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cean Color

Search Result 44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erformance Estimation of Receiving Data Parket of TT&C System on the Pass Time of LEO Satellite (저궤도 위성의 통과시간에서 관제 시스템의 수신 데이터 패킷 성능 예측)

  • 장대익;김대영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8A
    • /
    • pp.1149-1155
    • /
    • 1999
  • LEO(Low altitude Earth Orbit) Satellite systems have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earth and scientific observation (cartography mission, ocean color monitoring, bioglogical coeanography, space environments observation by space physics sensor,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atmospheric observation etc.), and the field of military (military communications and secret information, enemy reconnaissance etc.), and recently been developing in the field of mobile satellite commnication of GMPCS for commercial utilization. In Korea, KOMPSAT I satellite and ground system are been developing and planed to be lunched on October 1999 In this paper, the link budge of the TT&C system for LEO satellite is described and the relations between elevation angle and pass time of LEO satellit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satellite moving. And the packet error rates of receiving data are derived three packet error rates(PER) of real-time(RT) mode, playback(PB) mode, and real-time and range tone(RT+RNG) mode are estimated according to pass time of satellite. The results of PER are the best at real-time and the worst at real-time mode and range mode at the all pass time of satellite. The average error free packet(EFP)s of real-time mode, playback mode, and real-time and range tone for the pass time of satellite are obtained as 99.999999%, 99.999912%, 99.995945% respectively. Therefore, transmission sequence of telemetry data are determined such as PER sequence according to pass time, namely, real-time, playback, and real-time and range mode.

  • PDF

혐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디젤오염토양의 분해

  • 박현철;이태호;박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98-301
    • /
    • 2003
  • 생물학적 토양오염 복원기술은 산소와 영양염류를 오염토양에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작용을 자극함으로써 유류를 생분해 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류에 오염된 토양은 혐기성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운전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류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혐기성 생분해 방법은 다소 분해 속도는 느리지만 산소를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유류오염토양 복원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젤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10000 mg/kg.TPH soil의 농도로 오염시킨 토양 50g을 100$m\ell$ 용적의 vial에 주입하고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 슬러지를 15$m\ell$, 30$m\ell$을 주입하여 배양하였으며 TPH의 분해량과 CH$_4$$CO_2$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vial의 기상을 $N_2$가스로 치환함으로써 혐기성 상태가 되도록 하였으며, 35$^{\circ}C$에서 90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슬러지를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TPH의 분해가 거의 없었지만, 슬러지를 주입한 경우에는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농도가 55%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TPH의 분해는 CH$_4$$CO_2$ 발생량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 슬러지를 이용한 유류오염 토양의 복원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양에서 유동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만을 추출하였다. 분석실험은 토양의 Cd2+ 와 Pb2+를 대상으로 행하여졌으며, 여러 토양에서 추출 분석한 결과를 EDTA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은 매우 신속하게 고분자 자성체와 결합하였고, 그 후 자성체를 외부 자장으로 모은 후 산으로 용해시키고, 결합된 중금속은 Graphite furnace AAS로 분석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토양 분석시 sandy soil에서는 자성체를 이용한 분석이 EDTA에 의한 방법보다 더 높은 추출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이 많은 토양의 경우에서 EDTA분석에서 더 높은 중금속 추출도를 보였다.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

  • PDF

거제도 해안유출지하수 예비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

  • 이대근;김형수;박찬석;원종호;김규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253-256
    • /
    • 2002
  • 거제도는 남쪽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써 총면적은 399.96$\textrm{km}^2$이며 총면적의 71.85%가 임야로 이루어져 있고 하천이 짧으며 유역면적이 좁은 관계로 지하수의 함양이 어려우며 해안으로 유출되는 지하수가 상당량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유출지하수의 특성을 연구하여 지하수의 유출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기온, 강수량 등의 기상자료와 지하수온도, 지하수위등의 수문자료 및 해수표면온도 등의 해양관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수와 지하수의 온도차가 많은 달의 Lanset 7 ETM+ 인공위성 영상자료와 NOAA 인공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온도자료를 비교하고, 각개 영사의 열분포도를 분석함으로써 유출지하수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지역에서 인구밀집지역, 공단지역, 기 공급지역을 제외하였으며, 수문지질학 적으로 유리한 지역을 선정하고, 평균해수분포차가 큰 지역을 추출함으로써 이후에 이루어질 현장조사시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거제도 일대의 해안유출지하수 가능지점은 10개소 이상이며 자연적, 사회학석인 여건을 고려한다면 지하수개발가능 지역은 6개 정도로 예상된다. 또한 해수면의 온도와 지하수의 온도가 차이가 클 때는11~13$^{\circ}C$의 분포를 보이고 있어, 이후 이와 같은 연구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해상도가 높은 자료와 연계하면 보다 정확한 자료의 추출이 가능해 앞으로의 국내에 활용되지 못한 수자원 개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하게도 유기물과의 친화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Cu 역시 F1과 F2에 대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오염원으로부터의 Cu의 확산을 지시하였다. 외국에 비하여, 그동안 국내에서는 사격장 주변의 자연환경변화에 관하여 연구된 결과가 거의 전무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와 유사한 사격장 주변 환경에서의 중금속 분포와 거동 특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모니터링(즉, 체계적인 환경지구화학적 조사ㆍ연구)이 시급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할 수 있었다.연구지역을 대상으로 추정한 함양율은 지하수이용에 따른 지하수위하강에 대한 보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지하수이용실태조사를 추가로 하여 그 이용량만큼을 지하수함양량에 더하여야 할것이다.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거기에 맞는 기술들을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되 처리방법 채택 시 신중을 기할 것이 요망된다.정시에는 SeaWiFS 위성과 관련된 global algorithm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

  • PDF

A STUDY FOR THE DETERMINATION OF KOMPSAT I CROSSING TIME OVER KOREA (I): EXAMINATION OF SOLAR AND ATMOSPHERIC VARIABLES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한반도 통과시각 결정을 위한 연구 (I): 태양 및 대기 변수 조사)

  • 권태영;이성훈;오성남;이동한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4 no.2
    • /
    • pp.330-346
    • /
    • 1997
  •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I (KOMPSAT-I, the first multi-purpose Korean satellite) will be launched in the third quarter of 1999, which is operated on the sun-synchronous orbit for cartography, ocean color monitoring, and space environment monitoring. The main mission of Electro-Optical Camera(EOC) which is one of KOMPSAT-I sensors is to provide images for the production of scale maps of Korea. EOC collects panchromatic imagery with the ground sample distance of 6.6m at nadir through visible spectral band of 510~730nm. For determining KOMPSAT-I crossing time over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diurnal variation of solar and atmospheric variables that can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EOC image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10:30 a.m. at the winter solstice, solar zenith angle is less than $70^{\circ}$ and expected flux of EOC spectral band over land for clear sky is greater than about $2.4mW/cm^2$. 2) For daytime the distribution of cloud cover (clear sky) shows minimum (maximum) at about 11:00 a.m. Although the occurrence frequency of poor visibility by fog decreases from early morning toward noon, its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clear sky is negligible. From the above examination it is concluded that determining KOMPSAT-I crossing time over Korea between 10:30 and 11:30 a.m. is adequate.

  • PDF

Development of Cloud Detection Method with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y for Land Applications (GOCI 영상의 육상 활용을 위한 구름 탐지 기법 개발)

  • Lee, Hwa-Seon;Lee, Kyu-S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1 no.5
    • /
    • pp.371-384
    • /
    • 2015
  • Although GOCI has potential for land surface monitoring, there have been only a few cases for land applications. It might be due to the lack of reliable land products derived from GOCI data for end-users. To use for land applications, it is often essential to provide cloud-free composite over land surfac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loud detection method that was very important to make cloud-free composite of GOCI reflectance and vegetation index. Since GOCI does not have SWIR and TIR spectral bands, which are very effective to separate clouds from other land cover types, we developed a multi-temporal approach to detect cloud. The proposed cloud detection method consists of three sequential steps of spectral tests. Firstly, band 1 reflectance threshold was applied to separate confident clear pixels. In second step, thick cloud was detected by the ratio (b1/b8) of band 1 and band 8 reflectance. In third step, average of b1/b8 ratio values during three consecutive days was used to detect thin cloud having mixe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both cloud and land surface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four classes of cloudiness (thick cloud, thin cloud, probably clear, confident clear). The cloud detection method was validated by the MODIS cloud mask products obtained during the same time as the GOCI data acquisition. The percentages of cloudy and cloud-free pixels between GOCI and MODIS are about the same with less than 10% RMS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clouds detected from the GOCI images were also similar to the MODIS cloud mask products.

남해 동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연구: 해수침투에 대한 고찰

  • 신광섭;윤성택;허철호;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8-441
    • /
    • 2003
  • 남해 동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해수 침투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202개소의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고 수리지구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시료 중 14.4%가 500 $\mu\textrm{m}$/cm을 초과하는 높은 EC값을 나타내어 해수 영향을 시사해 주었다. 해수 영향 판단의 또 다른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CI/HCO$_3$ 몰비는 전체 시료의 23.3%가 1.3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표적으로 해수침투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Cl과 NO$_3$의 농도에 관한 누적도수분포도를 작성하여 배경수질군과 오염영향군을 구분짓는 배경치(background concentration)를 구한 결과, 각각 Cl = 22.3 mg/1 및 NO$_3$= 23.1 mg/l로 나타났다. 이 두 파라메터의 농도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채취된 지하수 시료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기원의 오염이 배제된 그룹 1은 전체 시료의 31%, 자연적 오염(해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2는 전체의 24%,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3은 전체의 9%, 해수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을 동시에 반영하는 그룹4는 전체의 36%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2와 그룹4는 대부분 Na-Cl유형으로 진화하는 Ca-Cl유형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여러 지구화학 방법에 의한 해수 영향 판단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연안 지역 해수침투의 효과적인 파악은 물론 예측 및 방지, 복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으로 토양에서 유동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만을 추출하였다. 분석실험은 토양의 Cd2+ 와 Pb2+를 대상으로 행하여졌으며, 여러 토양에서 추출 분석한 결과를 EDTA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은 매우 신속하게 고분자 자성체와 결합하였고, 그 후 자성체를 외부 자장으로 모은 후 산으로 용해시키고, 결합된 중금속은 Graphite furnace AAS로 분석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토양 분석시 sandy soil에서는 자성체를 이용한 분석이 EDTA에 의한 방법보다 더 높은 추출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이 많은 토양의 경우에서 EDTA분석에서 더 높은 중금속 추출도를 보였다.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

  • PDF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Red Tide Change in the South Sea of Korea Using the GOCI Images of COMS (천리안 위성 GOCI 영상을 이용한 남해안의 시공간적 적조변화 분석)

  • Kim, Dong Kyoo;Yoo, Hwan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129-136
    • /
    • 2014
  • This study deals with red tide detection by using the remote sensing imagery from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the world's first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arou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ere the most severe red tide occurred recently. The red tide zone was determined by the available data selection from the GOCI imagery during the period of red tide occurrence and also the severe red tide zone was detected through the spatial analysis by temporal change out of the red tide zone.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oast in the vicinity of the Hansan and Yokji in Tongyeong-si was classified into the severe red tide zone, and that the red tide was likely to spread from the coast of Hansan and Yokji to the one of Sanyang-eub. In addi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rea of red tide occurrence, the prevention activities of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amount of the damage cost over time showed close correlation among them. It is still early to conclude that the study is showing the severe red tide zone and the spread path exactly due to various factors for red tide occurrence and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the more data analysis is required.

Genetic Species Identification by Sequencing Analysis of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s for Albino Misgurnus Species from Korea (우리나라 미꾸리속(genus Misgurnus) 알비노 개체의 미토콘드리아 및 핵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유전적 동정)

  • Song, Ha-Youn;Moon, Shin-Joo;Kim, Keun-Sik;Bang, In-Chul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9 no.2
    • /
    • pp.139-145
    • /
    • 2017
  • The spontaneous color mutant, albino individuals of genus Misgurnus, are rarely discovered in Korea and there are difficult to identify morphological species due to lack melanin pigment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genetic identification method for the species of albino Misgurnus individual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by using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 1 (rag1) and cytochrome b (cytb) region of mitochondrial DNA. As a result of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three clades were identified as Misgurnus mizolepis, M. anguillicaudatus and M. mohoity. The homology of the cytb sequences of M. mohoity was best match to that of M. mohoity sequences in GenBank database. As a result of species identification of 25 albino Misgurnus individuals based on the phylogenetic tree, the red-eye type was identified as 16 M. anguillicaudatus and one M. mizolepis. The remaining three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s one M. mizolepis ♀${\times}$M. anguillicaudatus ♂, and two M. mohoity ♀${\times}$M. anguillicaudatus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ve black-eye type individuals were identified as one M. anguillicaudatus, three M. mizolepis and one M. mohoity. Therefore, this genetic identification method will be an useful techniques for species or hybrid identification in genus Misgurnus.

Amino Acid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tock by Different Salt Contents (소금 첨가량을 달리한 닭 육수의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 Kim, Doog-Seok;Kim, Jog-Seck;Seoung, Tae-Jong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4
    • /
    • pp.274-285
    • /
    • 2010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ass production product standardized by th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HPEC) in order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alt contained standardized chicken stock. In our experiment on chicken stock with varying its salt content,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in S3, which contained 0.3% of salt In addition, when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divided into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 palatable amino acid, and other types of amino acid, they showed the same distribution as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 In addition, the total content of palatable amino acid was highest among the specimens.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alatability of chicken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 salti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salt cont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ference for saltiness. It is believed to have co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sensory evaluators'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it shows that the salt content has an effect on sweet taste, delicate taste, fishy smell, and color. In particular, specimen 83, which contained 0.3% of salt,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palatable amino acid, and the highest level of delicate taste in sensory tests, sugg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latable amino acid and delicate taste.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Multiple Input Device and Multiscale Interaction for GOCI Observation Satellite Imagery on the Tiled Display (타일드 디스플레이에서의 천리안 해양관측 위성영상을 위한 다중 입력 장치 및 멀티 스케일 인터랙션 설계 및 구현)

  • Park, Chan-Sol;Lee, Kwan-Ju;Kim, Nak-Hoon;Lee, Sang-Ho;Seo, Ki-Young;Park, Kyoung Sh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3
    • /
    • pp.541-550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a multi-scale user interaction based tiled display visualization system using multiple input devices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observation satellite imagery. This system provides multi-touch screen, Kinect motion sensing, and moblie interface for multiple users to control the satellite imagery either in front of the tiled display screen or far away from a distance to view marine environmental or climate changes around Korean peninsular more effectively. Due to a large amount of memory required for loading high-resolution GOCI satellite images, we employed the multi-level image load technique where the image was divided into small tiled images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n the system and to be operated smoothly by user manipulation. This system performs the abstraction of common input information from multi-user Kinect motion and gestures, multi-touch points and mobile interaction information to enable a variety of user interactions for any tiled display application. In addition, the unit of ti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e of the satellite imag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and multiple users can zoom-in/out, move the imagery and select buttons to trigger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