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lique Angle Imag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51초

어깨관절의 접시오목을 나타내는 Grashey법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Grashey Method Viewing the Glenohumeral(shoulder) Joint)

  • 이재섭;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31-335
    • /
    • 2015
  •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하지만 촬영 시 환자를 몸통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관찰범위가 변화한다. Glenohumeral joint's를 가장 잘 나타내기 위한 몸통 회전 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20명(남:13명, 여:7명)을 대상으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영상의 판단을 위하여 정형외과 전문의 2명, 방사선사 2명(경력 15년 이상자)이 관찰 평가하였다. 평가의 척도는 Glenohumeral joint's 분리 정도의 점수를 0점은 '분리 안 됨', 1점은 '불량', 2점은 '보통', 3점은 '양호'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몸통 회전 각도를 $30^{\circ}$ 인 영상은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겹쳐서 나타났고, $35^{\circ}$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약간 겹쳐서 나타났고, $40^{\circ}$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의 관절강이 가장 겹침이 적게 나타났고, $45^{\circ}$ 인 영상에서도 겹침 정도가 많았다. 각 영상의 평가 점수는 $30^{\circ}$$0.40{\pm}0.499$, $35^{\circ}$$1.34{\pm}0.657$, $40^{\circ}$$1.84{\pm}0.573$, $45^{\circ}$$0.76{\pm}0.649$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선 자세에서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기 위한 자세에서 환자 몸통을 $40^{\circ}$ 검사 반대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하였을 경우 우리는 가장 양호한 접시오목(Glenoid fossa)를 나타낼 수 있었다.

Inter-Rater Reliability of Abdominal Muscles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for Different Probe Locations and Thickness Measurement Techniques

  • Lim, One-Bin;Hong, Ji-A;Yi, Chung-Hwi;Cynn, Heon-Seock;Jung, Doh-Heon;Park, Il-Woo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0-67
    • /
    • 2011
  • Ultrasonography (US) is a recent technique that has proven to be useful for assessing muscle thickness and guiding the rehabilitation decision-making of clinicians and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US measurement of transversus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thicknesses for different probe locations and measurement techniques. Twenty healthy volunte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Muscle thicknesses of the transversus TrA, IO, and EO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the hook-lying position. The three different probe locations were as follows: 1) Probe location 1 (PL1) was below the rib cage in direct vertical alignment with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2) Probe location 2 (PL2) was halfway between the ASIS and the ribcage along the mid-axillary line. 3) Probe location 3 (PL3) was halfway between the iliac crest and the inferior angle of the rib cage, with adjustment to ensure the medial edge of the TrA. The two different techniques of thickness measurement from the captured images were as follows: 1)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in the middle of the muscle belly, which was centered within the captured image (technique A; TA). 2)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along a horizontal reference line located 2 cm apart from the medial edge of the TrA in the captured image (technique B; TB).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3,k]) was used to calcul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hickness measurement of TrA, IO and EO using the values from both the first and second examiner. In all three muscles, moderate to excellent reliability was found for all conditions (probe locations and measurement techniques) (ICC=.70~.97). In the PL1-TA condition, inter-rater reliability in the three muscle thicknesses was good to excellent (ICC=.85~.96). The reliability of all measurement conditions was excellent in IO (ICC=.95~.97).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 can be applied to PL1 by clinicians and resear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s.

VIS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A NARROW-CONE DI GASOLINE SPRAY FOR THE IMPINGEMENT ANALYSIS

  • Park, J.S.;Im, K.S.;Kim, H.S.;Lai, M.C.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21-238
    • /
    • 2004
  • Wall interactions of direct injection spray were investigated using laser-sheet imaging, shadowgraphy, wetted footprint and phase Doppler interferometry techniques. A narrow-cone high-pressure swirl injector is used to inject iso-octane fuel onto a plate, which has three different impact angles inside a pressurized chamber. Heated air and plate conditions were compared with unheated cases. Injection interval was also varied in the heated case to compare dry- and wet- wall impingement behaviors. High-speed macroscopic Mie-scattering images showed that presence of wall and air temperature has only minor effect on the bulk spray structure and penetration speed for the narrow-cone injector tested. The overall bulk motions of the spray plume and its spatial position at a given time are basically unaffected until a few millimeters before impacting the wall.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impact surface, such as the temperature, the presence of a preexisting liquid film also have a small effect on the amount of wetting or the wetted footprint; however, they have strong influence on what occurs just after impact or after a film is formed. The shadowgraph in particular shows that the plate tempera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vapor phase propagation. Generally, 10-20% faster horizontal vapor phase propagation is observed along the wall at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 For impingement onto a preexisting film, more splash and evaporation were also observed. Contrary to some preconceptions, there is no significant splashing and droplet rebounding from surfaces that are interposed in the path of the DI gasoline spray, especially for the oblique impact angle cases. There also appears to be a dense spray front consists of large sac spray droplets in the oblique impact angle cases. The bulk of the spray is not impacted on the surface, but rather is deflected by it The microscopic details as depicted by phase Doppler measurements show that the outcome of the droplet impaction events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droplets at the spray front have high enough Weber numbers for wall impact to wet, splash or rebound. Using the sign of vertical velocity, the time-resolved downward droplets and upward droplets are compared. The Weber number of upward moving droplets, which seldom exceeds unity, also decreases as the impact angle decreases, as the droplets tend to impact less and move along the wall in the deflected spray plume.

A Simulation Tool for Ultrasonic Inspection

  • Krishnamurthy, Adarsh;Mohan, K.V.;Karthikeyan, Soumya;Krishnamurthy, C.V.;Balasubramaniam, Krishnan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3-161
    • /
    • 2006
  • A simulation program SIMULTSONIC is under development at CNDE to help determine and/or help optimize ultrasonic probe locations for inspection of complex components. SIMULTSONIC provides a ray-trace based assessment for immersion and contact modes of inspection. The code written in Visual C++ operating in Microsoft Windows environment provides an interactive user interface. In this paper, a description of the various features of SIMULTSONIC is given followed by examples illustrating the capability of SIMULTSONIC to deal with inspection of canonical objects such as pipes. In particular, the use of SIMULTSONIC in the inspection of very thin-walled pipes (with 450 urn wall thickness) is described. Ray trace based assessment was done using SIMULTSONIC to determine the standoff distance and the angle of oblique incidence for an immersion mode focused transducer. A 3-cycle Hanning window pulse was chosen for simulation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validate the simulations. The A-scans and the associated B-Scan images obtained through simulations show good correlation with experimental results, both with the arrival time of the signal as well as with the signal amplitudes.

Effect of Cage in Rad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irect and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 Ko, Myeong Jin;Park, Seung Won;Kim, Young Bae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4호
    • /
    • pp.432-441
    • /
    • 2019
  • Objective : Few studies have reported direct comparative data of lumbar spine angles between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DLIF) and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DLIF and OLIF, and determine influential factors. Methods : The same surgeon performed DLIF from May 2011 to August 2014 (n=201) and OLIF from September 2014 to September 2016 (n=142). Radiological parameters, cage height, cage angle (CA), cage width (CW), and cage location were assessed. We checked the cage location as the distance (mm) from the anterior margin of the disc space to the anterior metallic indicator of the cage in lateral image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vertebral foramen height (FH; $22.0{\pm}2.4$ vs. $21.0{\pm}2.1mm$, p<0.001) and sagittal disc angle (SDA; $8.7{\pm}3.3$ vs. $11.3{\pm}3.2^{\circ}$, p<0.001) between the DLIF and OLIF groups at 7 days postoperatively. CA ($9.6{\pm}3.0$ vs. $8.1{\pm}2.9^{\circ}$, p<0.001) and CW ($21.2{\pm}1.6$ vs. $19.2{\pm}1.9mm$, p<0.001)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OLIF group compared to the DLIF group. The cage location of the OLIF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anterior than the DLIF group ($6.7{\pm}3.0$ vs. $9.1{\pm}3.6mm$, p<0.001). Cage subsidence at 1 year postoperatively was significantly worse in the DLIF group compared to the OLIF group ($1.0{\pm}1.5$ vs. $0.4{\pm}1.1mm$, p=0.001). Cage loc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FH (${\beta}=0.273$, p<0.001) and postoperative SDA (${\beta}=-0.358$, p<0.001). C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FH (${\beta}=-0.139$, p=0.044) and postoperative SDA (${\beta}=0.236$, p=0.001). Cage location (${\beta}=0.293$, p<0.001) and CW (${\beta}=-0.225$, p<0.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ge subsidence. Conclusion : The cage location, CA, and CW seem to be important factors which result in the different-radiological outcomes between DLIF and OLIF.

병원 내원한 환자 견갑골(scapula) 진단을 위한 연구 (The shoulder diagnosis Scapul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 안병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20
    • /
    • 2010
  • 견갑골의 골절 유 무와 외상에 의한 탈구를 진단하는데 있어 견갑골의 정측면상의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측방향 촬영시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회전 각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견갑골의 촬영을 위해 내원한 환자 20명(여 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연령은 35.4세(15세부터 66세)였다. 수동각도기의 거상각도를 $30^{\circ}$, $40^{\circ}$, $45^{\circ}$로 하여 전 후방향 촬영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전문가 5명이 내측연과 외측연의 완전겹침이 있는 영상은 4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불완전 겹침이 있는 영상은 3점, 견갑골체 내측연과 외측연이 겹침이 없는 영상은 2점, 내측연과 외측연이 사방향으로 나타난 영상은 1점으로 4단계로 나누어 blind test를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한 각도별 평균점수는 $30^{\circ}$$1.53{\pm}0.39$점, $40^{\circ}$$3.83{\pm}0.15$점, $45^{\circ}$$2.17{\pm}0.43$ 점으로 나타났다. 도한 가슴둘레가 100cm이상인 군과 100cm이하인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p<0. 05) 없었고, 남자와 여자 간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견갑골 정측면상을 얻는데 적합한 환자의 회전각도에 관한 연구가 없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검사측을 $40^{\circ}$ 회전하며 검사측 상완골을 반대쪽으로 들며 촬영하는 것이 한국인 성인에서 견갑골의 정측면상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견갑골의 측방향 촬영을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대퇴 전염각의 측정 (A NEW MEASUREMENT METHOD OF FEMORAL ANTEVERSION BASED ON THREE DIMENSIONAL MODELING)

  • 김준식;박희정;최광수;최귀원;김선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1-144
    • /
    • 1997
  • Femoral neck anteversion is the angle between the neck and the knee axis projecte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Conventional methods that use cross-sectional Computed Tomography(CT) images to estimate femoral anteversion have several problems because of the complex 3D structure of the femur. These are the ambiguity of defining the longitudinal axis, the femoral neck axis and condylar line, and the dependence on patient positioning. Especially the femoral neck axis that is known as a major source of error is hard to determine from a single or multiple 2D transverse images. So we developed a new method for measuring femoral anteversion by 3D modeling method. In this method, femoral head is modeled as a sphere. The center of femoral neck is the mid-point of the 2D reconstructed oblique image in the femoral neck part. Then neck axis is a line connecting foregoing two centers. We model the longitude of femur as a cylinder, and the long axis is defined from the fitted cylinder. The knee axis which is tangent to the back of the femoral condyles is easily determined by table-top method. By the definition of femoral anteversion, the femoral anteversion is easily calculated from this model.

  • PDF

표면위치표지자를 적용한 정위적 부분유방방사선치료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for Stereotactic Partial Breast Irradiation(S-PBI) by using Surface Fiducial Marker)

  • 김종열;정동민;김세영;유현종;최정환;박효국;백종걸;이상규;조정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3권
    • /
    • pp.99-108
    • /
    • 2021
  • 목 적: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정위적 부분유방방사선치료(Stereotactic Partial Breast Irradiation) 시 기존의 침습적인 위치표지자(Fiducial Marker) 삽입 방식이 아닌 비침습방식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한 영상 중심(Imaging Center)의 일치도는 2D모의치료기와 사이버나이프의 양사방향(Both oblique, 45 °, 315 °) 영상 획득 후 다이스 유사 계수를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표면위치표지자의 위치 재현성은 본원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ATOM Phantom 표면에 금 재질의 위치표지자 8개를 부착하고 2D모의치료와 치료계획, 사이버나이프 영상을 분석하여 평가 하였다. 결 과: 영상 중심의 일치도 평가결과는 양사방향(45 °, 315 °)에서 각각 0.87, 0.9 였다. 표면위치표지자의 재현성 평가 결과 좌측 유방은 수평수직방향 Superior/Inferior 0.3 mm, Left/Right -0.3 mm, Anterior/Posterior 0.4 mm, 회전 방향 Roll 0.3 °, Pitch 0.2 °, Yaw 0.4 ° 로 나타났다. 우측 유방은 수평수직방향 Superior/Inferior -0.1 mm, Left/Right -0.1 mm, Anterior/Posterior -0.1 mm 회전 방향 Roll 0.2 °, Pitch 0.1 °, Yaw 0.1 ° 로 나타났다. 결 론: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한 정위적 부분유방암방사선치료 시 표면위치표지자의 비침습 트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증 및 감염 등의 예방과 전처치 시간을 줄이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할 수 있었으며, 영상 중심의 높은 일치도 및 위치표지자의 재현성을 바탕으로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에서 좌전사위상 각도의 변화에 따른 정량적 지표 비교 (The Comparison of Quantitative Indices by Changing an Angle of LAO View in Multi-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 윤순상;남기표;류재광;김성환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57-61
    • /
    • 2012
  •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MUGA)은 좌심실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심근독성 항암제를 투여 받는 환자에서 심박출 계수(Ejection Fraction, EF)를 추적, 감시하는데 이용되어 많은 검사가 시행되고 있다. EF를 산출하기 위해 좌전사위상(Left Anterior Oblique, LAO)에서 좌우 심실이 분리되도록 각도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때 LAO 각도의 설정은 정량분석 값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본 연구는 LAO 각도의 변화가 정량분석 값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06월부터 09월까지 본원에서 MUGA 검사를 시행한 환자 49명(남 8명, 여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최적 중격상(Best septal view)으로 촬영 후, 전면과 측면 측으로 LAO 각도를 가감하여 총 3회 촬영하였다. ${\pm}5^{\circ}$로 환자 20명, ${\pm}10^{\circ}$로 29명을 촬영하였고, 관심영역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각각 설정하여 좌심실의 EF와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를 비교하였다. 먼저 관심영역을 자동으로 분석하였을 때, ${\pm}5^{\circ}$의 경우, LAO, LAO $-5^{\circ}$, LAO $+5^{\circ}$에서의 EF의 평균값은 각각 $61.0{\pm}7.5%$, $62.1{\pm}7.1%$, $60.9{\pm}6.7%$ ($p$=0.841)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m}10^{\circ}$의 경우, EF의 평균값은 각각 $62.4{\pm}9.54%$, $62.3{\pm}10.8%$, $61.6{\pm}9.3%$ ($p$=0.938)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관심영역을 수동으로 분석하였을 때, ${\pm}5^{\circ}$의 경우, EF의 평균값은 각각 $62.8{\pm}7.1%$, $63.6{\pm}7.5%$, $62.7{\pm}7.3%$ ($p$=0.903)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m}10^{\circ}$의 경우, EF의 평균값은 각각 $65.5{\pm}9.0%$, $66.3{\pm}8.7%$, $63.5{\pm}9.3%$ ($p$=0.473)이었고, 이때의 확장기말계수, 수축기말계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최적 중격상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pm}5{\sim}10^{\circ}$의 영상의 차이는 EF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최적 중격상에서 벗어난 영상은 좌심실의 벽 운동 등과 같은 심장의 운동상태를 정성적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판독자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것이다.

  • PDF

Incremental Bundle Adjustment와 스테레오 영상 정합 기법을 적용한 무인항공기 영상에서의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방안 연구 (A Study on Point Cloud Generation Method from UAV Image Using Incremental Bundle Adjustment and Stereo Image Matching Technique)

  • 이수암;황윤혁;김수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1호
    • /
    • pp.941-951
    • /
    • 2018
  • 3차원 도시모델의 생성을 위한 무인항공기의 활용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D 도시 모델 생성의 선행 연구로 불완전한 자세에서 취득된 무인항공기의 위치/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포인트 클라우드의 추출을 위해서는 정밀한 센서모델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무인항공기의 위치/자세 보정을 위해 무인항공기 영상에 기록된 위치정보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회전각을 산출하고, 이를 초기값으로 하는 사진 측량 기반의 IBA(Incremental Bundle Adjustment)를 적용하여 보정된 위치/자세 정보를 획득했다. 센서모델 정보를 통해 스테레오 페어 구성이 가능한 영상들을 자동으로 선별하고 페어간의 타이포인트 정보를 이용해 원본 영상을 에피폴라 영상으로 변환했으며, 변환된 에피폴라 스테레오 영상은 고속, 고정밀의 영상 정합기법인 MDR (Multi-Dimensional Relaxation)의 적용을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했다. 각 페어에서 추출된 개별 포인트 클라우드는 집성 과정을 거쳐 하나의 포인트 클라우드 혹은 DSM의 최종 산출물 형태로 출력된다. 실험은 DJI社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연직 및 경사 촬영 영상을 사용했으며, 실험을 통해 건물의 난간, 벽면 등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포인트 클라우드 추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추출된 포인트 클라우드를 이용한 3차원 건물 추출 연구를 통해 3차원 도시모델의 생성을 위한 영상 처리기술을 계속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