, the ambient air concentrations of all target VOC except benzene for two industrial sites (A and 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utdoor or indoor air concentrations in the two residential areas. The findings further suggested that VOC ambient levels measured in a residential area near the DIC be used as a potential indicator of odor-causing unidentified air pollutants transported from the DIC.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elevated ambient toluene levels outweighed the indoor sources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residents nearby the DIC. However, in the residential area further away from the DIC, the toluene indoor sources outweighed the outdoor sources.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이취미 물질 산화 제거 (Removal of Odorous Compounds Using Ozone and Hydrogen Peroxide)

  • 이화자;손희종;노재순;이상원;지기원;유평종;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323-1330
    • /
    • 2006
  •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을 이용한 급속 모래여과 처리수 중의 geosmin 제거에서 오존만 20 mg/L 투입한 경우보다 오존 5 mg/L와 과산화수소 0.2 mg/L를 투입하여 처리한 경우가 더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에 의해 원수 중에 함유된 geosmin의 경우는 급속 모래여과 처리수보다 $12{\sim}27%$ 정도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급속 모래여과 처리수 중에 함유된 geosmin과 IPMP에 대해 오존 투입농도별로 투입된 과산화수소와 오존의 비($H_2O_2/O_3$)에 따른 제거율을 살펴본 결과, 오존농도가 1 mg/L 이하의 경우에서는 $H_2O_2/O_3$ 비가 적정 비율 이상으로 높아지면 geosmin과 IPMP 제거율이 감소하였으며, 적정 $H_2O_2/O_3$ 비는 실제 정수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후오존 투입농도인 $1{\sim}2$ mg/L에서 geosmin의 경우 $0.5{\sim}1$, IPMP의 경우 $0.2{\sim}1$로 나타났으며, 원수 중에 함유된 geosmin 제거를 위한 적정 $H_2O_2/O_3$ 비는 오존 투입농도 $1{\sim}2$ mg/L 범위에서 $1{\sim}3$ 정도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급속 모래여과 처리수에 함유된 이취미 물질 5종에 대한 오존(0.5, 1.0, 2.0 mg/L) 투입농도별 잔존율을 살펴본 결과, IPMP의 제거율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이 오존 단독공정 보다 제거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을 이용한 BDOC 생성능을 오존 투입농도 $0.5{\sim}2$ mg/L에서 과산화수소 투입농도별로 조사한 실험에서 오존/과산화수소 공정이 오존 단독공정보다 추가적으로 0.9 정도의 BDOC/DOC 비가 상승하여 0.34까지 증가하였다.

냄새저감형 율무청국장 제조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Odor-Reduced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dded with Job's Tears)

  • 박주헌;한찬규;최숙현;이복희;이혜정;김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9-266
    • /
    • 2011
  • 율무의 첨가가 청국장 냄새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두와 율무의 혼합 비율별 가공 적성 조사 및 적정 배합비 설정, 이에 따른 관능특성 평가, 향기 패턴 및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두만 사용된 대조구와, 대두와 율무를 각각 1:1, 2:1, 3:1, 4:1의 비율로 혼합한 처리구에 Bacillus subtilis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국장과 재래식 청국장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율무청국장의 열량, 지방, 단백질, 회분,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수분과 탄수화물은 높았다. pH는 율무청국장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색도는 율무의 함량이 높을수록 백색도와 황색도는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점질물 함량은 율무청국장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점질물 중의 glutamic acid 함량은 율무청국장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fructose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대두와 율무 4:1 처리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대조구와 율무청국장의 향기패턴은 재래식 청국장과 확연하게 달랐으며, 두 처리구는 비슷한 패턴이지만 구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대조구보다 율무청국장에서 pyrazine류 화합물이 적게 동정되어 청국장 냄새가 적게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냄새의 강도 관능평가 결과도 율무청국장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에서 율무청국장을 제조할 때 율무의 함량은 20%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율무청국장은 일반 청국장에 비해 냄새 저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단 나노여과 공정에서 고농도 geosmin 및 2-Methylisoborneol (MIB)의 제거특성 (Rejection property of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MIB) with high concentration level at multi stage nanofiltration (NF) membrane system)

  • 유영범;최양훈;김동진;권순범;김충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7-409
    • /
    • 2014
  • Algal problem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s being gradually increased by causing deterioration of water supplies therefore, especially taste and odor compounds such as geosmin and 2-MIB occur mainly aesthetic problem by its unpleasant effects resulting in the subsequent onset of complaints from drinking water consumer. Recently, geosmin and 2-MIB are detected frequently at abnormally high concentration level. However,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without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adsorption and oxidation process, cannot remove these two compounds efficiently. Moreover, it is known that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es i.e. adsorption and oxidation have also several limits to the removal of geosmin and 2-MIB.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valuate full scale nanofiltration membrane system with $300m^3/day$ of permeate capacity and 90% of recovery on the removal of geosmin and 2-MIB in spiked natural raw water sources at high feed concentration with a range of approximately 500 to 2,500 ng/L, but also to observe rejection property of the compounds within multi stage NF membrane system. Rejection rate of geosmin and 2-MIB by NF membrane process was 96% that is 4% of passage regardless of the feed water concentration which indicates NF membrane system with an operational values suggested in this research can be employed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to control geosmin and 2-MIB of high concentration. But, according to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eed water concentration of geosmin and 2-MIB would not exceed 220 and 300 ng/L respectively which is not to be perceived in drinking tap water. Also it suggests that the removal rate might be depended on an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feed water characteristics and membrane flux. When each stage of NF membrane system was evaluated relatively higher removal rate was observed at the conditions that is lower flux, higher DOC and TDS, i.e., $2^{nd}$ stage NF membrane systems, possibly due to an interaction mechanisms between compounds and cake layer on the membrane surfaces.

과열 증기 처리에 따른 양파의 향기 성분 및 품질특성 (Effects of superheated steam treatment on volatile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 이미현;이교연;김아나;허호진;김현진;천지연;최성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9-377
    • /
    • 2016
  • 본 연구는 과열증기처리 기술을 양파에 적용하여 불쾌취를 저감화하고, 이를 통해 고품질 양파 가공품 개발 및 소재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과열증기처리에 따른 양파의 휘발성 물질, 불쾌취 유발 물질과 항산화활성, 조직감, 관능적 특성 등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과열증기처리에 의해 휘발성 향기성분 및 불쾌취와 매운맛의 지표 물질이 저감화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활성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ardness, chewiness 등은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추출액의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처리에 의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처리에 따라 기호도 점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과열증기 처리가 양파의 불쾌취저감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과열증기 기술을 적용한 양파의 불쾌취 저감화 및 이를 통한 다양한 고품질 가공품 개발 및 소재화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과열증기오븐 처리를 통해 불쾌취를 조절함과 동시에 생리활성능을 지니는 향기 성분 및 유용성분의 감소는 최소화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화학사고 원인물질 분석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Causing Substances Using a Proton Transfer Reac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 김소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80-86
    • /
    • 2019
  • 국내에서는 2012년부터 2018년 까지 총 556건의 화학사고가 발생하였다. 화학사고 중 두 가지 이상의 화학물질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는 그 원인물질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효과적인 사고대응과 수습을 위해서 신속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한 화학사고의 원인물질 파악을 위해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이 분석기는 시료채취와 전처리 없이 빠른 응답시간을 가져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며 또한 수소친화도가 높은 대부분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정량·정성 분석이 가능하여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화학사고의 원인 물질을 조사하는데 적합하다. 실제로 201◯년 ◯월에 ◯◯ 지역 화학사고 발생 시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메탄올과 톨루엔 등이 검출되는 것을 알았으며 이상반응에 의해 발생된 황 계열 화합물이 사고 주변의 강한 악취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