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HIP-14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에서 구취인식도의 관련요인 분석 (Self-Reported Halitosis and the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 이미라;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2-150
    • /
    • 2013
  • 본 연구는 구취인식도와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2010년 1월 7일부터 3월 14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이상에서 65세 미만의 성인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취인식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 등의 요인에 따라 구취인식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취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고, 보철치아가 있으며, 치주질환과 구강건조 증상을 인식한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더 많았다(p<0.05). 3. 건강행동 및 식습관과 구취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하루 중 칫솔질 횟수가 2회 이하이고 간식 후 칫솔질을 시행하지 않으며 단 음식을 자주 섭취하는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더 많았다(p<0.05). 4. OHIP-14와 구취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삶의 질이 낮으며, 불편이나 통증 및 각종 능력저하를 많이 경험한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더 많았다(p<0.05). 또한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낮은 집단에서 구취를 인식한 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취인식도는 치주질환과 구강건조증상, 구강위생관리행동 및 삶의 질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주질환 및 구강건조를 예방하고 구강위생관리행동의 강화는 구취를 예방하고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완성 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 박정현;엄상화;권현숙;조갑숙;허승주;이소영;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717-727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estimate the level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factors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Methods :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09 to March 2010 with 126 patients confirmed successful dental implants in Busan.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were estimated with OHIP-14 and 8 oral health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ver 9.1) program. Results : The score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as $12.25{\pm}7.82$. The scores of subscale of the oral health quality of life were $1.24{\pm}1.35$ in social disability, $1.60{\pm}1.37$ in handicap, $1.60{\pm}1.44$ in psychological disability, $1.70{\pm}1.38$ in functional limitation, $1.81{\pm}1.35$ in physical disability, $2.14{\pm}1.46$ in physical pain, $2.17{\pm}1.46$ in psychological discomfort, respectively. The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ere absence of other type prosthesis and experience of tooth brushing education.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as relatively good condition. Social supports and chances for high quality denture and tooth brushing educations are needed to improv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ental implants.

일부 한국 노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평가를 위한 핵심 음식 선택 (Key Food Selection for Assessement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Korean Elderly)

  • 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61-369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건강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음식 문항을 선택하기 위해 대전 동구보건소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에 참가한 50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Kim 등에 의한 저작능력평가 한국음식 30종류 문항 중에서 한국 음식 섭취 빈도, 내적 일치도, 상관분석, 의사결정나무, 주성분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서 13개의 문항으로 축약하였으며 원문항과 핵심 문항을 성별, 연령대, 치아수, OHIP-14에 따른 분석을 시행한 결과 원문항과 핵심 문항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구강건강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13개의 핵심 문항은 단단한 음식군으로 단감, 땅콩, 깍두기, 캐러멜 4문항, 중강도 음식군으로 삼겹살, 찹쌀떡, 배추김치, 사과, 참외, 삶은 닭으로 6문항, 연한 음식군으로 생선조림, 귤, 국수 3문항이 선정되었으며, 본 문항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설문조사와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방공무원의 업무요인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firefighters' job characteristics)

  • 황세현;김성애;이지영;고효진;박정현;엄상화;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33-342
    • /
    • 2015
  • Objectives: The $1.8{\pm}1.5$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work factors of firefighters in Korea.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70 firefighters in Changwon, Gimhae, and Ulsan from June 27 to July 24, 2011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6 questions of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14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IP-14).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version 9.2) program. Results: The score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s was $10.1{\pm}8.0$. The scores of subscale of the oral health quality of life were $2.4{\pm}1.5$ in physical pain, $1.8{\pm}1.5$ in psychological discomfort, $1.5{\pm}1.5$ in physical disability, $1.4{\pm}1.5$ in functional limitation, $1.3{\pm}1.4$ psychological disability, $0.9{\pm}1.3$ in handicap, and $0.7{\pm}1.3$ in social disability. The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s were rank(p=0.016) and the frequency of daily mobilization(p=0.029). Conclusions: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s was relatively in good condition. For the bette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continu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ose who have irregular job characteristics and job intensity.

치매환자의 구강관리가 삼킴기능과 구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Health Care on Swallowing Function and Swallowing-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ementia)

  • 배성환;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49-459
    • /
    • 2019
  • 본 연구는 장기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실태를 평가하고 이것이 삼킴 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광주, 전남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에 입소한 치매환자 60명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삼킴곤란 임상척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첫째, 장기요양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의 구강관리가 삼킴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구강관리 점수에 따라 삼킴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p<.01). 둘째, 치매환자의 구강관리, 삼킴기능과 구강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치매환자의 구강관리는 삼킴기능(r=.405, p<.01),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r=.462, p<.01) 그리고 삼킴기능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r=.351, p<.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기 요양시설 이용자의 구강관리는 삼킴 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매우 밀접한 관련을 나타내었다.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요구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to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elderly over 65 years)

  • 박정란;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61-971
    • /
    • 2011
  •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prevention? for over 65 years elderly. Methods : 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among elderly over 65 years. 200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ed in KungBuk and KungNam areas, visited Senior welfare center, from 1st September to 30st December 2008. Results : 1. This majority of respondents are female(74.0%), 75-79 years(29.5%), none education(42.5%), living alone(45.5%), income from children(46.0%), and health insurance(65.5%). 2. In the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category, the need of dental treatment are professional toothbrushing, gum treatment, treatment for dental caries, treatment for xerostomia. In the need of prevention and education, the majority participants are 'required'.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 category, the majority participants are 'feel no difficulty during speaking(59.0%)', and 'feel no difficulty during tasting(47.0%)'. In the category, the positive answers are more than negative answers. 3.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with the need of oral health management, famle, obviously income, high level of lif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eed of prevention and education category. Obviously income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eed of dental treatment categor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with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getting older, high educ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disadvantage category. In the case of no spouse, anxiety, physical difficulty, mental difficulty and disadvantage are high score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the case of living alone, pain, anxiety, and disadvantage are high score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the case of no income, limitation of function, pain, anxiety, mental difficulty and disadvantage are high score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the case of no health insurance, anxiety, physical difficulty mental difficulty and lack of sociality are high score in oral health impact profile. 4.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ar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eed of dental treatment and the need of prevention education. The effe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spouse, average of income, the need of prevention education.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 need of prevention education and dental treatment for individual oral health promotion are related with general life condition and life level. Also these are influence of quality of life relate with oral health. These findings are require of development of oral health services program and system from bottom to top.

구강보건 지식과 실천이 우식경험치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Effects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on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Index and Quality of Life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이영수;배성윤;지재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3
  •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구강건강의 관점에서도 구강질환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구강질환의 예방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실천 정도, 구강건강상태, 그리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치과,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1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16일부터 한달간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실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치과의사 11명이 치경과 탐침으로 사랑니를 제외한 28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우식경험치아수(DMF index)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구강보건지식은 구강보건실천에, 구강보건실천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식경험치아수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구강보건지식은 우식경험치아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 아니라, 구강보건실천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구강보건실천 수준과 우식경험영구치아수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마련이 절실히 요구됨을 말해주고 있다. 즉 우식경험치아수는 구강보건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변수이므로 단순히 구강건강관련 지식만을 전달하기보다는 태도의 변화와 실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구강질환의 예방과 조기치료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전 동구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치아 수에 따른 행복지수 (The Happiness Index by the Number of Teeth of Senior Citizens Residing in Dong-gu in Daejeon)

  • 궁화수;송은주;황수정;장하람;전다혜;전민정;정수아;김혜진;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661-667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치아 수와 삶의 행복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는 대전광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 대면 조사자 기입식 방법을 통해 2012년 6월 27일부터 7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자료의 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여 t-검정, 분산분석 후 Tukey 사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만족도는 유의하다고 나타났고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연령에서는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의치장착 여부에 따른 저작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치아 수에 따른 저작능력의 차이를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존 치아 수, 현존 치아 전치, 현존 치아 구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아 수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은 현존 치아 수, 현존 치아 전치, 현존 치아 구치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