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WAY ANOVA

검색결과 4,176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활 특성이 대학 신입생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ge Life Characteristics on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among Freshmen)

  • 박미정;최지혜;이은영;박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46-35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우울, 불안 및 신체증상에 대한 확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활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H대학에 진학 중인 300명의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수가능범위 1~5점 중 우울 2.33점, 불안 1.94점, 신체건강 1.63점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일수록, 지각된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 불안, 그리고 신체증상 점수가 높았다. 둘째, 대학생활 특성은 우울을 46.1%, 불안을 26.3% 설명하고 있었으며, 대학생활 특성과 우울 및 불안은 신체건강을 35.8% 설명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 신입생들의 정신 및 신체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뿐만 아니라, 우울, 불안, 신체증상으로 인한 건강문제 발생을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규현;권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20-828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는 D광역시의 중학생 6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사회적지지, 우울 및 자살생각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하였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5점 만점에 1.2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 학업성적, 가족형태, 학교폭력 경험 유무, 경제상태에서 유의한 자살생각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및 우울과 정적, 사회적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문제, 우울, 사회적지지, 일상생활 스트레스, 학교폭력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중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삶의 문제,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학교폭력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지지를 증진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서해안 인접공항의 저고도 항공기상 정확도 연구 (A Study on Accuracy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Low Altitude Aerospace around the Airport on the West Coast)

  • 조영진;유광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3-62
    • /
    • 2020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aircraft operating at low altitude. At firs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rucial elements of weather information closely related to flight safety during low altitude flight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ilots of low altitude aircraft, divided into pre-flight and in-flight phases, and reached an opinion that wind direction, wind speed, cloud coverage and ceiling and visibility are important items. Related to these items, we compared and calculated the accuracy of TAFs and METARs from Taean Airfield, Seosan Airport and Gunsan Airport because of their high number of domestic low-altitude flights. Accuracy analysis evaluated the accuracy of two numerical variables, Mean Absolute Error(MAE) and Root Mean Square Error(RMSE), and the cloud coverage which is categorical variabl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by accuracy. For numeric variables, one-way ANOVA, which is a parameter-test, was approach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actual forecast values and observations based on absolute errors for each item derived from the results of MAE and RMSE accuracy analyses.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both normality assumptions and equivalence variability assumptions, the Shapiro-Wilk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at they do not have a normality distribution for numerical variables, and for the non-parametric test, Kruscal-Wallis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are satisfied.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와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Fatigu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서영미;최원희;함종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700-5707
    • /
    • 2014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정도와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117명의 제 2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13년 5월1일에서 6월 30일까지 J시에 위치한 일대학병원에서 면대면 설문지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피로는 2.80점이었다.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우울, 나이, 질병이환기간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는 피로에 대해 40%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건강전문가들은 제 2형 당뇨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피로감소 간호중재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간호중재의 보다 나은 효과를 위하여 나이, 질병이환기간을 고려하고 대상자의 우울 감소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결핵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in Tuberculosis Patients)

  • 조을연;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50-3957
    • /
    • 2013
  • 본 연구는 결핵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2년 9월 17일부터 10월 17일까지 C시의 M병원 외래로 방문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결핵환자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간호수행, 건강신념(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및 가족지지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가가호수행은 5점 만점에 3.7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성별, 결혼상태, 동거가족, 월평균 수입, 흡연 상태, 음주 상태, 결핵약 복용 기간에서 유의한 자가간호수행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수행은 유익성, 장애성, 가족지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가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 장애성, 월평균 수입, 흡연상태, 유익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결핵환자의 자가간호수행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레진코팅된 상아질 표면과 레진인레이간 결합에 임시가봉재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ARY FILLING MATERIALS ON THE ADHESION BETWEEN DENTIN ADHESIVE-COATED SURFACE AND RESIN INLAY)

  • 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53-55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코팅된 표면과 레진인레이 사이의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를 이용한 결합 시 임시가봉제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aviton(GC, Tokyo, Japan),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 petrolatum, and Eugenol-based cement, Tembond(Kerr, Orange. CA, USA) 이 임시가봉재로 사용되었다. Tescera(Bisco, Schamburg IL, USA) 로 제작하였고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인 Rely X unicem (3M, St. Paul. Minn, USA) 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후 미세인 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one-way anova 와 Duncan 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Caviton 군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Provifil, Provifil & petrolatum, Tembond 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방문판매 화장품 뷰티카운셀러들의 교육경로와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Channels of Training for Beauty Counsellors in Charge of Door-to-Door Cosmetics Sales)

  • 황혜주;임진숙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69-280
    • /
    • 2007
  • 본 연구는 방문판매를 담당하는 뷰티카운셀러들을 대상으로 직업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사고를 파악하고, 뷰티카운셀러들의 제품에 대한 실무 교육 경로와 실태, 매출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경쟁력 있는 뷰티카운셀러를 만들어 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화장품 카운슬러들의 근무현황과 카운슬러의 교육경로 및 실태, 카운슬러 실무에 관한 교육내용, 그리고 카운슬러의 교육방법 및 필요성에 대한 카운슬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화장품 판매를 위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뷰티카운셀러가 필요한 것 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임상간호사의 간호생산성 영향요인: 감성지능과 소진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ductivity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 조회경;최윤정;전미경;정계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07-316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소진, 간호생산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간호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조직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55명을 편의표집 하여 2013년 11월 12일부터 12월 2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one 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소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감성지능과 간호생산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성지능, 총 임상경력, 소진, 직위가 간호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생산성 변이의 43.4%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소진을 낮추고 간호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경력자 관리에 대한 간호조직의 효율적 운영과 전략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임상간호사의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 정은;정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46-255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공감만족, 공감피로, 소진, 긍정심리자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상실무현장에서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은 공감만족(r=.662, p<.010), 소진(r=-.387, p<.010)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만족, 소진, 직위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5.5%였다(F=30.88,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만족을 증진시키고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릎관절 정적 스트레칭 빈도에 따른 등속성 근력의 급성 효과 (Acute Effect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Related to the Static Stretching of Knee Joint)

  • 임승건;김창국;이윤섭;한진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47
    • /
    • 2008
  • 본 연구는 정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등속성 기구를 이용하여 무릎관절 신근 정적 스트레칭 빈도에 따른 등속성 변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스트레칭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45명의 대상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3 Group 으로 각각 15명씩 나뉘었고, 우세측 다리의 무릎관절 신근 스트레칭으로 이루어진 4가지 정적 스트레칭 운동을 순서대로 각각 2회, 4회, 6회 실시하였다. 스트레칭이 끝나면 등속성 근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paired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정(Duncan)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스트레칭이 급성 등속성 근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칭 빈도에 따른 근력 변화에 있어선 4회 스트레칭 집단에서 보다 효과적인 근력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강한 근력을 필요로 하는 경기에 있어서 근육의 능력을 상실하지 않는 적절한 스트레칭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