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analysis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31초

치위생과 학생의 치과방사선 팬텀활용 촬영실습 분석 (Analysis of dental radiography phantom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원복연;황미영;장계원;허남숙;윤미숙;박성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13-1023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dental hygiene students' recognition of safety management and phantom practice in dental radiolog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09 students in six regions who completed a dental radiology practice course and had on-job experience more than once. After understanding the study purpose and contents, they answered a questionnaire. The main jobs in dental radiology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regarding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dental radiology practice, "it is impossible to irradiate the mouth directly with X-rays"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29.1%). Regarding the question "what is the main role of students in dental radiology practice?", the answer "it is shooting simulations using phantoms" accounted for 59.7% of responses. The most difficult regions in bisecting and paralleling radiography with a phantom were found to be the maxillary & mandibular molars and premolars. The most difficult technique was reported to be locating XCP maintenance to fit inside the mouth for both molars and premolars. The most difficult region to perform bitewing radiography using the phantom was the molar region (2.87), and the most difficult to perform occlusal radiography approaches were maxillary anterior general occlusal radiography (2.92) and mandibular cross-sectional occlusal radiography (3.00). Conclusions: The most technically difficult point in bitewing and occlusal radiography was the correct positioning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Radiography practice wa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than previous mutual practice in terms of analysis of anatomical structures and patient treatment method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policy regarding dental radiography practice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ics and revise the necessary laws and regulations.

컴퓨터 교학분석기인 T-Scan II를 이용한 측방운동시 구치부 이개시간에 관한 연구 (Study of Disclusion Time during Mandibular Eccentric Movement in Myofascial Pain Syndrome Patients by T-Scan II,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 신준한;권정승;김성택;박형욱;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87-197
    • /
    • 2011
  • 측두하악관절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주변 구조물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다수의 임상문제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근막동통은 측두하악관절장애 중 저작근 장애의 한 종류로, 근막 발통점에 의해 발생하는 감각, 운동, 자율신경 증상이다. 측두하악관절장애와 근막동통의 원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어왔다. 특히 교합 원인은 오랫동안 논쟁의 핵심이었으며,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합원인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런 논쟁은 대부분이 측두하악관절장애 본연의 복잡성에서 기인하지만, 부적절하고 부적당한 연구설계, 선정기준, 연구방법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교합분석시 시간과 상대적 힘이 측정가능한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가 소개되었다. 일부 저자들은 T-Scan II를 이용하여 이개시간 개념 및 연장된 구치부 이개시간과 근막통증의 연관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T-Scan II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들은 근막통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의 비교 부재 및 다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하지 못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을 이용하여 30명의 실험군을 선택하고 이를 38명의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근막통증과 구치부 이개시간과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통계적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의 Cronbach ${\alpha}$ 계수는 0.92 였다. 2.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 평가시 양측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개시간 평가시 좌측 우측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근막통증과 이개시간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근막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개시간을 줄이는 비가역적인 치료는 적절치 않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 여러 교합요소와 헬키모 지수 등을 이용하여 증상의 정량화를 고려한 보다 통제된 대규모 환자 집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수술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in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 이윤정;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43-655
    • /
    • 2000
  •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위치설정은 수술 후 새로운 위치에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써 악교정 수술환자의 진단과 치료 계획시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 계획시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방법으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한 경우 교합평면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해서 고찰해봄으로써 향후 악교정 수술의 진단 및 치료계획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중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방법으로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하여 양악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25명 (남자 8명, 여자 17명, 평균 연령 $23.2{\pm}3.17$세)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수술직전($T_1$)과 수술직후($T_2$, 평균 15.4일), 수술 후 최소 1년 이상 경과후($T_3$, 평균 32.6개월)을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각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으며, 수술방법(SSRO, IVRO)에 따른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는 수술에 의한 악골의 이동량이나 posterior impaction의 양, 수술후 경과시간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수술 후, SSRO 시행군에서는 유의하게 하악골의 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IVRO 시행군에서는 하악골이 후하방 이동하면서 gonial angle과 하악평면각이 증가함으로써 하악 치아의 정출이 발생하였다.

  • PDF

총의치 균형교합에 영향을 미치는 진료실재부착의 효과 (Effectiveness of clinical remounting improving balanced occlusion of complete dentures)

  • 이예진;김종회;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28-334
    • /
    • 2020
  • 치과의사는 악간관계기록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교합오차를 줄이기 위해 진료실재부착을 시행한다. 진료실재부착으로 수정된 의치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통증이 감소하고 의치 사용이 편해지며 더 편하게 저작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환자의 주관적인 평가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인 지표를 통해 진료실재부착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치부에서 1 - 2 mm의 공간이 있도록 중심위 악간관계를 채득하여 진료실재부착을 시행한 후 미끄러짐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압력감지센서로 교합력을 측정하였고 실리콘인기재로 교합면적을 측정하였다. 진료실재부착후 교합압의 변화는 없었으나 교합면적 증가와 함께 접촉 후 미끄러짐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료실재부착을 시행하면 조기접촉이 감소하고 교합면적이 증가하므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인 II 급 환자의 안면 수직고경및 교합평면의 특징에 관한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FACIAL HEIGHT AND OCCLUSAL PLANE INCLINATION IN CLASS II MALOCCLUSION GROUP)

  • 남동석;정미향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5-26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II급 부정교합자의 교합평면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안면의 수직고경과 연관지어 정상교합군과 비교하여 교합평면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골격성, 치성요인의 기여정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성장과 연령군의 변이를 배제하기 위해 성장이 완료된 성인만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정상교합자 50명과 서울대학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한 50명의 Angle class II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크게 관찰된 교합평면의 경사도는 다음과 같다. ; SN-FOP, FH-BOP, MP-BOP, AB-BOP, AB-FOP, Facial plane-BOP, FP-FOP 2. 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후안면 고경, 특히 후하안면고경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교합평면과 상하악 전치가 이루는 각은 II급 부정교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고, 대구치와 이루는 각은 상악 대구치와 해부학적 교합평면이 이루는 각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교합평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요소중에서 하악절치에서 하악평면에 이르는 거리만이 II급 부정교합군에서 유의하게 컸다. 5. I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수직피개도와 교합평면 경사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정상 교합군에서는 수직피개도와 교합평면 경사도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 PDF

보철학적 교합 재구성을 위한 교합진단과 치료계획 (The Occlusal Evaluation and Treatment Planning for Prosthodontic Full Mouth Rehabilitation)

  • 이승규;이성복;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9
    • /
    • 2000
  • Occlusal disease is comparable to periodontitis in that it is generally not reversible. Occlusal disease, however, like periodontitis, often maintainable. It does itself to treatment and when restorative dentistry is utilized it becomes, in that sense, reversible. Moreover, a systematized and integrated approach will lead to a prognosis that is favorable and predictable. This approach facilitates development of optimum oral function, comfort, and esthetics, resulting in a satisfied patient. Such a systematized approach consists of four logical phase : (1) patient evaluation, (2) comprehensive analysis and treatment planning, (3) integrated and systematic reconstruction, and (4) postoperative maintenance. An integrated treatment plan is first developed on one set of diagnostic casts, properly mounted on a semiadjustable articulator using jaw relationship records. This is accomplished by using wax to make reconstructive modifications to the casts. These modified casts become the blueprint for planned occlusal changes and the fabric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s. The treatment goals are : (1) comfortably functioning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stomatognathic musculature, (2) adherence to the basic principle of occlusion advocated by Schuyler, (3) anterior guidanc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envelope of function, (4) restorations that will not violate the patient's neutral zone. This report shows the treatment procedures for a patient whose mandibular position has been altered due to posterior bite collapse. Migra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had occurred, and the posterior occlusal contacts showed pathologic interference. Precise diagnosis using mounted casts was executed and prosthodontic reconstruction by the aid of an unconventional orthodontic correction on maxillary flaring was planned. An unconventional orthodontic correction can be accomplished by using preexisting natural teeth, which can be modified for use in active tooth movement or splinted together for orthodontic anchorage. This technique has an advantage over conventional fixed appliance orthodontic therapy because it can accomplish tooth movement concurrently with restorative and periodontal therapy. On occasion, minor tooth movement can be necessary to achieve the optimum occlusal scheme, crown form, and tooth position for the forces of occlusion to be displaced down the long axis of the periodontally compromised teeth. Once the occlusion, periodontal health, and crown contours for the provisional splinted restoration are acceptable, the final splinted restoration can be similarly fabricated, and it becomes an excellent orthodontic retainer.

  • PDF

지르코니아 및 티타늄 임플란트를 사용한 지지골 및 임플란트 유지 수복물의 응력 분포 비교: 3차원 유한 요소 분석 (Comparison of stress distribution in bone and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is with zirconia and titanium implants: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홍민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8-354
    • /
    • 2020
  • Purpose: Zirconia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eramics because of its high resistance to corrosion and wear, excellent flexural strength (900~1400 MPa), and high hardness. Dental zirconia with proven mechanical/biological stability is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implants. However, there are limited in vivo studies evaluating stress distribution in zirconia compared with that in titanium implants and studies analyzing finite ele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supporting bone surrounding zirconia and titanium implants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Methods: For finite element analysis, a single implant-supported restoration was designed. Using a universal analysis program, eight occlusal points were set in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long axis. The occlusal load was simulated at 700 N. Results: The zirconia implant (47.7 MPa) von Mises stress decreased by 5.3% in the upper cortical bone compared with the titanium implant (50.2 MPa) von Mises stress. Similarly, the zirconia implant (20.8 MPa) von Mises stress decreased by almost 4% in the cancellous bone compared with the titanium implant (21.7 MPa) von Mises stress. The principal stress in th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exhibited a similar propensity to von Mises stress. Conclusion: In the supporting bone, the zirconia implant is able to reduce bone resorption caused by mechanically transferred stress. It is believed that the zirconia implant can be a potential substitute for the titanium implant by reinforc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improving stress distribution.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교합 분석 (Occlus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 양동효;이원섭;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105-111
    • /
    • 2007
  • 측두하악장애가 교합접촉 양상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나 아직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증상측과 무증상측 사이의 교합접촉 양상을 비교하고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편측 증상만을 가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T-Scan II system (Tekscan, INC., USA)을 사용하여 치료 전후의 교합접촉 양상을 평가하였다(남:녀=7:29, 평균 $29.2{\pm}14.8$세). 좌우측의 접촉점 수(number of contact point), 접촉력(contact force), 상대적 접촉력(relative contact force, %)을 조사하여 치료 전후의 좌우 균형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전 환자의 증상측은 무증상측에 비해 접촉점 수와 접촉력이 감소되었으나(접촉점 수: p=0.056, 접촉력: p=0.060), 치료 후에는 증가되어 양측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증상측의 접촉점 수와 접촉력이 치료 전후에 차이를 보인 반면(접촉점 수: p=0.038, 접촉력: p=0.052), 비이환측은 치료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악궁 내 좌우 균형성을 평가하는 상대적 접촉력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치료 전 양측간 차이가 약 27%였다가 치료 후에 약 12%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01).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는 교합접촉 양상의 좌우불균형을 보이지만, 보존적 치료 후에 그 차이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보다 대칭적이고 균형적인 교합을 회복하며 접촉점 수와 접촉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복재료와 임플랜트 종류에 따른 임플랜트 및 지지조직의 응력분포 (THE STRESS ANALYSIS OF SUPPORTING TISSUE AND IMPLANT ACCORDING TO CROWN RESTORATIVE MATERIALS AND TYPE OF IMPLANT)

  • 최창환;오종석;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3-67
    • /
    • 2002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of implant and supporting tissue in single tooth implant restoration using Branemark $system^{(R)}$(Nobel Biocare, Gothenberg, Sweden) and Bicon system(Bicon Dental Implants, Boston, MA).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was made at mandibular first premolar area As a crown materials porcelain, ceromer, ADA type III gold alloy were used. Tests have been performed at 25Kgf vertical load on central fossa of crown portion and at 10Kgf load with $45^{\circ}$ lateral direction on cusp inclination. The displacement and stresses of implant and supporting structur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rown material and the type of implant systems by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type of crown material influenced the stress distribution of superstructure, but did not influence that of the supporting alveolar bone. 2. The stress distribution of ceromer and type III gold alloy and porcelain is similar. 3. Stress under lateral load was about twice higher than that of vertical load in all occlusal restorative materials. 4. In Bicon system, stress concentration is similar in supporting bone area but CerOne system generated about 1.5times eater stress more in superstructure material. 5. In Branemark models, if severe occlusal overload is loaded in superstvucture. gold screw or abutment will be fractured or loosened to buffer the occlusal overload but in Bicon models such buffering effect is not expected, so in Bicon model, load can be concentrated in alveolar bone area.

Biomechanical stress and microgap analysis of bone-level and tissue-leve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ve different directions of occlusal loads

  • Kim, Jae-Hoon;Noh, Gunwoo;Hong, Seoung-Jin;Lee, Hyeonjo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5호
    • /
    • pp.316-321
    • /
    • 2020
  • PURPOS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microgap formation on an implant abutment structure was evalu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load and the stress value. MATERIALS AND METHODS. Two types of three-dimensional models for the mandibular first molar were designed: bone-level implant and tissue-level implant. Each group consisted of an implant, surrounding bone, abutment, screw, and crown. Static finite element analysis was simulated through 200 N of occlusal load and preload at five different load directions: 0, 15, 30, 45, and 60°. The von Mises stress of the abutment and implant was evaluated. Microgap formation on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was also analyzed. RESULTS. The stress values in the implant were as follows: 525, 322, 561, 778, and 1150 MPa in a bone level implant, and 254, 182, 259, 364, and 436 MPa in a tissue level implant at a load direction of 0, 15, 30, 45, and 60°, respectively. For microgap formation between the implant and abutment interface, three to seven-micron gaps were observed in the bone level implant under a load at 45 and 60°. In contrast, a three-micron gap was observed in the tissue level implant under a load at only 60°. CONCLUSION. The mean stress of bone-level implant showed 2.2 times higher than that of tissue-level implant. When considering the loading point of occlusal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load, higher stress was noted when the vector wa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in the implant prosthe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