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WL 모델링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EER-based Visual Product Information Modeler (EER기반의 시각적 상품정보 모델링 에디터의 설계와 구현)

  • Tark, Moon-Hee;Kim, Kyung-Hwa;Shim, Jun-H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2 no.3
    • /
    • pp.97-106
    • /
    • 2007
  • A core technology that may realize the Semantic Web is Ontology. The OWL (Web Ontology Language) has been positioned as a standard language. It requires technical expertise to directly represent the domain knowledge in OWL. Based on our experience of analyzing the fundamental relationships of concepts in e-catalog domain, we have developed a visual product information modeler called PROMOD. The modeling editor makes it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the OWL codes for the given product information. We employ an Extended Entity-Relationship for conceptual modeling, enriched with modeling elements specialized for the product domain.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translation schemes from EER model to OWL codes, and how to design and implement the modeling editor. We also provide a scenario to demonstrate the usage of the editor in practice.

  • PDF

Frame Structure Modeling of OWL (OWL의 프레임 구조 모델링)

  • 시대근;오지훈;장영진;전양승;한성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97-99
    • /
    • 2004
  • 현재의 웹 환경에서의 정보는 점점 대량화되고 있으며, 정보에 대한 의미처리가 지원되지 않는 까닭에 많은 양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검색되고 필요한 정보를 찾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고자 XML의 의미태그를 중심으로 한 메타데이터 정보 모델링 등이 출현하였고, 이를 개념 수준의 의미처리로 추상화한 온톨로지(ontology) 기술이 개발되게 되었다. 온톨로지는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명시적인 개념 표현을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컴퓨터가 의미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여러 온톨로지 언어는 기술 논리(Description Logic)의 의미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는 OWL언어로 표준화되고 있다. 그러나, 온톨로지 언어를 사용한 직접적인 온톨로지 구축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 표현의 기초가 되고 OWL의 이론적 기반이 되고 있는 프레임 구조로 개념 모델링 하는 방법을 통해 OWL기반의 온톨로지 구축을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효율적인 OWL 문서의 생성과 편집 방안을 도출한다.

  • PDF

OWL modeling of smart home provisioning system in a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스마트 홈 프로비저닝 시스템 OWL 모델링)

  • Pyo, Hyejin;Jeong, Hoon;Kim, Nanju;Choi, Eui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7
    • /
    • pp.229-237
    • /
    • 2014
  • Today,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a variety of smart phones is increasing with the number of smart phone users were. Advances in mobile networks and devices are spread smart phones. Smart home was increasing the interest. But until now, the study of user-centric services that the service was not implement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ituation of the user, the user-centric service model that provides a smart home provisioning system OWL modeling is proposed.

OWL Modeling using Ontology for Context Aware Recommendation Service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이용 OWL 모델링)

  • Chang, Chang-Bok;Kim, Manj-Jae;Choi, Eui-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1
    • /
    • pp.265-273
    • /
    • 2012
  • It is essential to have Context-aware technology fo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s and the appropriate representation and definition of Context information for context-aware. Ontology is possible to represent knowledge freely and knowledge can be extended by inferring. In addition, design of the ontology model is need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utilization. This paper used context-aware technologies to implement a use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It also proposed the context through OWL modeling for use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and used inference rules and inference engine for context reasoning.

Efficieint Combination of OWL-DL and SWRL for Maintaining Decidability (추론을 위한 OWL-DL과 SWRL의 효율적 결합)

  • Seo, Eun-Seok;Park, Jun-Sang;Park, Young-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372-377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도래와 시맨틱 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기술인 온톨로지와 이를 이용한 추론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추론이 가능한 시맨틱 웹 기반의 모델링과 추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모델링을 위해 사용되는 OWL-DL과 임의의 사용자 규칙을 표현하는 SWRL은 각각 W3C의 표준안으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효율적으로 자동적인 개인화 서비스[1][2]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적합하다. 그러나 OWL-DL과 SWRL의 단순한 결합은 질의응답(Query Answering)에 대한 처리가 비결정 가능한(undecidable) 문제를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결정가능성 문제의 원인인 무한반복의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한 블록(blocking) 방법을 제안한다. OWL-DL이 지닌 서술논리(Description Logic)의 표현력을 유지하고, 그에 따른 추론의 질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블록방법을 사용하여 결정 가능한 질의응답을 수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OWL-DL의 TBox에 위치하는 존재 정량자(Existential Quantifier)를 대체하고 ABox에 삽입하여, 무한반복의 가능성을 없애는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은 비결정가능성 문제를 DL-Safe 규칙을 통해 해결한 KAON2와 비교하여 진행한다.

  • PDF

A Study of Ontology-based Cataloguing System Using OWL (OWL을 이용한 온톨로지 기반의 목록시스템 설계 연구)

  • 이현실;한성국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2
    • /
    • pp.249-267
    • /
    • 2004
  • Although MARC can define the detail cataloguing data, it has complex structures and frameworks to represent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account of these idiosyncratic features of MARC, XML DTD or RDF/S that supports simple hierarchy of conceptual vocabularies cannot capture MARC formalism effectively. This study implements bibliographic ontology by means of abstracting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bibliographic vocabularies of MARC. The bibliographic ontology is formalized with OWL that can represent the logical relations between conceptual elements and specify cardinality and property value restrictions. The bibliographic ontology in this study will provide metadata for cataloguing data and resolve compatibility problems between cataloguing systems. And it can also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bibli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semantic Web services.

Using Description Logic and Rule Language for Web Ontology Modeling (서술논리와 규칙언어를 이용한 웹 온톨로지 모델링)

  • Kim, Su-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7-285
    • /
    • 2007
  • 본 연구는 시맨틱웹 응용의 중심 기술인 웹 온톨로지의 표현과 추론을 위해 서술 논리와 규칙언어를 기반으로하는 웹 온톨로지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웹 온톨로지 표현 언어인 OWL DL은 서술 논리에 근거하여 표현되는 것이나, 기계나 온톨로지 공학자가 OWL로 기술된 온톨로지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는 형식적이고 명시적인 온톨로지의 지식 표현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맨틱웹이 목적하는 웹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웹 온톨로지 모델링 방법으로 웹 온톨로지 모델링 계층을 제안하고, 제안된 각 계층에 따라 서술 논리의 TBox와 ABox의 구조와 SWRL을 기반으로 지식을 표현하는 웹 온톨로지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웹 온톨로지 모델링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 제안 방법에 따라 웹 온톨로지를 구축하였고, SPARQL과 TopBraid의 DL Inference를 이용하여 구축된 웹 온톨로지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Smart home search system OWL modeling in a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스마트 홈 검색 시스템 OWL 모델링)

  • Jeong, Hoon;Pyo, Hyejin;Kim, Nanju;Choi, Eui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298-300
    • /
    • 2014
  • 오늘날 스마트폰의 다양성과 성능의 발전은 스마트폰 사용자 수를 급증하게 하였으며, 모바일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었으며, 스마트 홈 에 대한 관심이 증가를 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구현해주는 서비스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스마트 홈 검색 시스템 OWL 모델링을 제안한다.

Design of a Modeling Editor for Product Ontology (상품 온톨로지 모델링 도구의 설계)

  • Tark, Moon-Hee;Kim, Kyung-Hwa;Shim,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25-27
    • /
    • 2005
  • 시맨틱웹의 목적은 메타데이터의 개념을 적용하여 웹문서에 시맨틱 정보를 덧붙여, 웹에 있는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기술로 웹 온톨로지 언어 (OWL : Ontology Web Language)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온톨로지 언어가 표현하는 객체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는 복잡한 논리들로 얽혀 있어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온톨로지 개발이 쉽지 않다. 본 논문은 개념 모델링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잘 알려진 EER 모델링만으로 복잡한 논리적 구조로 인해 작성하기 어려운 OWL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편집 도구를 설계한다. 특히 전자 카탈로그 도메인에 특화하여 자주 요구되는 특수한 개념들에 대한 모델링 요소를 추가하여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온톨로지 개발자들의 시간과 어려움을 크게 감소시킬 것이며, 상품온톨로지 제작에 특히 유용할 것이다.

  • PDF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OWL Modeling (OWL 모델링을 이용한 개인 추천 서비스)

  • Ahn, Hyo-Sik;Jeong, Hoon;Chang, Hyo-Kyung;Choi, Eui-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309-315
    • /
    • 2012
  • The dissemination of smartphones is being spread and supplementary services using smartphones are increasing and various as the Mobile network and device are developing rapidly, so smartphones that enables to provide a wide range of services is expected to receive the most attention. It makes users listen to music anytime, anywhere in real-time, use useful applications, and access to Internet to search for information. The service environment is changing on PC into Mobile due to the change of the circumstance mentioned above. these services are done by using just location information rather than other context, and users have to search services and use them. It is essential to have Context-aware technology fo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s and the appropriate representation and definition of Context information for context-aware. Ontology is possible to represent knowledge freely and knowledge can be extended by inferring. In addition, design of the ontology model is need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utilization. This paper used context-aware technologies to implement a use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It also defined the context through OWL modeling for user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service and used inference rules and inference engine for context reas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