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T Servic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7초

Antecedents Affecting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f OTT

  • Yujin Kim;Hyung-Seok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61-175
    • /
    • 2024
  • 본 연구는 OTT 개인화된 추천서비스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OTT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특성을 정확성, 다양성, 신기성으로 하였고, 성격 5요인 모형인 친화성, 정서적 불안정성, 성실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활용하였다. 또한 지각된 투명성을 추출하여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개인정보 제공 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비스 혜택과 개인정보 제공 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있어 조절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인화 추천시스템 특성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격 5요인 중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투명성 역시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염려와 서비스 혜택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서비스 혜택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OTT 기업들이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OTT 서비스 선택요인에 대한 계층분석과정의 적용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the Selection Factors of OTT Service)

  • 현호석;이형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95-198
    • /
    • 2022
  • 본 연구는 OTT 서비스에 대한 선택요인들을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각 평가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먼저 OTT 서비스의 1단계 선택요인에서는 다양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단계별 가중치를 종합화한 결과에서는 오락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OTT 서비스를 이용할 때 어떤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OTT 서비스 플랫폼 특성이 심리적 혜택 및 OTT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 형태 중심으로- (The Effect of OTT Service Platform Characteristics on Psychological Benefits and OTT Brand Loyalty -Focusing on the Family Type-)

  • 신종국;김재훈;이승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75-1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OTT 서비스 플랫폼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플랫폼의 특성과 심리적 혜택과 충성도에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가족의 형태가 플랫폼의 특성과 심리적 혜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255건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이 중 불성실하거나 내부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49건을 제외한 206건을 SPSS 18과 AMOS 21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OTT 플랫폼의 특징의 요인인 편의성, AI 추천서비스 그리고 콘텐츠의 모든 요인이 심리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혜택은 브랜드 충성도에는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변수인 가족의 형태에 따른 OTT 플랫폼의 특징과 가족의 형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형태에 따른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기, 지역 그리고 요인을 추가하여 다룬 연구를 기대한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코로나 19 전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리뷰 비교분석 연구 - 정서 중심 대처와 노스탤지어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OTT Service Reviews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the Pandemic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Emotion-Focused Coping and Nostalgia)

  • 고민정;이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75-3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전후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자들의 리뷰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코로나 19 시대를 살아가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통제감 상실이 회피 동기의 발현으로 이어져 정서 중심 대처 수단으로써의 OTT 서비스 이용과 노스탤지어를 해소해주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를 텍스트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먼저 블로그 제목 분석결과, 코로나 19 이후 넷플릭스 경쟁사에 대한 언급이 줄었으며, 국내 콘텐츠에 대한 소개와 회피-거부 전략으로써의 OTT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였다. 이어 블로그 본문 분석결과, OTT 서비스의 실용적인 장점을 중요시한 코로나 19 전과는 달리 코로나 19 이후 콘텐츠의 분위기, 감정, 대사에 초점을 두었으며 코미디와 로맨스 장르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또한, 코로나 19 이전의 현실을 잘 표현한 일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살펴본 연구로써 코로나 시대의 OTT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OTT 서비스 시장에 실무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TT 앱 리뷰 분석을 통한 서비스 개선 기회 발굴 방안 연구 (Exploring Service Improvement Opportunities through Analysis of OTT App Reviews)

  • 이중민;송지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445-456
    • /
    • 2024
  • This study aims to suggest service improvement opportunities by analyzing user review data of the top three OTT service apps(Netflix, Coupang Play, and TVING) on Google Play Store.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proposed a framework for uncovering service opportun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negative user reviews from OTT service providers. The framework involves automating the labeling of identified topics and generating service improvement opportunities using topic modeling and prompt engineering, leveraging GPT-4, a generative AI model. Consequently, we pinpointed five dissatisfaction topics for Netflix and TVING, and nine for Coupang Play. Common issues include "video playback errors", "app installation and update errors", "subscription and payment" problems, and concerns regarding "content quality". The commonly identified service enhancement opportunities include "enhancing and diversifying content quality". "optimizing video quality and data usage", "ensuring compatibility with external devices", and "streamlining payment and cancellation processes". In contrast to prior research,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research framework leveraging generative AI to label topics and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derived topics. This is noteworthy as it identifies actionable service opportunities aimed at enhancing service competitiveness and satisfaction, instead of merely outlining topics.

텍스트 마이닝으로 OTT 인터랙티브 콘텐츠 다시보기 (Analyzing OTT Interactive Content Using Text Mining Method)

  • 이석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59-865
    • /
    • 2023
  • OTT 시장의 과열로 서비스 사업자들이 콘텐츠 개발에 주력하는 상황에서 시청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인터랙티브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그에 따라 인터랙티브 콘텐츠에 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의 비정형 데이터를 중심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인터랙티브 콘텐츠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가중치에 따른 키워드 특징 도출, OTT와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관계, 그리고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트렌드 변화를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워드클라우드', '관계도 분석', 그리고 '키워드 트렌드'라는 세부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 및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OTT 서비스의 유형과 주요국의 규제 정책에 대한 고찰 (Rethinking OTT regulation based on the global OTT market trends and regulation cases)

  • 김수원;김대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43-156
    • /
    • 2019
  • 국내외 미디어 시장에서 OTT의 파급력이 막대해짐에 따라 OTT에 대한 규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OTT와 방송의 유사성에 입각한 공정경쟁 환경 조성의 필요성, 사회문화적 영향력의 규율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근거로서 해외의 규제 도입 및 논의 사례가 활용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TT의 다양한 유형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 동향을 분석하고, 해외 정책규제 사례의 국내 적용 타당성을 고찰했다. 사업자 성격, 사업모형, 콘텐츠 형식, 전달 방식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6개 OTT 유형(집적, 중개, 중개-집적, 멀티스크린, 아울렛, 아울렛-실시간)을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해외 서비스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OTT 서비스의 형태는 현재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으며, 콘텐츠 차별화를 중심으로 한 경쟁이 격화되고 있었다. 동태적 혁신이 계속되고 있는 OTT 시장에 섣부른 경쟁규제를 도입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OTT 규제 논의의 배경 논거로 자주 활용되는 미국, 유럽연합, 영국 및 일본의 사례를 확인한 결과, OTT에 방송으로서 규제를 적용하는 사례로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해외 사례는 자국 내 미디어 산업의 경쟁을 활성화하고 콘텐츠 생태계의 건전성을 높이는 데 초점이 있었다. 따라서 OTT 규제 논의는 규제의 강화가 아니라 기존 방송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또한 국내 사업자의 규제 포섭이 아니라 글로벌 사업자에 대한 실효적 관할권 확보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TT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사용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Intention to Use of OTT Service Users: Focused on the Extens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민규;김원제;송민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37-546
    • /
    • 2019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의 확장을 통해 OTT 서비스 이용자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경로분석 등을 통해 주요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혁신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OTT 서비스에 대한 인지된 유희성은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OTT 서비스의 기술수용모델 확장과 OTT 서비스 수용을 이해할 수 있는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MZ 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use of OTT ser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workers in the MZ generation)

  • 조윤준;이상수;김상윤;조현지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23
  • 본 연구는 MZ 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미디어패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OTT 서비스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지만 이러한 변화가 MZ 세대의 삶에 대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MZ 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따라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를 알아보고, 사용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MZ 세대의 성별, 연령대에 따라 사용빈도가 달라졌고, 사용빈도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콘텐츠의 이용행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처음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를 가진다. 향후 사용빈도뿐만 아니라 OTT 콘텐츠의 종류, OTT 서비스의 사용 시간대 등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OTT 서비스를 위한 계층적 부호화 기반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시스템 (Hierarchically Encoded Multimedia-data Management System for Over The Top Service)

  • 이태훈;정기동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6호
    • /
    • pp.723-733
    • /
    • 2015
  • 여러 종류의 해상도를 가지는 단말들에 대해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제공하는 OTT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각 단말들은 3G, LTE, VDSL, ADSL등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통신을 하고 있다. 다양한 해상도의 단말들과 다양한 속도의 네트워크망의 이용자들에 맞춰서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압축방식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스케일러블 부호화 방식은 시간적/공간적 계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 때 계층적 B 화면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부호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OTT 서비스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파일 배치 기법과 MLP 인기도 관리 정책, WFF 버퍼 캐시 관리 정책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zipf 분포를 이용한 접근 트레이스를 생성하고, 기존 시스템과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