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turator prosthesi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1초

선양낭포암 환자에서 전악 고정성 임플란트와 인두 폐쇄장치를 이용한 악안면 수복증례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of adenoid cystic carcinoma patient using full mouth fixed implant and pharyngeal obturator: a clinical report)

  • 반민희;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51-357
    • /
    • 2016
  • 상악절제술 후 환자들의 재건 치료는 쉽지 않은 과정이다. 상악골 결손은 저작, 발음, 연하 장애를 초래하여 기능적인 회복이 필요하다. 폐쇄장치 제작의 목표는 결손부를 대체하여 구강기능을 회복하고 환자에게 편안함과 심미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증례에서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인두 폐쇄장치 제작 후 획득한 저작력과 심미성 그리고 개선된 유지력을 보고하고자 한다.

Prosthetic reconstruction with an obturator using swing-lock attachment for a patient underwent maxillectomy: A clinical report

  • Seong, Dong-Jae;Hong, Seoung-Jin;Ha, Seung-Ryong;Hong, Young-Gi;Kim, Hyo-W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411-416
    • /
    • 2016
  •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of maxilla due to benign or malignant tumor, or accident will have defect in palatal area. They get retention, support and stability from remaining tissues which are hardly optimal. The advantage of swing-lock attachment design is having multiple contacts on labial and lingual side of the abutment teeth by retentive strut and palatal bracing component. Because the force is distributed equally to abutment teeth, abutment teeth of poor prognosis can be benefited from it. It is also more advantageous to cover soft tissue defects which are hard to reach with conventional prosthesis. A 56-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undergone a maxillectomy due to malignant melanoma complaining of loose and unstable surgical obturator. Surveyed crowns were placed on #12, 26, and 27. Teeth #11, 21, 22, and 23 had lingual rest seat and #24 had mesial rest seat to improve stability and support of the obturator. This clinical report presents the prosthetic management of a patient treated with obturator on the maxilla using swing-lock attachment to the remaining teeth.

Hemi-Maxillectomy 부분무치악 환자의 Swing-Lock Attachment를 이용한 Obturator 수복 증례 (A case of Obturator using Swing-lock Attachment for Par tial Edentulous Patient with Hemi-Maxillectomy Patient)

  • 오병두;임종화;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2010
  • 상악의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로서 상악골 절제술이 시행되며 필연적으로 이것은 환자 구개부에 결손부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안모의 변형, 연하, 저작, 발음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악골 절제술 후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외과적 재건 또는 보철적 치료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상악골 절제술 환자에서 구강악안면 재건의 방법으로 구개폐쇄장치가 더 선호된다. 본 증례는 Aramany 분류 II급에 해당하는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구개폐쇄장치의 유지와 안정을 얻고 모든 기존의 금관수복물을 유지할 수 있는 swing-lock attachment를 사용하여 수복한 임상과정 및 결과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ctive components delivery rate from acrylic resin maxillary surgical obturator: Part I

  • Al-Kaabi, Arshad;Hamid, Mohammed A.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09-11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trend of compounds release from acrylic resin oral prosthesis when used for drug delivery as well as a restoration. In this study, 10 specimens of heat-cured polymethylmethacrylate material were prepared and loaded with methylene blue biological stain. The specimens were then submerged in vials with 5 ml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The extraction procedure continued for 4 days, each day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another 5 ml distilled water vial. All extracted solutions were analyzed by visible light spectroscopy for absorbance comparison.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absorbance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irst day of extraction than the following day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2nd, 3rd and 4th days of extraction. Biological stain loading to acrylic resin at the mixing stage, and then after extraction in distilled water, showed a burst release during the first day followed by a constant release during the following few days.

상악골 부분절제술 시행 환자에서 one-step 중합 기술로 만든 hollow bulb 폐색장치를 이용한 악안면 수복 증례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of hemi-maxillectomy patient using a closed hollow bulb obturator fabricated by one-step polymerization technique: a clinical report)

  • 심재혁;김민규;한중석;이재봉;김성훈;여인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5-40
    • /
    • 2016
  • 상악골 결손은 악안면 부위의 해부학적 기형과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기능적 측면에서, 상악골 결손은 발음, 저작, 연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상악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폐색장치는 이러한 기능적 회복에 큰 역할을 한다. 폐색장치가 구강 내에서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지가 필요하며, 이러한 유지의 증가를 위해서는 폐색장치의 무게 감소가 필요하다. Hollow bulb 폐색장치에는 개방형, 폐쇄형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폐쇄형 형태는 많은 장점을 가지나, 제작이 어렵고 누수가 발생할 경우 처치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존재하여 많은 술자들은 개방형 형태로 제작한다. 본 증례에서 두 열가소성 레진 시트로 만든 hollow body를 이용하여 one-step 중합 기술로 폐쇄형 hollow bulb 폐색장치를 제작하였고, 이는 기존의 폐쇄형 hollow 폐색장치 제작법의 단점들을 보완할 것이다.

연구개를 포함한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이중 온성법으로 제작한 구개 폐색장치를 통한 보철수복: 증례 보고 (Prosthetic rehabilitation by double-processing technique for edentulous patient with soft palate defect after maxillectomy: A case report)

  • 박진용;왕원곤;송광엽;박주미;이정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56-363
    • /
    • 2019
  • 연구개를 포함한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구강,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포함하는 결손을 가질 수 있다. 비강과 구강이 개통되고 불완전한 구개인두폐쇄로 인해 공기 및 음식물이 누출되어 발음 장애, 저작, 연하 기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안모의 변형으로 환자의 심리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개 폐색장치는 결손 부위 폐쇄를 통해 구강과 비강을 분리시켜 연하, 발음 및 심미적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개 폐색장치는 통상적인 총의치와 같은 유지, 안정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결손 부위의 주위조직을 적절히 활용해 변연봉쇄를 얻어야 한다. 또한 hollow type bulb를 통해 보철물의 무게를 감소시켜 유지에 도움을 준다. 본 증례는 우측 편평상피암으로 인하여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63세 남환으로 구강 및 인두부의 기능적 변연형성을 통해 생리적으로 적절한 변연을 갖고, 이중온성법을 사용하여 무게를 감소시킨 보철물을 이용하여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총상으로 인한 악안면 결손을 가진 환자에 대한 가철성 보철물 수복증례 (Removable prosthetic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maxillofacial defects caused by gunshot: A case report)

  • 이동규;강정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98-204
    • /
    • 2017
  • 악안면부의 결손은 선천적으로 결손을 가지고 있거나 외상이나 수술적인 절제 등에 의한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구강 내 결손을 가진 환자 중 상악의 결손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철적 치료의 필요성이 높다. 하악의 부분적 결손을 가질 경우 기능적 회복에 상당한 한계점을 보이나 양측 턱관절이 정상적으로 남아 있을 경우 국소의치를 이용한 악안면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58세 남자 환자로서 안면부 총상으로 인한 구개부 및 좌측 하악 구치부 결손을 가진 분으로 obturator와 하악 RPD 재제작을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의 상악 결손 범위는 Aramany 분류법 Class IV에 해당되는 상태이며, 하악은 Cantor와 Curtis 분류법 Type V resection 상태이다. 상, 하악의 우측 구치부가 잔존하였으나, 수술 후 악골 변형으로 인해 서로 교합되지 않았으며 치주상태 불량으로 인한 동요도도 존재하는 상태였다. Obturator의 유지를 위해 잔존 지대치를 최대한 활용하였고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되도록 치아를 배열하였다. 하악 RPD는 하악 절제술로 변형된 연조직에 적합하도록 제한된 범위를 피개하는 RPD를 제작하였다. 이에 환자분의 저작, 연하, 발음 기능이 많이 개선되었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어 본 증례를 발표하는 바이다.

상악골 부분절제술 시행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폐쇄 장치를 이용한 보철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after maxillectomy: A case report)

  • 허경회;임영준;김명주;권호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7-171
    • /
    • 2016
  •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은 저작, 발음, 연하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안모의 변화로 인해 사회적,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악안면 보철적 치료를 통한 기능적, 심미적 회복이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폐쇄 장치는 구개의 외형을 회복시키고 구강과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분리시킴으로써 연하와 발음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증례는 편평상피암으로 인해 우측 상악 구치부에서 비인두에 이르기까지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폐쇄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발음 및 연하 기능을 회복하고 저작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심미적인 부분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1년간의 임상적 관찰기간 동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Oral mucormycosis in an 18-month-old child: a rare case report with a literature review

  • Kalaskar, Ritesh Rambharos;Kalaskar, Ashita Ritesh;Ganvir, Sindh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2권2호
    • /
    • pp.105-110
    • /
    • 2016
  • Oral mucormycosis is a fungal infection observed mainly in elderly immunocompromised patients. In rare instances, the disease occurs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ose patients that are below preschool age. Although this condition mainly involves the maxilla, it may also manifest in any part of the oral cavity based on the source of infection. Mucormycosis of the maxilla spreads rapidly, leading to necrosis of the palatal bone and palatal perforation. Such patients are usually rehabilitated using bone grafting or free flap surgeries. However, when surgeries are delayed, palatal prosthesis is an interim treatment modality that can prevent nasal regurgitation and aspiration of food or fluids. Palatal prostheses also help with mastication, speech, and swallowing. The present case describes a rare case of oral mucormycosis in an 18-month-old male involving the maxilla that was managed by palatal prosthesis.

Maxillary resection for cancer, zygomatic implants insertion, and palatal repair as single-stage procedure: report of three cases

  • Salvatori, Pietro;Mincione, Antonio;Rizzi, Lucio;Costantini, Fabrizio;Bianchi, Alessandro;Grecchi, Emma;Garagiola, Umberto;Grecchi, Francesc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9권
    • /
    • pp.13.1-13.8
    • /
    • 2017
  • Background: Oronasal/antral communication, loss of teeth and/or tooth-supporting bone, and facial contour deformity may occur as a consequence of maxillectomy for cancer. As a result, speaking, chewing, swallowing, and appearance are variably affected. The restoration is focused on rebuilding the oronasal wall, using either flaps (local or free) for primary closure, either prosthetic obturat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surely postpones every dental procedure aimed to set fixed devices, often makes it difficult and risky, even unfeasible. Regular prosthesis, tooth-bearing obturator, and endosseous implants (in native and/or transplanted bone) are used in order to complete dental rehabilitation. Zygomatic implantology (ZI) is a valid, usually delayed, multi-staged procedure, either after having primarily closed the oronasal/antral communication or after left it untreated or amended with obturator. The present paper is an early report of a relatively new, one-stage approach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after tumour resection, with palatal repair with loco-regional flaps and zygomatic implant insertion: supposed advantages are concentration of surgical procedures, reduced time of rehabilitation, and lowered patient discomfort. Cases presentation: We report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alveolo-maxillary resection for cancer and had the resulting oroantral communication directly closed with loco-regional flaps. Simultaneous zygomatic implant insertion was added, in view of granting the optimal dental rehabilitation. Conclusions: All surgical procedures were successful in terms of oroantral separation and implant survival. One patient had the fixed dental restoration just after 3 months, and the others had to receive postoperative radiotherapy; thus, rehabilitation timing was longer, as expected. We think this approach could improve the outcome in selected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