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2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Characterization of Choristoneura fumiferana Genes of the Sixth Subunit of the Origin Recognition Complex: CfORC6

  • Wang, Xaiochun;Carstens, Eric B.;Feng, Qili
    • BMB Reports
    • /
    • 제39권6호
    • /
    • pp.782-787
    • /
    • 2006
  • A new protein was cloned and identified as the sixth subunit of Choristoneura fumiferana origin recognition complex (CfORC6). The newly identified 43 kDa protein CfORC6 is much bigger than DmORC6 (25.7 kDa) and HsORC6 (28.1 kDa), though it's 23.85% identical to DmORC6 and 23.81% identical to HsORC6. Although the molecular weight of CfORC6 is close to ScORc6 (50 kDa), CfORC6 is only 14.03% identical to ScORC6. By alignment, it was found that the N-terminal of CfORC6 has about 30% identities with other ORC6s, but about 100aa of C-terminal of CfORC6 has no identity with other ORC6s. Like ScORC6, CfORC6 has many potential phosphorylation sites, (S/T)PXK. Like DmORC6, CfORC6 has leucine-rich region in the relevant site. Northern Blot showed that CfORC6 mRNA is about 2,000nt. Southern Blot confirmed that there is one copy of CfORC6 gene in spruce budworm genome. Western blot showed that infection of Cf124T cells with CfMNPV didn't affect the expression levels of CfORC6, at least up to 26 hr post infection.

지하수 오염 정화에서 ORC(Oxygen Release Compound)의 적용성 연구

  • 배광옥;임인규;차장환;정형재;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63-267
    • /
    • 2003
  • 물만 주입한 1군과 물-토양을 주입한 2군, 물-ORC를 주입한 3군, 물-토양-ORC를 전부 주입한 4군의 4개군으로 조건을 차별화하여 2$0^{\circ}C$ 항온 OER시험을 실시하였다. 1군은 약4mg/L, 2군은 3mg/L, 3군은 12~13mg/L, 4군은 11~12mg/L의 DO를 나타내었다. ORC를 투여하지 않은 1군과 2군은 2$0^{\circ}C$ 용존산소 포화선인 Bmg/L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C를 투여한 3군과 4군은 포화선보다 3~4mg/L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토양을 주입한 2군과 4군에서는 토양 미생물의 영향을 받아 DO가 감소하나 ORC를 투입한 4군에서는 그 영향이 미미하게 나타난다. TCE 분해능 시험은 15$^{\circ}C$에서 항온으로 30일간 시험하였다. 초기 농도 5000ppb가 30일 경과 후 약 4000ppb로 약20%의 분해율을 나타내었고, 메탄을 첨가했을 때 더 잘 분해됨을 보여주었다.

  • PDF

개에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Vitamin E의 효과 (Efficacies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and Vitamin E in Prevention Against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in Dogs)

  • 김정은;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8-703
    • /
    • 2010
  • 개에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CMC),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 vitamin E의 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견은 대조군, SCMC 처치군, ORC 처치군, SCMC와 vitamin E 처치군, ORC와 vitamin E 처치군의 5개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5두씩 배치하였다. 정중개복 후 회장 장막에 6 cm 간격으로 5곳에 찰과상을 입혀 유착을 유발했다.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간막(37.6%), 장막-장막(24%), 장막-대망막(8.8%), 장막-복막(3.2%) 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SCMC와 vitamin E 처치군이 56%로 대조군 92%, SCMC 처치군 84%, ORC 처치군 64%, ORC와 vitamin E 처치군 68%에 비해 낮았다. 유착형성 점수는 SCMC와 vitamin E 처치군에서 다른 처치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 < 0.01). 따라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있어 SCMC와 vitamin E의 병용이 개에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해수 온도차를 이용한 선박의 ORC 발전 시스템 최적화 (A Optimization of the ORC for Ship's Power Generation System)

  • 오철;송영욱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5호
    • /
    • pp.595-60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CO_2$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방안으로 유기랭킨사이클 발전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냉각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는 ORC 발전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다양한 친환경 유기냉매를 이용하여 냉매를 적용하여 온도와 유량변화에 따른 열 해석을 실시하였고 냉각수 열원 예열기, 배기가스 가열기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2,400kW급의 발전 출력을 얻을 수 있었다.

가스엔진용 유기랭킨사이클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Bottoming Organic Rankine Cycle System for an Natural Gas Engine)

  • 이민석;백승동;성태홍;김현동;채정민;조영아;김형태;김경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5-72
    • /
    • 2016
  • 천연가스용으로 개조된 가스엔진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활용하기 위한 유기 랭킨사이클 (Organic Rankine Cycle: ORC) 발전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개조된 가스엔진의 폐열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한 ORC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ORC 시스템에는 2개의 판형 열교환기와 5kW급 팽창기, 다단 펌프가 사용되었으며, 전기 히터를 이용하여 ORC 시스템의 열역학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로 가스엔진과 연동하여 작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ORC 시스템에 열량을 공급해주는 2대의 가스엔진을 사용하였다. 열원모사실험 결과, 열원온도 $110^{\circ}C$에서 축동력 5.22kW가 발생, 압력비 7.41, 열효율 9.09%가 계산되어졌으며, 엔진연동실험에서는 고온수 온도 $86^{\circ}C$에서 축동력 2kW가 발생, 이 때의 압력비는 3.75, 열효율 6.45%가 계산되었다.

ORC-OQ2PSK 변조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간 상호 간섭의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Inter-Device Interference in the ORC-OQ2PSK Bas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 전상엽;김명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3-10
    • /
    • 2016
  • 동일한 공간에서 다수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PAN)가 작동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 기기 간 간섭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용하는 변조 방식에 따라 인접한 주파수 채널의 간섭 신호가 주는 영향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스펙트럼의 부엽이 큰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더라도 간섭으로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간섭원의 공간상 거리에 따라 심각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ORC-$OQ^2PSK$ 변조 기반의 WPAN에서 인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기기로부터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존 GFSK 기반의 WPAN과 비교하여 ORC-$OQ^2PSK$ 변조 기반의 WPAN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LNG 냉열을 이용하는 유기랭킨사이클(ORC)의 열역학적 성능 특성 (Thermodyna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Organic Rankine Cycle (ORC) using LNG Cold Energy)

  • 김경훈;하종만;김경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4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유기랭킨사이클과 LNG 사이클로 구성된 복합사이클의 열역학적 성능 해석을 수행한다. 이 복합사이클에서는 현열 형태의 저등급 폐열을 사용하며 LNG 냉열은 열싱크 뿐 아니라 동력 생산에도 사용된다. 시스템의 성능에 대한 터빈입구압력, 응축온도, 열원온도 등 주 파라미터들의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이 복합시스템은 LNG 냉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의 ORC에 비해 현저하게 성능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위험신생아의 생후 초기 구강 내 균집락 형성과 당농도 및 영향요인 (Flora Colonization and Oral Glucose Levels During the Early Postnatal Period in High-Risk Newborns)

  • 안영미;손민;전용훈;김남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79-389
    • /
    • 2016
  • Purpose: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lora colonization and oral glucose high-risk newborns during the first 7 days after birth. Methods: Oral secretions of hospitalized newborns were obtained for microbial cultures and glucose test at days 1-7 after birth. Results: Among the total 112 newborns, 40% were girls and 73% were premature. Mean gestational age was $34.4{\pm}3.2$ weeks and weight was $2,266{\pm}697.5$ grams. The most common flora included Streptococcus (28.2%),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10.9%), Staphylococcus (6.0%) an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CNS, 4.0%). The average oral glucose level was $29.2{\pm}23.0mg/dL{\sim}58.2{\pm}39.5mg/dL$. Newborns with higher oral glucose than serum (crude odds ratio [ORc] =1.7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2.97), phototherapy (ORc=3.30; 95% CI=2.29-4.76) and prone position (ORc= 2.04; 95% CI=1.13-3.69) were more likely to be colonized. Having oral tubes (ORc=0.42; 95% CI=0.29-0.59), parental nutrition (ORc=0.21; 95% CI=0.13-0.32) and antibiotics (ORc=0.51; 95% CI=0.36-0.73) had protective effects. For oral glucose statistical significances existed on time effect among newborns with Streptococcus (F=9.78, p=.024), MRSA (F=7.60, p=.037) or CNS (F=11.15, p=.019) and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colonization among newborns with all of four flora (F=2.73, p=.029) or colonization with only Staphylococcus (F=2.91, p=.034). Conclusion: High-risk newborns develop flora colonization at an early period of life. Their clinical features were associated with types and time of oral flora colonization. They need close monitoring and multifaceted intervention to improve oral environment and infection control.

Evidence of DNA Replication Licensing and Paternal DNA Degradation by MCM7 and ORC2 in the Mouse One-cell Embryo

  • Kim, Chang Jin;Kim, Tae Hoon;Lee, Eun-Woo;Lee, Kyung-B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2-379
    • /
    • 201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est whether paternal DNA that was destined for degradation was properly licensed by testing for the presence of mini-chromosome maintenance protein (MCM) 7 and origin recognition complex (ORC) 2 in the paternal pronuclei. ORC2 is one of the first licensing protein to come on and MCM7 is one of the last licensing protein to come on. Zygotes were prepared by injection of control and treated sperm injection (ICSI). To control for DNA breakage, epididymal spermatozoa were treated with DNase I to fragment the DNA, then injected into oocytes. The presence of MCM7 and ORC2 in the pronuclei of mouse zygotes was tested by immunohistochemistry, just before the onset of DNA synthesis, at 5 h after fertilization, and after DNA synthesis began, at 9 h post fertilization. We found that in all cases, both MCM7 and ORC2 were present in both pronuclei at 5 h after sperm injection, just before DNA synthesis began. This indicates that no matter how extensive the DNA damage, recruitment of licensing proteins to the origins of replication was not inhibited. Sperm DNA fragmentation does not prevent licensing of DNA replication origins. Furthermore, the embryo recognizes DNA that is damaged by nucleases. Our data indicate that the one-cell embryo does harbor a mechanism to prevent the replication of severely damaged DNA from spermatozoa, even though the embryos do not undergo classical apoptosis.

선박의 해수 온도차를 이용한 ORC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ip's ORC Power System using Seawater Temperature Difference)

  • 오철;송영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9-35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CO_2$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선박에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재활용하여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조사하고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ORC(Organic Rankine Cycle) 발전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하였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하는 유기냉매 랭킨사이클을 구성하는 방안과 열에너지 비중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해수냉각 시스템으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재활용하여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는 ORC 발전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스템 해석 결과 배기가스에서는 1,000kW급, 해수 냉각 시스템에서는 650kW급 발전 출력을 얻을 수 있었고, 다양한 친환경 유기냉매를 이용하여 온도와 유량 조건에 따른 열 해석을 실시하여 시스템의 효율과 출력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