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analysis

검색결과 455건 처리시간 0.019초

II급 와동에서 각종 구치용 수복물의 파절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RACTURE STRENGTH OF CLASS II POSTERIOR RESTORATIONS)

  • 이계혁;허승면;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2호
    • /
    • pp.357-36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acture strength of class II restored premolars with amalgam, posterior composite, amalgam - Ketac silver, resin - Ketac silver restorations at marginal ridge. Fifty extacted maxillary and mandibular premolar teeth that were caries free, fracture free, and restoration free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 Group 1 : 10 intact teeth, Group 2 :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amalgam, Group 3: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posterior resin, Group 4 :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amalgam - ketac silver, Group 5 : 10 teeth with class II cavities and restored with resin - Ketac silver. All teeth were mounted in base of dental stone within metal rings of 2cm diameter, exposing only the crown portion. Class II mesio - occlusal or disto - occlusal cavities were prepared into specimens of Group 2 through 5 by using a No. 710 fissure bur. The occlusal portion was prepared to a faciolingual width of 1.5mm and a pulpal depth of 1.5mm. The proximal protion was prepared to a faciolingual width of 4mm, a occlusogingival height of 4mm, and a gingival floor of 1.5mm. The teeth in Group 2 and 3 were resotored with silver amalgam apd posterior resin respectively. In Group 4 and 5, proximal portions were first filled with Ketac silver 1.5mm gingivally and remaining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and posterior resin respectively.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100 % relative humidity at $37^{\circ}C$ for 48 hours before testing. All teeth were subjected to a compressive load in a Universal Instron Testing Machine at marginal ridges. The loads required to fracture the restorations were recorded in killograms and the data obtaine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l analysis. The results were all follows : 1. The fracture strength of Group 1 which were unprepared were $100{\pm}10.1\;kg$ and the higher values than Group 2, 3, 4, 5 which were prepared and resotred. 2. In restored groups, Group 2 had the higher fracture strength($81.8{\pm}12.4\;kg$) than other groups and Group 4 had the lowest fracture strength($66.8{\pm}9.2kg$).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acture strength of between Group 1 and Group 3, 4, 5(P<0.05),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acture strength of Group 2, 3, 4, 5(P>0.05).

  • PDF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digitally fabricated polyurethane model and conventional gypsum model

  • Kim, So-Yeun;Lee, So-Hyoun;Cho, Seong-Keun;Jeong, Chang-Mo;Jeon, Young-Chan;Yun, Mi-Jung;Huh, Jung-B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1호
    • /
    • pp.1-7
    • /
    • 2014
  • PURPOSE. The accuracy of a gypsum model (GM), which was taken using a conventional silicone impression technique, was compared with that of a polyurethane model (PM), which was taken using an iTero$^{TM}$ digital impress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e maxillary first molar artificial tooth was selected as the reference tooth. The GMs were fabricated through a silicone impression of a reference tooth, and PMs were fabricated by a digital impression (n=9, in each group). The reference tooth and experimental models were scanned using a 3 shape convince$^{TM}$ scan system. Each GM and PM image was superimposed on the registered reference model (RM) and 2D images were obtained. The discrepancies of the points registered on the superimposed images were measured and defined as GM-RM group and PM-RM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udent's T-test (${\alpha}=0.05$). RESULTS. A comparison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discrepancy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ly at the occlusal surface. The GM group showed a smaller mean discrepancy than the PM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M-RM group and PM-RM group were observed in the margins (point a and f), mesial mid-axial wall (point b) and occlusal surfaces (point c and d). CONCLUSION. Under the conditions examined, the digitally fabricated polyurethane model showed a tendency for a reduced size in the margin than the reference tooth. The conventional gypsum model showed a smaller discrepancy on the occlusal surface than the polyurethane model.

교합안정장치가 전문골프선수들의 드라이버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on Driving Distance in Golf)

  • 권태훈;신상완;류재준;이성복;안수진;최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8
    • /
    • 2010
  • 현재 스포츠 치의학은 두가지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하나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든 마우스 가드로 스포츠 외상의 예에 관한 연구이고, 또 하나는 딱딱한 재질로 만든 교합안정장치로, 구강 기능과 전신의 운동능력과 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많은 프로선수들이 운동능력향상을 위해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스포츠 치의학에 대한 관심이 적어 위와 같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조차도 준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소수의 연구에서 실험 대상자의 정확한 분석과 교합 안정장치 장착 전과 후의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골프선수들의 교합분석과 턱관절분석을 시행하고, 피검자의 상태에 따른 정확한 교합안정장치를 제작하여 장치 장착 전과 후의 저작근의 근활성량의 변화와 드라이버 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저작근의 근안정이 유도되고, 드라이버 비거리가 증가되었다. 특히 측두하악장애를 지닌 골프선수일수록 교합균형장치를 사용함으로 드라이버 비거리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가공의치(架工義齒)에 작용(作用)하는 Stress에 관(關)한 광탄성학적(光彈性學的) 분석(分析)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f Fixed Partial Dentures)

  • 조원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35
    • /
    • 198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es in the various components of fixed partial dentures restoring the posterior teeth of the lower jaw, and to measure quantitatively the effects of certain modifications in structural design on the stresses in the restorations using two-dimensional photoelasticity. Two-dimensional photoelastic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Several models of fixed partial dentures were constructed. Shoulder less margins and anatomic occlusal reduction were incorporated in Model 1. Rounded shoulders and flat occlusal reduction were incorporated in Model 2, while Model 3 was a cantilever fixed partial denture. Other similar fixed partial dentures were constructed with V and U notches deliverately included in the region of the fixed joints for comparative reasons. The birefringen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PSM-1 and PSM-5 in standard sheets. PSM-1 was used for constructing the substructure, and PSM-5 was used in making the components of the fixed partial dentures. The two materials we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composite photoelastic models. Improved artificial stone was used to represent dental cement in luting the composite photoelastic models. Static loading procedures were used at preplanned sites to represent occlusal loads in the mouth. 35 mm color and B/W film were used to record isochromatics in accordance with photoelastic procedures. Data redu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grid method, which helped in, the mathematical integration procedure (Shear difference method) to separate the principal stre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ixed partial dentures do not function in bending as a symmetrical beam. Alternate areas of tension and compression were demonstrated when multiple contact loading was used. 2. The weakest part in posterior fixed partial dentures is the fixed joint. 3. (1) Models I and modified Model I were loaded on the pontic using a 50 pound vertical static load. The shear stress near the posterior fixed joint in Model 1 (U notches) was+129.4 p.s.i., and at the same fixed joint in modified Model 1 (V notches) was+239.4 p.s.i.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fixed joint was reduced by 50% when U notches replaced the V notches. (2) Modified Model 2 was loaded using a multiple contact loader at a total load of 125 poun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cipal stresses (${\sigma}_1-{\sigma}_2$), shear stress, at the V notches was+600 p.s.i., and at the U notches was+3l7 p.s.i. The shear stress was reduced by 50% when U notches replaced the V notches. V-grooves at the fixed joints should be avoided, and should be replaced by regular shaped U-grooves. 4. Cantilever fixed partial dentures had much higher stresses at the fixed joint than fixed partial dentures that were attached at both ends.

  • PDF

상아질의 경도, 위치 및 잔존 상아질 후경이 상아질에 대한 부위별 미세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REGIONAL MICRO-SHEAR BOND STRENGTH TO DENTIN:EFFECTS OF DENTINAL HARDNESS, POSITION, AND REMAINING DENTIN THICKNESS)

  • 황선성;임미경;이용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401-412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regional micro-shear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agents to denti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and two dentinal characteristics ; Vickers hardness and remaining dentin thickness. Twenty-four freshly extracted, noncarious human mola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materials tes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o commercially available dentin bonding agents (MAC-BOND, ONE-STEP) and two restorative light-cured composite resins (AELITEFIL, Z100). The occlusal or side surface of tooth crown was sectioned to expose dentin, and the exposed surface was finally polished with # 600 sandpaper. Four groups of application methods were used combining the filling materials and the dentin bonding agents. The composite resin-attached tooth specimens were embeded in a cold cure acrylic resin, and were cut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o the dimension of 1mm $\times$ 1mm. Nin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each tooth. The cut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entin bonding surface.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remaining dentin thickness, and dentinal hardness were measured. Experimental results were then statistically analyzed with ANOVA. t-test, Scheff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the case of occlusal surface bonding, the poole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ONST-AELIT group (16.62 MP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CB-AELIT group (9.91 MPa)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depending on the dentin position (p>0.05). 2. In the case of side surface bonding of crown, the poole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four different bonding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ach other (p>0.05). However, in three of the test groups (ONST-AELIT, MACB-Z100, ONST-Z100),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to the lower 1/3(III) posi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to middle 1/3(II) position of surface (p<0.05). 3. In the ONST-AELIT bonding group, the pooled micro-shear bond strength to the occlusal surfa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to the side surface of crown (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and dentin hardness / remaining dentin thickness (p>0.05).

  • PDF

성인과 노인의 구강근기능 영향요인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rofacial Myofunctional in Adults and Eldery People)

  • 김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0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의 구강근기능(저작력, 혀근력, 구순력, 협근력)을 비교분석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연하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근기능을 조사하였다. 2017년 12월부터 2018년 5월까지 대전과 논산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73명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령층별 저작력은 우측, 좌측 구치교합력을 평가한 결과 노년층이 (8.93, 10.80) 성인층(12.51, 14.61) 중년층 (11.63, 14.75)에 비해 감소하였다(p>0.05). 혀근력은 성인층(60.55), 중년층(50.61), 노년층(37.43)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구순력은 노년층(8.57)이 성인층(12.01), 중년층(11.37)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구강근기능은 혀근력이었고,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혀근력이었다. 혀근력은 자연치아수(r=.566, p<.05), 구순력(r=.497, p<.05)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혀근력이었다(p<0.05). 노화에 의한 구강근기능 저하의 위험성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혀근력은 삶의 질과 연하장애와 관련된다. 연령증가시 치아상실로 인한 구강기능 감소뿐만 아니라 구강근기능 저하로 인한 저작, 연하 구강기능 감소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고령사회에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해 정기적 구강관리 및 구강근훈련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구치부 지지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구강 회복 증례 (A case of oral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for a patient with loss of posterior teeth support)

  • 김현휘;이종혁;하승룡;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04-411
    • /
    • 2022
  •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 여성으로 #16, 13, 26, 37, 36, 35, 44, 45, 46, 47 치아가 상실되었으며, 하악 구치부의 결손으로 상실된 구치부 지지와 감소한 수직교합고경 및 전치부의 심한 수직피개를 보였다. 심미 및 기능상의 불편을 호소하였고, 보철치료를 통한 정상적인 안모 및 저작기능 회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 소견, 방사선 검사, 안모 및 구내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교합안정공극은 평균보다 과도하였고 상하악 전치 치은연 사이 거리 및 상하악 순측 전정 사이 거리, 하안면의 비율은 부족하여 수직고경 증가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였다. 소구치부 기준 약 4 mm의 수직고경 거상을 통한 교합 회복을 결정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구치부를 상실하여 전치부의 deep bite 및 수복공간의 부족을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고경 거상 및 고정성, 가철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으로 안정된 교합관계 및 전방, 측방유도를 형성하여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인 수복 결과를 이끌어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Forced Eruption in Impacted Maxillary Canines)

  • 한지혜;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2-413
    • /
    • 2022
  • 이 연구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견인 기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상악 견치의 매복으로 진단받아 외과적, 교정적 개입을 통한 견인 치료를 시행 받고 상악 매복 견치의 맹출까지 치료받은 만 8세 이상 만 18세 이하 환자 73명(93개의 상악 매복 견치)의 의무기록지와 방사선학적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합평면에서 상악 매복 견치 교두정까지의 거리, 근-원심과 협-구개 위치, 환자의 나이 그리고 급속구개확장장치의 사용 유무는 견인 치료기간을 예측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었으며, 매복 견치의 치축이 교합평면과 이루는 각과 편측성/양측성 매복 양상은 견인 기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견치의 낮은 매복 깊이, 견치 교두정의 근-원심 위치가 측절치 또는 견치 영역, 협-구개 위치가 협측 또는 중앙에 위치하고, 치료시작 시 환자의 어린 나이 그리고 구개 확장 장치의 사용이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을 짧게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절단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최소한의 수직 고경 증가를 통한 구강회복 증례 (Rehabilitation with minimal in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 a patient with excessive tooth wear and edge-to-edge bite)

  • 김희영;김성아;이용상;이근우;방주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43-152
    • /
    • 2023
  • 치아의 마모는 노화로 인한 정상적인 과정이지만, 과도한 마모는 치아 구조물 상실, 치아민감성 증가, 치수 합병증 등 여러 합병증을 야기한다.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치료는 수직교합고경 상실 여부의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는데, 보철수복공간이 부족할 경우 수직교합고경 증가가 필요할 수 있고,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최소한의 증가량을 결정해야 한다. 본 증례는 66세 남환으로 심한 치아의 마모로 인한 저작기능 회복 및 심미적인 회복을 위해 내원하였다. 구강 검사, 방사선 검사, 진단 모형 검사 등을 통해 수직교합고경을 평가하고,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을 계획하였다. 8개월 간의 관찰 결과 중심위에서 치아의 균일한 접촉, 적절한 전방 및 측방 유도를 부여하였고, 환자의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고 심미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3D 프린팅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한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fixed prostheses by increased vertical occlusal dimension using 3D printed splint in a patient with excessive tooth wear)

  • 김세영;신수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15-226
    • /
    • 2023
  • 전치부의 심한 교모는 측방운동 중 구치부를 교모로부터 보호하는 전방유도의 상실을 촉진하며, 구치부의 상실은 교합의 부조화 및 수직고경의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다수의 치아상실과 치아 마모로 인해 교합이 붕괴된 환자 치료시에는 정확한 임상 및 방사선 검사, 진단용 왁스업을 이용하여 수직고경 상실에 대한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44세 여성환자로 이갈이와 이악물기 습관으로 전체적인 치아 마모 및 구치부 상실로 저작기능 및 발음, 심미적 불편감을 호소하였으며, 보철적 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 및 심미적 안모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상, 하악 구치부의 결손으로 감소한 수직교합고경 및 전치부의 심한 수직피개를 보였다. 모형 분석과 진단납형을 통해 수직고경 증가를 결정하였으며, 고정성 보철물로 전악수복을 계획하였다. 안정된 치료위로의 적응을 위해 CAD (Computer aided design)소프트웨어로 디자인한 3D(3-Dimensional) 프린팅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수직고경에 대한 적응도를 확인하였으며, 이 후 임시치아로 수복하여 4개월의 적응기간 후 전체 치열은 금속도재관 및 임플란트로 수복하여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