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wilt diseas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from the Pine Wilt Disease Vector, Monochamus alternatus Hope(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 Shin, Tae-Young;Choi, Jae-Bang;Bae, Sung-Min;Cha, Ye-Rim;Oh, Jeong-Mi;Koo, Hyun-Na;Woo, Soo-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2호
    • /
    • pp.125-129
    • /
    • 2009
  • Entomopathogenic fungi were isolated directly from a cadaver of adult Monochamus alternatus supporting fungal sporulation, using a semi-selective medium and then screened several fungal colonies. The pathogenicity of each fungus was tested using oak longicorn beetle, Moechotypa diphysis, as substitutive insect. As the result, only one of them showed high pathogenicity against M. diphysis, with up to 100% mortality within 21 days of inoculation. Selected fungus was named as MaW1 and identified by Beauveria bassiana using microscopic examination and DNA analysis. Pathogenicity was also evaluated to M. alternatus.

에탄올 처리에 의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유인목 효율 증대 (Attractant Effect of Trap Logs Treated with Ethanol to Platypus koryoensis (Coleoptera: Platypodidae))

  • 손수연;이선근;서상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3-448
    • /
    • 2015
  •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Murayama))(Coleoptera: Platypodidae)의 에탄올과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의 유인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인트랩과 유인목 시험에서는 에탄올과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을 사용한 처리구가 대조구(무처리)보다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두 유인제 간의 유의성은 찾지 못하였다. 유인목의 직경별 침입공 수를 비교한 결과, 침입공 수는 직경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유인목의 횡단면 상부와 하부 침입공 수를 비교한 결과, 상부보다 하부에 침입공이 많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직사광선에 의한 건조가 적은 하부가 매개충의 먹이가 되는 미생물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보다 비용 면에서 경제적인 에탄올이 광릉긴나무좀 모니터링 및 방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신갈나무 수피 추출물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인천시 청량산의 생태적 특성과 식생구조의 변화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Mt. Cheongryang, Incheon)

  • 이상희;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4-88
    • /
    • 2021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청량산의 생태적 특성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림의 건강성 회복 및 식생 보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량산의 신갈나무는 참나무시들음병 방제로 세력이 감소하였고, 때죽나무와 팥배나무의 세력은 확대되었다. 천이경향은 대부분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소나무군집은 산벚나무군집으로, 신갈나무군집은 졸참나무군집으로 변화 잠재성이 있었다. 리기다소나무림은 산벚나무군집으로, 아까시나무림은 졸참나무군집으로 변화 가능성은 있으나, 천이의 진행이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sandy loam) 또는 양질사토(loamy sand)였으며, 토양 pH는 4.26~4.86이었고, 평균 4.59이었다. 유기물함량(O.M)은 2.18~9.60%이었고, 평균 4.33%이었다. 청량산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해서는 토양산성화 방지, 자생수종을 선정하여 조림하고, 도시화 영향에 의해 출현하는 수종의 지나친 세력 확대 방지, 하층식생과 호습성 수종 보호, 다층구조의 숲 유도 관리를 제시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방제지역 식생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Managed Area by Oak Wilt Disease in Bukhansan National Park)

  • 한봉호;최진우;염정헌;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2-356
    • /
    • 2014
  •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참나무시들음병 피해지 중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에 대한 식생구조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2006~2011년 벌채 및 훈증 관리된 지역 중 예비답사를 통해 관리년도가 명확하고 조사 및 관리가 용이한 탐방로 인접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대상지는 소귀천계곡, 무수골,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 6개 지역 이었다. 조사구는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18개소 ($20m{\times}20m$)를 설정하였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 아교목층의 상대우점치, 도시화적응종 및 외래종의 상대우점치 등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벌채 후 4년 이상 경과된 소귀천계곡과 무수골에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밀도 및 피도가 모두 크게 증가하였으며 벌채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지역 중 다락원, 원도봉, 도봉계곡, 도선사 등은 벌채 및 훈증 작업시 하층이 훼손되어 대조구에 비해 아교목 및 관목층 밀도가 낮았다. 하지만 원도봉과 도선사는 관목층의 밀도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는데 다수의 유목이 이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교목층의 세력 경쟁 측면에서는 다락원과 원도봉을 제외하고는 신갈나무가 쇠퇴하면서 졸참나무와 팥배나무가 우점하였다. 다락원은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원도봉은 신갈나무가 지속적으로 우점하였다. 외래종은 일본목련, 아까시나무 등이 수관층이 개방된 곳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며, 소귀천계곡에서는 덩굴식생인 칡이 생육하였다. 토양환경에서는 전 지역에서 토양의 산성화(pH 4.49)와 더불어 유기물함량(3.23%), 유효인산(1.40mg/kg) 및 치환성양이온 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어 수목생육에는 불량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참나무시들음 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항균미생물 분리 (Antifungal Property of Microorganisms against Korea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이상현;이승규;김재영;이총규;김경희;이용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6-69
    • /
    • 2012
  •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200개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SG 1-9, 1-12와 SG 2-8, 2-10, 2-17 5개의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5개의 균주는 확인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으며, SG 1-9는 Streptomyces cinnamoneus와 98%의 homology가 SG 1-12는 Burkholderia cepacia와 98% homology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G 2-8은 Streptomyces fradiae와 99%의 homology를 SG 2-10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97%를 SG 2-17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99%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위 5개의 균주 중 활성이 가장 강한 SG 2-17의 유기용매추출물과 단백질추출물을 분리하여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유기용매추출물에서 강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3개의 유기용매 중 benzene 추출물이 가장 높은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의 균사성장을 억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