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l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6초

UML 모델을 위한 메트릭 기술 언어 : MDL4UML (Metrics Description Language for UML Model : MDL4UML)

  • 김태연;박진욱;채흥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5호
    • /
    • pp.492-496
    • /
    • 2008
  • 객체지향 모델의 제약을 표현하는 OCL의 용도를 확장하여 UML 모델에 적용할 메트릭을 기술하는 언어로 사용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OCL로 메트릭을 기술하면 복잡한 OCL 문장으로 인하여 메트릭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CL의 기본 요소를 추상화시킨 새로운 메트릭 기술 언어(MDL4UML)를 정의하였다. MDL4UML은 OCL의 기본요소를 추상화함으로써 OCL을 이용하여 메트릭을 기술하는 메트릭 디자이너가 이해하기 쉽고 간략하게 메트릭을 기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근관세정제와 상호작용시 Hydroxyethylidene bisphosphonate (HEBP)의 조직용해능력, 항균효과에 대한 연구 (Interaction of Hydroxyethylidene bisphosphonate (HEBP) with other endodontic irrigants on tissue dissolving capa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 김난아;김윤건;김미연;송병철;김선호;김정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3
    • /
    • 2017
  • 목적: 근관 세정제로서 Hydroxyethylidene bisphosphonate (HEBP)가 다른 근관 세정제인 Sodium hypochlorite (NaOCl), Et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상호 작용 시 조직용해 능력, 항균효과와 온도에 따른 조직 용해 능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소의 근육으로 제작된 동일한 단면적($2{\times}2{\times}2mm$)을 가진 80개의 시편을 8개의 그룹(n = 10)으로 임의로 나누었다. 초기 무게 측정 후 각각의 제조된 근관 세정제에 넣어 5분, 10분, 15분 후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변화율을 구하였다. 항균 효과 조사를 위해 Enterococcus faecalis를 접종한 agar diffusion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 용해 능력은 NaOCl group (G4, 5)이 가장 뛰어났으며, NaOCl과 HEBP의 혼합물(G7, 8)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열된($40^{\circ}C$) NaOCl과 NaOCl/HEBP의 혼합물의 경우 실온($25^{\circ}C$)보다 우수한 조직용해 능력이 나타났다. 항균 효과의 경우 EDTA > EDTA + 1% NaOCl > $1%\;NaOCl{\geq}1%\;NaOCl$ + HEBP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HEBP는 NaOCl 의 항균 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며, 조직 용해 능력에도 기존의 킬레이팅 제재에 비해 적은 영향을 미친다. 가열된 NaOCl, NaOCl과 HEBP의 혼합재제는 실온과 비교 시에 효율적으로 조직을 용해할 수 있다.

Sodium Hypochlorite 처리가 몇가지 작물의 종자소독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dium Hypochlorite Treatment on Incidence of Seed-borne Fungi in Several Crop Seeds)

  • 구자형;유승헌;이향범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8-24
    • /
    • 1993
  • 일반소독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NaOCl을 종자소독제로써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확립하고자 종자전염에 의한 병해 발생이 많은 볍씨와 채소종자를 대상으로 소독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aOCl의 참깨 종자 소독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NaOCl의 농도가 높을 수록 그리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종자 소독 효과가 뚜렷 하였으나 종자 발아 장해를 일으켰다. 종자발아율을 높이며 소독효과가 우수한 종자 처리 방법은 NaOCl 1-2%에서 10분간 침지하는 것이었고, 벼 종자소독 효과는 NaOCl 농도 1-2%에서 침지시간을 30분 이내로 하는 것이 좋았다. 2. 무, 배추 종자 소독 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NaOCl 농도 1%에서 10분간 침지할 경우 각종 Alternaria균의 검출율을 현저히 저하시켰고, 고추종자에서는 NaOCl 농도 1%에서 10분간 침지할 경우 각종 탄저병균의 검출율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3. 종자전염성 진균에 대한 NaOCl의 소독 효과는 종자소독제인 Benlate T에 비하여 참깨종자에서는 우수하게 나타났고, 볍씨에서는 비슷하였다. 그러나 NaOCl은 처리농도가 높고 시간이 긴 경우에는 발아장해를 초래하였다.

  • PDF

이벤트 위주의 실시간 OCL과 그 응용 (An Event-Driven Real-Time OCL and Its Application)

  • 최성운;이영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12호
    • /
    • pp.921-929
    • /
    • 2001
  • PCL(Object Constraint Language)은 UML, 메타모델을 정밀하게 명세화하기 위해서 UML 의미론의 도큐먼트에 사용되어졌다. 피리고 UMLl-은 실시간 UML 웹 개발 UML 등과 같이 다양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확장되었다. 특히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할 때 적시성, 동시성, 예측성, 신뢰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 UML을 정밀하게 표현하고 구현을 쉽게 하기 위해서 OCL을 사용해야 하지만 현재의 OCL로 실시간을 묘사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실시간 언어고 쉽게 변환이 가능하도록 이벤트 위주로 실시간 OCL을 제안하였고 그 효용성의 검증으로서 권선기 시뮬레이터 개발에 응용하였다.

  • PDF

OCL을 이용한 상태 기계의 메타모델링 (State Machine Meta-Modeling Using OCL)

  • 구자철;권기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37-39
    • /
    • 2002
  • 정형 언어 OCL은 UML의 한 부분으로써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상태 기계의 조건을 표현하는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OCL을 이용하여 상태 기계를 메타모델링 하는데는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UML/OCL은 모델의 정적인 구조를 강조하지만, 시스템이나 서브 시스템의 시간과 환경에 대한 반응을 고려는 미흡하다. 또한, 시스템의 변화에 있어 시그널은 오퍼레이션과 유사하지만 상태 기계에서만 다루어진다. 결국,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고려는 상태 기계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명세 될 수 있으며, 현재 OCL의 확장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 PDF

Sodium Hypochlorite(NaOCl)의 해산어류에 대한 단기노출의 영향 (Short-term Effects of Sodium Hypochlorite (NaOCl) in Marine Fishes)

  • 박관하;한조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2호
    • /
    • pp.135-140
    • /
    • 2002
  • 넙치는 단기간 NaOCl에 대한 노출에 대해 2ppm이하에서는 육안적으로 관찰시 심각한 이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조피볼락에서는 2.5ppm까지 급성적으로 안전하였다. 넙치와 조피볼락에서의 1시간 LC$_{50}$은 각각 3.24ppm 및 7.58ppm이었다. 조피볼락을 NaOCl로 1시간 노출시키고 혈액학적 및 혈장생화학적 변수를 측정하였을 때 2ppm이상의 농도에서 glucose의 농도가 현저히 상승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생화학적 변수에도 이상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Glucose는 거의 모든 종류의 stress에 의해서 신속히 증가하는 변수로서 이 시험에서 발견된 증가현상도 NaOCl이 가진 냄새 또는 화학적 자극성에 의한 stress의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몰리브덴(V)의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의 착물합성과 그 성질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iethylenetetraamine Complexes of Molybdenum(V))

  • 김창수;오상오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5-159
    • /
    • 1982
  • Trien$H_4(MoOCl_5)_2,\;(MoOCl_3)_2$(trien) 및 $Mo_2O_4Cl_2$(trien)등의 몰리브덴(V)의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착물을 합성하고 이들 착물의 화학적, 자기적 및 분광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Trien$H_4(MoOCl_5)_2$는 파란색 결정으로 무수에탄올에서 탈염화수소시켜 비전해질인 상자성착물 $H_4(MoOCl_5)_2$(trien)을 얻고 또한 $H_4(MoOCl_5)_2$Trien를 가수분해시켜 갈색의 비전해질인 반자성착물$Mo-2O_4Cl_2$(trien)을 얻었다.

  • PDF

NaOCl로 처리된 치수강 상아질에서 sodium ascorbate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DIUM ASCORBAT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TO PULP CHAMBER DENTIN TREATED WITH NAOCL)

  • 전수연;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45-55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NaOCl로 처리된 치수강 상아질에 total-etching adhesive system(single bond, 3M-ESPE, St Paul, MN, USA)을 적용할 때 미세인장결합강도에서 sodium ascorbate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건전한 인간 대구치의 치수강 내면을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1군, 0.9% NaCl로 세척; 2군, 5.25% NaOCl로 세척; 3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분간 적용; 4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5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5분간 적용; 6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5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7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0분간 적용; 8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0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처리된 시편들은 total-etching adhesive system(Single bond)으로 처리한 후 composite resin(Z250)으로 충전하고,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전 24시 간 동안 보관하였다. 분석 결과 NaOCl 처리 군(2군)은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NaCl 처리 군(1군)과 sodium ascorbate 처리 군(3-8군)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NaOCl로 처리한 치수강 상아질의 Single bond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는 감소되며, 10% sodium ascorbate를 추가적으로 처리하였을 때 감소된 결합력이 회복됨을 보여주었다. Sodium ascorbate의 다양한 처리시간은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ffects of NaOCl on Neuronal Excitability an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in Rat Spinal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 Lee, Hae In;Park, A-Reum;Chun, Sang 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5-12
    • /
    • 2013
  •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n act as modulators of neuronal activity, and are critically involved in persistent pain primarily through spinal mechanis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OCl, a ROS donor, on neuronal excitability and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i$) in spinal substantia gelatinosa (SG) neurons. In current clamp conditions, the application of NaOCl caused a membrane depolarization, which was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phenyl-N-tert-buthylnitrone (PBN), a ROS scavenger. The NaOCl-induced depolarization was not blocked however by pretreatment with dithiothreitol, a sulfhydryl-reducing agent.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was used to confirm whether NaOCl increases the intracellular ROS level. ROS-induced fluorescence intensity was found to be increased during perfusion of NaOCl after the loading of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H_2DCF$-DA). NaOCl-induced depolarization was not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external $Ca^{2+}$ free solution or by the addition of nifedifine. However, when slices were pretreated with the $Ca^{2+}$ ATPase inhibitor thapsigargin, NaOCl failed to induce membrane depolarization. In a calcium imaging technique using the $Ca^{2+}$-sensitive fluorescence dye fura-2, the $[Ca^{2+}]_i$ was found to be increased by NaOC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aOCl activates the excitability of SG neurons via the modulation of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and suggest that ROS induces nociception through a central sensitization.

Effect of phytic acid as an endodontic chelator on resin adhesion to sodium hypochlorite-treated dentin

  • Mohannad Nassar;Noriko Hiraishi;Md. Sofiqul Islam;Maria JRH. Romero;Masayuki Otsuki;Junji Tagam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4호
    • /
    • pp.44.1-44.9
    • /
    • 2020
  • Objectives: Phytic acid (IP6), a naturally occurring agen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to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However, its effect on adhesion to sodium hypochlorite (NaOCl)-treated dentin and its interactions with NaOCl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Thu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P6 on resin adhesion to NaOCl-treated dentin and the failure mode were investigated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used agents were analyzed. Materials and Methods: Micro-tensile bond strength (µTBS) testing was performed until failure on dentin treated with either distilled water (control), 5% NaOCl, or 5% NaOCl followed with chelators: 17% EDTA for 1 minute or 1% IP6 for 30 seconds or 1 minute. The failed specimens were assess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action of NaOCl with EDTA or IP6 was analyzed in terms of temperature, pH, effervescence, and chlorine odor, and the effects of the resulting mixtures on the color of a stained paper were recorded. Results: The µTBS values of the control and NaOCl with chelato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treated with NaOCl only. In the failure analysis, a distinctive feature was the presence of resin tags in samples conditioned with IP6 after treatment with NaOCl. The reaction of 1% IP6 with 5% NaOCl was less aggressive than the reaction of the latter with 17% EDTA. Conclusions: IP6 reversed the adverse effects of NaOCl on resin-dentin adhesion without the chlorine-depleting effect of ED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