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H 밀도

검색결과 886건 처리시간 0.031초

산화마그네슘 경화체 기반 흡착재 종류에 따른 밀도 및 흡수율 특성 (Absorption Ratio and Density Properties According to Absorbent Type Based on Magnesium Oxide Matrix)

  • 권오한;편수정;임현웅;경인수;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2-183
    • /
    • 2017
  • This research identifies radon gas absorption mechanism by adsorption materials, replacing gypsum board with radon emissions, the density and absorption rates of magnesium were carried out using vermiculite, anthracite, powdered active carbon, bentonite, illite, diatomite as a basic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type of radon Gas reduction type with absorption and de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diatomite showed the lowest density, and the highestt value was the highest. For the absorption rate, bentonite showed the highest absorption rate, and the anthracite showed the lowest absorption rate.

  • PDF

Trench gate CB-BRT의 최대 제어 가능 전류에 대한 설계 변수들의 영향 (Influence of Design Parameters on Maximum Controllable Current of Trench Gate CB-BRT(Base Resistance Controlled Thyristor))

  • 지인환;오재근;전병철;한민구;최연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53-155
    • /
    • 2002
  • Trench sate CB-BRT:TC-BRT의 최대 제어 가능 전류(Maximum Controllable Current)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최대 제어 가능 전류를 결정하는 중요 설계 변수들로 트렌치 깊이, 핑거 게이트 길이, 메인 게이트 길이, 트렌치 밀도를 고려하였다. TC-BRT의 실험적 결과를 기존의 BRT와 CB-BRT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최대 제어 가능 전류는 트렌치 깊이와 트렌치 밀도가 증가하고 메인 게이트 길이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핑거 게이트 길이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핑거 게이트가 있는 TC-BRT가 없는 것에 비해 최대 제어 가능 전류가 약 15% 높게 나타났다. 트렌치 밀도가 작을 때는 핑거 게이트에 의한 영향이 두드러지고 트렌치 밀도가 높아질수록 트렌치 게이트의 역할이 증가하였다.

  • PDF

홍수 규모별 대청호 유입 하천 밀도류 침강점 변화 (Variation of the Plunging Points of Inflow Density Currents in Daecheong Reservoir with Different Flood Magnitude)

  • 윤성완;정세웅;예령;최정규;오동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73-1377
    • /
    • 2008
  • 강우-유출에 의해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하천수는 저수지 표층에 비해 낮은 수온과 높은 부유물질(SS) 농도를 가지므로 저수지 표층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유지한다. 하천으로부터 유입한 밀도류는 유속에 의한 관성력이 두 수체의 밀도차에 의한 음의 부력보다 큰 구간까지는 저수지 표층을 따라 진행하지만, 두 힘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밀도류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저수지 수면 아래로 침강하며 이 과정에서 수체간의 많은 혼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홍수시 유입한 탁수의 침강점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수질관리를 위한 현장조사, 그리고 탁수거동 해석 및 최적관리대책 마련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홍수시 대청호로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침강위치를 홍수규모별로 경험식과 수치모델을 통해 산정함으로써 두 방법 간의 장 단점을 비교하고, 탁수 현장조사와 최적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유입수의 모의조건은 그 동안 대청호에서 발생한 홍수 크기를 기준으로 9개의 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저수지 성층조건은 여름철 탁수가 유입되기 전의 발달된 성층구조를 적용하였다. 유입수와 저수지 성층구조의 특성치는 밀도 Froude 수($Fr_i$)로 나타냈으며, $Fr_i$ 조건별로 침강점 위치를 저수지 단면을 삼각형태로 가정한 Hebbert et al.(1979) 경험식과 2차원 수치모델로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청호로 유입한 탁수는 홍수규모에 따라 대정리 수역에서 회남수역 사이 구간에서 침강하였으며, $Fr_i$ 값이 클수록 침강점 수심이 깊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경험식으로 산정한 침강점 수심은 정상상태 조건을 가정하므로 홍수에 의한 수위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며, 실제의 불규칙한 하상표고를 일정한 하상경사로 가정하기 때문에 2차원 모델의 결과보다 과대산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홍수가 연속해서 발생하며 수위변화가 심한 국내 저수지 여건에서 하천 유입 밀도류의 거동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2차원 또는 3차원 수치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로 다른 밀도의 유체 내 바이오 물질이 받는 중력과 부력 차를 이용한 연속적 세포 분리기 (A Continuous Cell Separator Based on Gravity and Buoyant Forces in Fluids of Dissimilar Density)

  • 오애경;이동우;조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4호
    • /
    • pp.391-39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밀도의 유체 내 바이오 물질이 받는 중력과 부력 차를 이용한 연속적 세포 분리기를 제안하였다. 종래의 크기별 세포분리는 서로 다른 크기의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세포를 분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세포 분리기는 미소유로 상하부에 밀도가 다른 다층 유체층 내에서 세포가 받는 중력과 부력 차이로 크기는 다르지만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밀도가 다른 유체층(PBS, 밀도=1.0g/ml, Ficoll, 밀도=1.1g/ml) 내에서 전혈로부터 백혈구(직경=$6-10{\mu}m$, 밀도=1.06~1.1g/ml), 적혈구(직경=$4-6{\mu}m$, 밀도=1.09~1.2g/ml)를 밀도에 따라 분리한 효율이 각각 $90.9{\pm}9.1%$$86.4{\pm}1.99%$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세포 분리기는 크기 편차가 있는 동일 밀도의 세포를 크기에 둔감하고 밀도에만 민감한 분리가 가능하다.

간단한 화학적 합성을 통한 고성능 슈퍼캐패시터용 수산화 구리 전극 (Facile Chemical Growth of Cu(OH)2 Thin Film Electrodes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 ;남민식;;전성찬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1권1호
    • /
    • pp.175-1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화학적 합성 방법을 통하여 스테인레스 기판 위에 nano-bud 형태의 수산화 구리 박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합성 방법인 chemical bath deposition을 이용하여 수산화 구리 나노 구조를 간단하고 친환경적으로 형성하였다. 수산화 구리 박막의 구조적 연구는 X-ray diffraction (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다결정의 nano-bud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구조로 합성된 수산화구리 전극의 전기화학적 측정은 1M KOH의 전해질 조건에서 cyclic voltammetry (CV)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GCD)에서 측정되었으며 $340Fg^{-1}$의 높은 비 용량을 보였다. 또한 $1mA\;cm^{-2}$ 의 전력 밀도에서 ${\sim}83Wh\;kg^{-1}$의 높은 에너지 밀도와 ${\sim}3.1kW\;kg^{-1}$의 높은 출력 밀도를 가지며 향상된 전극의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뛰어난 의사 캐패시터의 성능은 수산화 구리의 nano-bud 형상에 의한 효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화학적 합성 방법의 확장을 통하여 수산화 구리 전극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써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aphene-like β-Ni(OH)2 나노판 구조의 합성 및 특성

  • 차성민;;유재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1.2-201.2
    • /
    • 2015
  •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 고효율 에너지와 파워소스에 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자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 중 리튬이온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그리고 연료 전지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자리잡아가고 있는데 이런 다양한 에너지 저장소자 중 슈퍼커패시터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긴 수명, 빠른 충-방전 속도, 높은 에너지 밀도, 그리고 안전함 때문이다. 슈퍼커패시터는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와 슈도커패시터(pseudocapacitor)로 나누어질 수 있다. 슈도커패시터는 active 물질과 전해질 이온 간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EDLC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새로운 형태의 슈도용량성 물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증착 방법을 통해 graphene-like ${\beta}$-nickel hydroxide (${\beta}-Ni(OH)_2$) 나노판 구조를 전도성 직물에 합성하였다. ${\beta}-Ni(OH)_2$ 슈도커패시터의 유연하고 효율적인 비용의 전극으로서 높은 비정전용량, 우수한 전기화학 가역성, 그리고 뛰어난 사이클 안정성을 보였다. 이런 쉬운 방법으로 유연한 전도성 직물에 합성된 metal hydroxide/oxide 나노구조는 웨어러블 에너지 저장소자와 변환소자 분야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밀-하작물 작부체계가 밀 품질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ouble Cropping System on Wheat Quality and Soil Properties)

  • 최지수;오성환;오서영;김태희;김성훈;박현진;차진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335-342
    • /
    • 2023
  • 벼, 콩, 옥수수와 밀을 이모작하여 작부체계가 경질밀인 금강밀과 조경밀의 생육 및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밀 이모작에서 하작물에 의한 밀의 생육기 및 수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경장은 벼와의 작부체계에서 가장 컸으나, 경장이 밀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밀 품질 요소들 중 단백질함량은 콩을 심은 후 재배한 밀에서 가장 컸으며, 품종에 따라 단백질함량의 증감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품종특성으로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적은 조경밀이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많은 금강밀보다 콩과의 작부체계에 의한 단백질 함량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3. 작부체계에 따른 토양 중량수분함량에 차이가 있었으며, 밭 상태로 작부체계를 하는 콩과 옥수수의 경우보다 재배시 물을 가둬야하는 벼를 재배했을 때 공극내 액상비율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토양환경 변화는 밀 품질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4. 토양 화학성에서 인산과 칼슘의 함량이 작부체계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한다고 판단되었으며, 가장 밀 품질을 향상시켰던 콩 재배시 토양 내 인산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므로 토양 인산함량과 밀 품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국내 품종에서 콩과의 이모작이 경질밀로서 우수한 품질의 밀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하작물의 재배가 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생리적 실험 진행에 근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위성 해면고도계 중력자료를 이용한 황해 군산분지의 밀도 불연속면에 대한 연구 (Study on Density Discontinuous Layers of the Kunsan Basin in the Yellow Sea Using Satellite Altimetry Gravity Data)

  • 김경오;오재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6호
    • /
    • pp.751-759
    • /
    • 2007
  • 황해 군산분지의 지하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공위성 해면고도계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파워 스펙트럼 분석(power spectrum analysis) 방법으로 밀도 불연속면의 평균 깊이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군산분지를 포함한 본 연구지역에서는 각각 -1.1km, -3.4km, -9.1km 그리고 -31.0km의 평균 깊이를 가지는 밀도 불연속면이 검출되었다. -1.1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은 본 연구지역의의 탄성파 단면에서 관찰되는 왕복 주시 1초 부근에서 나타나는 광역 부정합면으로 해석되었고, -3.4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 또한 탄성파 단면에서 인지되는 음향기반암 상부면과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9.1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은 본 연구지역의 시추공 자료, 탄성파 단면, 광역 지질 등을 고려하여 화성기원 기반암의 상부면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본 연구지역의 음향 기반암층은 기존의 연구에서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31.0km의 평균 깊이를 가지는 밀도 불연속면은 일반적인 대륙지각의 평균 두께와 유사한 값을 보이므로 모호면으로 해석하였다. 화성기원 기반암 상부면으로 해석된 -9.1km 평균 깊이의 밀도 불연속면의 검출은 군산분지의 석유 가스 부존 가능성에 관한 연구에 있어 기존의 연구보다 심부층(음향 기반암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콩기름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포옴의 합성 (Synthesis of Polyurethane Foam with Soybean Oil)

  • 양도현;이광용;신재섭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731-736
    • /
    • 1999
  • 식물성 천연 유지인 콩기름을 peracetic acid로 에폭시화 시킨 후에 황산 촉매 하에서 메탄올과 반응시켜서 OH-value가 186(mg KOH/g)인 폴리올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폴리올에 계면활성제로는 silicon계 B-8409를, 발포제로는 증류수를, 촉매로는 dimethylcyclohexylamine을, 이소시아네이트로는 polymeric MDI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포옴을 합성하였다. 형성된 포옴의 밀도, 압축강도, 압축탄성률, cell의 구조 등을 조사하였다. MDI의 당량비를 변화시켜 가며 포옴을 형성시켜 보았으며, MDI index를 105로 고정하고, 발포제, 계면활성제, 촉매의 양을 각각 변화시켜 가며 포옴을 형성시켜 보았다. MDI index가 증가할수록 밀도와 압축 물성이 증가하였다.

  • PDF

국내 재래종 밀 계통 분리와 농업형질 특성 평가 (Phylogenetic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Agronomic Traits of Korean Wheat Landrace (Triticum aestivum L.))

  • 이유미;오세진;강성욱;최창현;이종태;조성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9권2호
    • /
    • pp.111-122
    • /
    • 2024
  • 식물유전자원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지속적으로 재배되어 온 재래종에 대한 유전학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남에서 수집한 국내 재래종 밀에 대한 염색체와 이삭형태 관찰, 종자특성과 농업형질 평가, 및 국내 밀 품종과의 연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국내 재래종 밀 4계통의 염색체는 42개로 확인되었으며, 이삭의 형태와 길이는 국내 품종인 금강밀과 차이를 보였다. 국내 재래종 밀 계통의 종실특성은 전반적으로 금강밀의 종실에 비하여 작은 면적, 너비, 및 길이를 보였으나, KWL-3의 배의 길이는 다른 재래종 밀뿐만 아니라 금강밀 종자의 배 길이보다도 길었다. 국내 재래종 밀 계통은 금강밀에 비하여 늦은 출수기와 성숙기를 보였다. 특히, KWL-3는 짧은 간장, KWL-2는 짧은 수장, KWL-1은 적은 분얼수를 보인 반면에 영화수와 일수립수는 금강에 비하여 재래종 밀 모든 계통에서 높았다. 이러한 이유는 금강밀에 비하여 높은 재래종 밀 계통의 임실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재래종 밀 계통의 종실면적, 너비, 길이, 및 두께가 작아 금강밀보다 낮은 천립중을 보였다. 향후, 종실특성의 향상은 재래종 밀 계통에 필수 조건으로 생각하며, 금강밀에 비하여 높은 영화수와 일수립수 및 임실률은 유용한 유전인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