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ion area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6초

폐색영역탐지 기능을 갖는 프레임율 변환 (Frame Rate Up-Conversion with Occlusion Detection Function)

  • 김남욱;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65-272
    • /
    • 2015
  • 폐색영역 탐지(Occlusion detection)와 중간값 필터(Median filter)를 조합한 새로운 움직임 추정 기반의 프레임율 변환(Frame rate up-conversion based on motion estimation) 기술을 소개한다. 움직임 추정은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를 얻기 위해 수행한다. 그 후 폐색영역 탐지방법은 폐색된 부분에서 움직임 벡터를 개선한다. 폐색된 영역에서는 잘못된 움직임 벡터를 찾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움직임 벡터 의존율이 적은 중간값 필터를 적용하고, 비폐색된 영역에서는 움직임 벡터가 연속적이고 신뢰도가 높으므로 BDMC(Bi-Directional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를 적용하여 보간 영상을 생성한다. 양방향 움직임 벡터를 사용하는 BDMC는 움직임 벡터의 연속성과 신뢰도가 높을수록 좋은 결과를 얻는다. 실험결과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갖는다. 실험에서의 평균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은 테스트 시퀀스들에 대하여 BDMC 대비 약 0.16dB 향상되었다.

Apple pectin, a dietary fiber, ameliorates myocardial injury by inhibiting apoptosis in a rat model of ischemia/reperfusion

  • Lim, Sun Ha;Kim, Mi Young;Lee, Jo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4호
    • /
    • pp.391-397
    • /
    • 2014
  • BACKGROUND/OBJECTIVE: Myocardial cell death due to occlusion of the coronary arteries leads to myocardial infarction, a subset of coronary heart disease (CHD). Dietary fiber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CH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which were suggested to delay the onset of occlusion by ameliorating risk factors. In this study, we tested a hypothesis that a beneficial role of dietary fiber could arise from protection of myocardial cells against ischemic injury, manifested after occlusion of the arteries. MATERIALS/METHODS: Three days after rats were fed apple pectin (AP) (with 10, 40, 100, and 400 mg/kg/day), myocardial ischemic injury was induced by 30 min-ligatio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followed by 3 hr-reperfusion. The area at risk and infarct area were evaluated using Evans blue dye and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ing, respectively. DNA nicks reflecting the extent of myocardial apoptosis were assessed by TUNEL assay. Levels of cleaved caspase-3, Bcl-2, and Bax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Supplementation of AP (with 100 and 400 mg/kg/day) resulted in significantly attenuated infarct size (IS) (ratio of infarct area to area at risk) by 21.9 and 22.4%, respectively, in the AP-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This attenuation in IS showed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in biomarkers involved in the apoptotic cascades: reduction of apoptotic cells, inhibition of conversion of procaspase-3 to caspase-3, and increase of Bcl-2/Bax ratio, a determinant of cell fate.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AP results in ameliora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by inhibition of apoptosis. Thu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intake of dietary fiber reduces the risk of CHD, not only by blocking steps leading to occlusion, but also by protecting against ischemic injury caused by occlusion of the arteries.

중심교합(中心咬合)에 있어서 교합면(咬合面) 접촉점수(接觸點數)에 관(關)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on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in Centric Occlusion)

  • 이병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1
    • /
    • 196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s in centric occlusion. The 50 strictly selected subjects, who have good natural dentition and occlusion, were impressioned with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and dental stone models were madel. After transfering the models from mouth to Hanau Articulator Model H2 by means of SM type Face-Bow, condylar guidances were registered, red articulating papers($13{\mu}$ in thickness) were inserted between upper and lower posterior teeth, and the red marked points and lines were counted as occlusal contact points. 1.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in centric occlusion were 1st Molars 2nd Molars, 2nd Premolars and 1st Premolars in order. 2.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of right side showed comparatively much more than those of left side. 3.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of upper in Premolar area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lower, and in Molar area were the reverse. 4. The total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s in centric occlusion were approximately 105 points.

  • PDF

In silico evaluation of the acute occlusion effect of coronary artery on cardiac electrophysiology and the body surface potential map

  • Ryu, Ah-Jin;Lee, Kyung Eun;Kwon, Soon-Sung;Shin, Eun-Seok;Shim, Eun B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1호
    • /
    • pp.71-79
    • /
    • 2019
  • Body surface potential map, an electric potential distribution on the body torso surface, enables us to infer the electrical activities of the heart. Therefore, observing electric potential projected to the torso surface can be highly useful for diagnosing heart diseases such as coronary occlusion. The BSPM for the heart of a patient show a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han 12-lead ECG. Relevant research has been mostly based on clinical statistics obtained from patients, and, therefore, a simulation for a variety of pathological phenomena of the heart is required. In this study,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a body surface potential map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various occlusion locations (distal, mid, proximal occlusion) in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urface during the ST segment period were observed and analyzed based on an ST isointegral map. We developed an integrated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ellular to organ levels, and performed simulation regarding the electrophysiological phenomena of the heart that occur during the first 5 minutes (stage 1) and 10 minutes (stage 2) after commencement of coronary occlusion. Subsequently, we calculated the bipolar angle and amplitude of the ST isointegral map, and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and the location of coronary occlusion. In the result, in the ventricle model during the stage 1, a wider area of ischemia led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bipolar angle; and, during the stage 2, the amplitude increased when the ischemia area exceeded a certain size.

광조사교합분석법을 이용한 머리 위치와 교합접촉면적의 관계 (Relation of head posture and occlusal contact area using photo occlusion analysis)

  • 김창환;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2호
    • /
    • pp.90-97
    • /
    • 2019
  • 목적: 교합접촉면적에 관련된 이전의 연구들은 교합두께 수준이나 교합측정방법 상 부정확성이 한계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머리 위치가 교합접촉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광조사교합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건전한 치열을 갖는 54명(남성 44명, 여성 10명, 23 - 33세)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머리 위치와 교합접촉면적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대상은 치과용 유닛체어에 세 가지 자세(누운 자세($0^{\circ}$), 기울인 자세($45^{\circ}$), 직립 자세($90^{\circ}$))로 하여 최대 교두간 접촉위를 이용하여 악간관계기록을 채득하였다. 광조사교합분석기($BiteEye^{(R)}$)를 이용하여 교합접촉면적을 분석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95%에서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머리 위치는 교합접촉면적과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결론: 머리 위치는 교합접촉면적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으므로 교합관계가 안정적이라면 최대 교두간접촉위의 악간관계 기록 채득 시 환자의 자세는 변수가 되지 않으며 광조사교합분석기를 이용한 교합접촉면적의 측정은 재료적, 용이성 측면으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척추운동분절 FE모델에서 충격시간에 따른 마미 단면적의 변화 (Cross sectional area change of the dural-sac according to impact duration in a spinal motion segment FE model)

  • 김영은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20
    • /
    • 2002
  • In this study the occlusion of dural-sac, the outer membrane of spinal cord in the lumbar region,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one motion segment finite element model. Occlusion was quantified by calculating cross sectional area change of dural-sac far different compressive impact duration(loading rate) due to bony fragment at the posterior wall of the cortical shell in vertebral body. Dural-sac was occluded most highly in the range of 8∼12 msec impact duration by the bony fragment intruding into the spinal canal. t=400 msec case 4% cross sectional area change was calculated, which is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al area change under 6 kN of static compressive loading.

  • PDF

Toward Occlusion-Free Depth Estimation for Video Production

  • Park, Jong-Il;Seiki-Inoue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7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131-136
    • /
    • 1997
  • We present a method to estimate a dense and sharp depth map using multiple cameras for the application to flexible video production. A key issue for obtaining sharp depth map is how to overcome the harmful influence of occlusion. Thus, we first propose to selectively use the depth information from multiple cameras. With a simple sort and discard technique, we resolve the occlusion problem considerably at a slight sacrifice of noise tolerance. However, boundary overreach of more textured area to less textured area at object boundaries still remains to be solved. We observed that the amount of boundary overreach is less than half the size of the matching window and, unlike usual stereo matching, the boundary overreach with the proposed occlusion-overcoming method shows very abrupt transition. Based on these observations, we propose a hierarchical estimation scheme that attempts to reduce boundary overreach such that edges of the depth map coincide with object boundaries on the one hand, and to reduce noisy estimates due to insufficient size of matching window on the other hand. We show the hierarchical method can produce a sharp depth map for a variety of images.

  • PDF

R-CNN 기법을 이용한 건물 벽 폐색영역 추출 적용 연구 (Application Research on Obstruction Area Detection of Building Wall using R-CNN Technique)

  • 김혜진;이정민;배경호;어양담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213-225
    • /
    • 2018
  •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건물 텍스처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폐색영역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폐색영역을 자동 인식하여 이를 검출하고 텍스처를 자동 보완하는 자동화 기법 연구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매우 다양한 구조물 형상과 폐색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는 대안들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딥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폐색지역 패턴화하고, 학습기반 폐색영역 자동 검출하는 접근을 시도한다. 영상 내 객체 추출에서 우수한 성과를 발표하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기법의 향상된 알고리즘인 Faster Region-based Convolutional Network (R-CNN)과 Mask R-CNN 2가지를 이용하여, 건물 벽면 촬영 시 폐색을 유발하는 사람, 현수막, 차량, 신호등에 대한 자동 탐지하는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고, Mask R-CNN의 미리 학습된 모델에 현수막을 학습시켜 자동탐지하는 실험을 통해 적용이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치정사투영영상 제작을 위한 폐색영역의 탐지와 복원 (Detecting and Restoring Occlusion Area for Generating Digital Orthoimage)

  • 권오형;김형태;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57
    • /
    • 2000
  • 레이저 프로파일링 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에는 얻을 수 없었던 도시 지역에 대한 DTM이 취득 가능해졌고, 더욱 정확한 정사투영영상 또한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높이변화를 보이는 자연지물과 인공구조물이 있는 지역에 대해 기존의 정사투영사진 제작기법이 적용될 때, 폐색이나 이중매핑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정사투영영상의 품질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의 외부표정요소와 DTM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하고, 폐색이 안된 다른 영상의 정보를 통해 폐색영역을 복원하여 더욱 완전한 정사투영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 자연지물이나 인공구조물에 의한 폐색영역을 탐지할 수 있었고 폐색영역의 많은 부분을 부가영상을 이용하여 복원하였다. 건물에 대한 사전지식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하는 국내 연구가 있지만, 본 연구는 건물에 대한 부가정보나 모델링을 사용하지 않고 DTM과 카메라 외부표정요소만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 PDF

영상품질별 학습기반 알고리즘 폐색영역 객체 검출 능력 분석 (Detection Ability of Occlusion Object in Deep Learning Algorithm depending on Image Qualities)

  • 이정민;함건우;배경호;박홍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2-98
    • /
    • 2019
  •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공간정보의 중요성은 급격하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과 같은 Real World Object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모델링은 중요한 핵심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는 국토관리, 경관분석, 환경 및 복지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영상기반의 3차원 모델링은 객체 벽면에 대한 텍스처링을 생성하여 객체의 가시성과 현실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텍스처링은 영상 취득 당시의 가로수, 인접 객체, 차량, 현수막 등의 물리적 적치물에 의해 필연적으로 폐색영역이 발생한다. 이러한 폐색영역은 구축된 3차원 모델링의 현실성과 정확성 저하의 주요원인이다. 폐색영역 해결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딥러닝을 이용한 폐색영역 검출 및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딥러닝 알고리즘 적용한 폐색영역 검출 및 해결을 위해서는 충분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며, 수집된 학습 데이터 품질은 딥러닝의 성능 및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딥러닝의 성능 및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상품질을 이용하여 영상의 폐색영역 검출 능력을 분석하였다. 폐색을 유발하는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인위적이고 정량화된 영상품질별로 생성하여 구현된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밝기값 조절 영상품질은 밝은 영상일수록 0.56 검출비율로 낮게 나타났고 픽셀크기와 인위적 노이즈 조절 영상품질은 원본영상에서 중간단계의 비율로 조절된 영상부터 결과 검출비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measure 성능평가 방법에서 노이즈 조절한 영상품질 변화가 0.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로 획득된 영상품질별에 따른 폐색영역 검출 능력은 향후 딥러닝을 실제 적용을 위한 귀중한 기준으로 활용될 것이다. 영상 취득 단계에서 일정 수준의 영상 취득과 노이즈, 밝기값, 픽셀크기 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딥러닝을 실질적인 적용에 많은 기여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