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폐쇄성수면무호흡증후군의 임상양상에 따른 동맥혈산소포화도의 비교 (Comparison of Arterial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Clinical Characteristic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진복희;장경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9-134
    • /
    • 2008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occurred by apnea by the obstruction of upper trachea while sleeping, followed by repetitive drop on arterial oxygen saturation ($SpO_2$).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relation between $SpO_2$ of while having difficulty in breathing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SAS while sleeping. The study took place at Ewha women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ith 149 subjects (male 121, female 28) who were examined for polysomnography (PSG) from May 2007 to February 2008. All subjects were adhered to electrodes and sensors to measure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oculogram (EOG), chin & leg electromyogram (EMG), airflow at nasal and oral cavities, breathing movement of chest and abdominal snoring sound and $SpO_2$. Lowest $SpO_2$ in male was meaningfully low with higher body mass index (BMI), louder snoring sound and thick neck circumference (p<0.01). While mean $SpO_2$ based on the degree of AH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lowest $SpO_2$ was significantly low with high AHI (p<0.001). Also, lowest $SpO_2$ was closely correlated with BMI (r=-00.343, p<0.001), snoring sound (r=0.177, p<0.05), apnea index (r=-0.589, p<0.001), hypopnea index (r=-0.336, p<0.001) and apnea-hypopnea index (r=-0.664, p<0.001). $SpO_2$ was closely related to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SAS, like male, BMI, snoring sound and neck circumference. Also, polysomnography accompanied by recent development of sleep study is considered as critical test to diagnose OSAS, decide the severity of illness, and evaluate the treatment plan.

  • PDF

폐쇄성(閉鎖性) 수면(睡眠) 무호흡증(無呼吸症)에서 지속적(持續的) 상기도(上氣道) 양압술(陽壓術)에 따른 수면구조(睡眠構造) 및 기능(機能) 변화(變化) (Therapeutic Change of Sleep Structure and Function by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lica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정도언;윤인영;심영수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2호
    • /
    • pp.172-181
    • /
    • 1994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is most frequently diagnosed in the sleep laboratories and its severity is objectively estimated. In terms of treatment, the most prevalent method is the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CPAP) application as of now. However, in Korea, CPAP is still not sufficiently known and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sleep study facilities have not been popularized. In this article, the authors present their own experience with CPAP in nine subjects with OSAS. In this study, CPAP was found to decrease stage 1 sleep and to increase stage 2 sleep, with increasing mean oxygen saturation and decreasing lowest oxygen saturation during nocturnal sleep. Also, it tended to increase sleep continuity and generally to improve sleep architecture. Rebound slow wave and/or REM sleep stages during CPAP were also noted in 8 out of 9 cases. The authors suggest that CPAP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rimary mode of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physician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by sleep specialists.

  • PDF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고찰 (Surgical treatment for the obstructive sleep apnea : A review)

  • 김원재;권용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5호
    • /
    • pp.279-287
    • /
    • 2019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characterized by obstructive events of the upper airway (UAW) during sleep,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clinical signs and symptoms such as snor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mpaired memory, and fatigue. It is associated with many problems like psychosocial problems, physiologic alterations in the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s as a result of hypoxia and repeated awakenings during sleep.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weight loss, sleep positioning, improvement of sleep hygiene, CPAP and MAD can be performed for the obstructive sleep apnea. However, their effect for the OSA is limited and differs by patient's individual properties. Accordingly, surgical reconstructions of the upper airway must be carried out for the treatment of OSA.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 두개골계측분석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sefulness of Cephalometric Analysis in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최영미;이상학;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218-230
    • /
    • 1999
  • 연구배경: 두개안면 및 상기도의 해부학적 이상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한국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가 지니고 있는 두개안면 및 상기도의 해부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발생을 예측함에 있어서 두개골계측분석의 임상적 유용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39명(OSAS), 단순코골이 39명(simple snorers) 및 정상인 20명(control)을 대상으로 Riley 등의 방법을 이용한 두개골계측분석의 각 계측치와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와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Pm-UPW길이와 V-LPW길이는 OSAS 및 simple snorers 에서 control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짧았으며 (p<0.01), PAS 깊이는 simple snorers가 control에 비해 짧았다 (p<0.05). ANS-Gn길이는 OSAS가 control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고 (p<0.01), PNS-P길이는 OSAS 및 simple snorers가 control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길었다(p<0.01). MP-H길이는 OSAS가 control 및 simple snorers 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길었고 (p<0.01), simple snorers는 control에 비해 길었다(p<0.05). NL/Pm-P각도는 OSAS가 control 에 비해 작았다(p<0.05). MP-H길이는 OSAS에서 무호흡-저호흡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r=0.561, p<0.01), OSAS와 simple snorers를 합한 대상에서도 MP-H 길이와 무호흡-저호흡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11, p<0.01. PNS-P길이는 OSAS와 simple snorers를 합한 대상에서 무호흡-저호흡지수와 관련성이 있었다(r=0.286, p<0.05). 전체 대상에서 남자의 비만도가 PNS-P길이(r=0.355, p<0.01) 및 MP-H길이(r=0.460,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두개골계측분석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두개안면 및 상기도약 해부학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여러 가지 두개골계 측치중에서 설골의 위치를 나타내는 MP-H길이는 수면중에 발생 가능한 상기도의 협착 혹은 폐쇄 정도를 예측하는 자료로서 임상적 유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을 위한 한국인 성인 부정교합자의 두부방사선 사진 계측 분석에 의한 연구 (MEAN VALUES OF CEPHALOMETRIC ANALYSIS FROM KOREAN ADULTS WITH ABNORMAL OCCLUSION IN RELATION TO THE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박광호;허종기;안제영;김지용;임재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67-275
    • /
    • 2005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characterized by sleep-induced obstruction of the upper airway that results in cessation of airflow. Obstruction can occur at a number of points in the airway, but frequently in the oropharynx. A diagnostic evaluation includes cephalometr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coustic reflection technique, polysomnography and fibroptic endoscopy.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have revealed that posterior airway anatomy has strong relations with the symptoms of them. A lateral cephalogram is routinely obtained in the radiologic evaluation of sleep apnea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 lateral cephalometric korean norm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by analyzing the abnormal occlusion of Korean adults.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가진 어린이 환자들의 MRI 영상으로부터 상기도 면적 변화 분석을 위한 광류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flow Method for Analysis of Ipper Airway Deformation from Magnetic Resonance Images for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민희;김동윤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4호
    • /
    • pp.201-209
    • /
    • 2014
  •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수면 중 부분적인 혹은 완전한 상기도 폐쇄로 인한 호흡 장애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와 정상인에서의 호흡하는 동안의 상기도 움직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류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상인 6명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5명에 대해, 기도 면적 분석 방법과 광류 방법을 적용하여 흡기와 호기에서의 차이의 절대 값을 비교하였다. 통계적 분석 결과, 기도면적 분석 방법과 광류 방법은 각각 유의수준 10%(p값 0.0977)와 1%(p값 0.0011)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광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의 진단에 있어 더 정확한 정보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개 및 인두편도 적출술 적응증의 변화 양상 (Changing Trends of Indications in Adenotonsillectomy)

  • 진영완;조중생;차창일;홍남표;안회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2-79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denotonsillar hypertrophy is the most common disorder in pediatric otolaryngology, which should be suspected as a possible caus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n the past, most of the adenotonsillectomy were performed because of recurrent infection, but now OSAS is the most common indication in many centers. Materials and Method : A review of 1,945 adenotonsillectomy performed between 1990 and 1998 is presented. W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f indication for adenotonsillectomy and analyzed changing trends of indication for adenotonsillectomy. Results : Although recurrent infection remains the predominant indication for surgery, there has been a rise in OSAS as a significant indication from 13.67% in 1990 to 24.26% in 1998. Conclusion : An increase has occurred in the percentage of adenotonsillectomy performed for OSAS due to adenotonsillar hypertrophy. This trend promises to continue as physicians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the prevalence and seriousness of adenotonsillar hypertrophy as a cause of sleep apnea.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 앙와위 자세시간과 수면관련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al Analysis of Supine Position Time and Sleep-related Variabl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김시영;박두흠;유재학;유승호;하지현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1호
    • /
    • pp.32-37
    • /
    • 2017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에서 앙와위는 비앙와위보다 수면무호흡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앙와위 자세시간(supine position time, SPT)과 OSAS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의 관련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SPT가 OSAS에서 어떤 변수의 영향을 받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OSAS에서 수면다원검사상 어떤 변수가 SPT과 관련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방 법 : 수면다원검사로 진단된 치료받지 않은 365 명의 OSAS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SPT($276.4{\pm}92.3$ 분)가 인구 통계학적 데이터, 수면구조 관련변수, OSAS 관련변수 및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SPT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SPT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의 상관분석에서 SPT는 총수면시간(total sleep time, TST) (r = 0.443, p < 0.001)과 수면 효율(r = 0.300, p < 0.001)과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코골이 시간(r = 0.238, p < 0.001), 산소포화도 90 % 미만시간(r = 0.188, p < 0.001), AHI (r = 0.180, p = 0.001), 산소탈포화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r = 0.149, p = 0.004), NN50 count(r = 0.137, p = 0.036)와 SPT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SPT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TST (t = 7.781, p < 0.001), 코골이 시간(t = 3.794, p < 0.001), AHI (t = 3.768, p < 0.001), NN50 count (t = 1.993, p = 0.047)가 있었다. 결 론 : SPT는 OSAS 관련변수보다 수면구조 관련변수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SPT는 TST과 AHI 뿐만 아니라 NN50 count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이것은 SPT가 OSAS의 심각도뿐만 아니라 수면구조와 심박변이도에 의해서도 결정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불면증 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의 주간졸림 정도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omnia Severity on Daytime Sleepines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남지원;신병학;신현실;박민지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11-19
    • /
    • 2015
  •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의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주간졸림이 있다.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가 비례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다. 이러한 이론에는 불면증 정도가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본 연구자들은 피츠버그수면질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이하 PSQI) 정도가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의 연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를 실시하여 OSAS로 진단된 235명의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수면 및 기분 관련 자가보고척도, 수면다원검사지수, 인구학적 척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단순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체 대상군을 PSQI가 5 이하인 A군(n = 75)과 5 초과인 B군(n = 160)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제어변수로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 및 벡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를 설정하고 엡워스졸림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이하 ESS)와 다른 척도들 간의 편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A군에서 주간졸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ESS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에서 단순상관분석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 심각도 지수들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 ) (r = 0.148, p = 0.023), 무호흡 지수(apnea index, 이하 AI) (r = 0.137, p = 0.036), 저호흡 지수(hypopnea index, 이하 HI) (r = 0.058, p = 0.377), 산소탈포화도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이하 ODI)(r = 0.149, p = 0.022), 각성 총지수(arousal total index, 이하 ATI) (r = 0.129, p = 0.048) 간에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없었다. A군에서 ESS와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TI ($r_p=0.256$, p = 0.031) 간에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군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의 심각도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군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ESS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AI (t = 2.996, p = 0.004), BAI (t = 2.721, p = 0.008)가 있었다. 결 론 : 주간졸림 정도와 수면무호흡 중증도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A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OSAS 환자가 호소하는 주간졸음을 평가할 때 불면 증상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심각도와 심박동 변이율 : 탈경향변동분석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Heart Rate Variability :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 주가원;신철진;박두흠
    • 생물정신의학
    • /
    • 제16권2호
    • /
    • pp.69-75
    • /
    • 2009
  • Objectives : Th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is one of the nonlinear methods for the investigation of biological time series. It quantifies the fractal scaling properties and is known to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long-range correlations in time series. The heart rate variability(HRV)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patients during nighttime was analyzed by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to assess its relationship with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Methods : Fifty nine untreated male OSAS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symptoms(mean age=45.4${\pm}$11.7 years, apnea-hypopnea index, AHI${\geq}$15) underwent nocturnal polysomnography. Moderate(AHI=15-30, N=22) and severe(AHI>30, N=37) OSAS patients were compared for the indices derived from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HRV. Results : In th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the alpha values were 0.75${\pm}$0.11 and 0.82${\pm}$0.07 for the severe and the moderate OSAS group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p<.01). The alpha valu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HI(r=-.425, p=.001).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lso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lpha values and very low frequency(VLF)(r=-.425, p=.001), low frequency(LF)(r=-.633, p= <.001) and the LF/HF ratio(r=-.305, p=.019) respectively. LF/HF ratio(p=.005) was higher in the severe OSAS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moderate OSAS group.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OSAS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everity of symptoms. The scaling exponen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AHI and indicies of frequency domain analysis. This result suggests that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can be helpful to estimate the severity of OS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