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1.10a
/
pp.154-156
/
2001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최근 네트워크 및 분산환경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 정보시스템은 기존의 패키지, 지역적 클라이언트/서버환경의 기술에서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자리메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컴포넌트 GIS의 기술발전을 위해서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다양한 설계 및 구현 사양과 토픽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GIS 기술개발시장에서는 이러한 사양과 토픽에 맞게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데이터는 크게 기하정보(Geometry)와 위상정보(Topology)로 나뉜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기본석인 질의나 분석에 있어서 기하정보 뿐만 아니라 위상정보도 시스템 전체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위상 정보의 저장, 관리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컴포넌트 GIS에서의 기본 기하 데이터 모델인 OGC Simple Feature Geometry 모델과 위상정보 (Topolygy Information)를 나타내는 위상 데이터 모델의 통합 및 연동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데이터모델을 포함하고 있는, OGC 구현사항에 맞게 설계 및 구현된 전체시스템 아키텍쳐를 살펴 볼 것이다.
Over the past few year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web map services, which enable the GIS user to access spatial data through the web. They, however, have focused on only implementation techniques separately, such as map client implementation, map server implementation, communication between client and server, and the map data representation. Therefore, it is hard to share and practical use the spatial data, because they does not ensure interoperability in heterogeneous map servers.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web map server with open architecture, which complies with the standard interfaces proposed by OpenGIS Consortium (OGC). In particular, we have extended the OGC’s interfaces for a map server to support one or more data sources.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construction and practical use of web map services by newly proposing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a map server, which could be reused regardless of the types of data source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v.8
no.1
s.16
/
pp.27-35
/
2006
As the increasing interest about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researches and applied fields become wide. OGC(Open GIS Consortium) developed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which is adopted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in GIS field. In various applied field, GML is used and studied continuously. This paper try to find out the meaningful rules using Apriori algorithm from GML documents,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which is studied based on existing XML documents There are two ways to find out the rules. One is the way that find out the related rules as extracting the content in GML documents, the other find out the related rules based on used tags and attributes. This paper describes searching the rules through two ways and shows the system adopted two way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2008.05a
/
pp.531-534
/
2008
Recently, by the interest of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field of geographical information diversifying. Variou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built to manage geographical information efficiently. However, because of interoperability betwee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standardized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of th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foundation in which an interoperability writes possible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GML national standard is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fields at present, and the use is confirmed. In this paper, GML 3.2.1 encoding standard specification follows requirements of OGC recommendation, we designed GML document editing system using XML standard technology, and generated interoperability GML data.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2008.06a
/
pp.327-331
/
2008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SWE(Senser Web Enablement)는 오픈 표준 기반 서비스로써 다중 센서의 정보를 취합하여 3차원 가시화 및 분석, 편집에 활용되는 웹시스템의 표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OGC SWE의 WFS(Web Feather Service)와 유사한 오픈 표준 기반 객체정보 웹서비스 시스템을 고안하고, 실제 지하시설물을 대상으로 OGC의 City-GML을 국내 표준인 3DF-GML으로 해체하여 웹서비스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웹서비스는 향후 오픈 표준 기반 3차원 GIS 시스템 구축에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past few year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web map services which enable the GIS user to access spatial data through the web. They, however. have focused on only implementation techniques separately, such at map client implementation map server implementation, communication between client and server, and the map data representation. Therefore, it is hard to share and practical use the spatial data, because they does not ensure interoperability in heterogeneous map servers. In this paper,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web map server with open architecture. which complies with the standard interfaces proposed by OpenGIS Consortium (OGC). In particular, we have extended the OGC's Interfaces for a map server to support one or more data sources.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construction and practical use of web map services by newly proposing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of a map server. which could be reused regardless of the types of data sources.
지난 수십년간 GIS는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엄청난 양의 자료축적을 이루었으며, 이는 공간 데이터 운용 범위의 확장 및 공간 데이터 수집 수단의 기술발전을 촉진시켜왔다. 최근 OGC(OpenGIS Consortium)는 정보의 공유와 운용을 위해 분산 환경에서 공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사양들을 개발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GC가 제공하는 개방형 GIS 서비스 중 CatalogService 명세서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유통모델을 구현하였다. GIS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가고 현 시점에서 공간정보유통모델은 분산환경에 있는 공간 데이터를 검색, 접근 및 관리를 함으로써 공간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공간정보유통모델을 이용함으로써 공간데이터 구축의 중복투자 방지 및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GIS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인터넷과 WWW 이용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의 보급이 확산되었다. 따라서 국내외의 분산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웹을 통해 제공되어지는 지리정보 데이터의 이질성 때문에 지리정보를 공유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발생하는 데이터 구축에 대한 중복투자를 제거하고 지리정보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위해 본 논문에서 OGC(OpenGIS Consortium)의 웹 매핑 표준 기술인 WMT(Web Mapping Testbed)의 OWS(OGC Web Service)에 기반 하여 Web 매핑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의 포맷인 XML 에 근간을 둔 GML 을 통해서 Web GIS환경에서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progressed to the open architecture, component, and multimedia services under Internet, ensuring interoperability, reusability, and realtime. The GIS is a system processing geo-spatial information such as natural resources, buildings, roads, and many kinds of facilities in the earth. The spatial information featured by complexity and diversity requires interoperability and reusability of pre-built databases under open architecture. This paper is for the development of component based open GIS Software. The goal of the open GIS component software is a middleware of GIS combining technology of open architecture and component ensuring interoper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and reusability of elementary pieces of GIS software. The open GIS component conforms to the distributed open architecture for spatial information proposed by OGC (Open GIS Consortium). The system consists of data provider components, kernel (MapBase) components, clearinghouse components and five kinds of GIS applica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data provider component places a unique OLE DB interface to connect and access diverse data sources independent of their formats and locations. The MapBase component supports core and common technology of GIS feasible for various applications. The clearinghouse component provides functionality about discovery and access of spatial information under Internet. The system is implemented using ATL/COM and Visual C++ under MicroSoft's Windows environment and consisted of more than 20 components. As we made case study for KSDI (Korea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haring spatial inform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the advantage of component based open GIS software was proved. Now, we are undertaking another case study for sharing seven kinds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open GIS component softwar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v.4
no.1
s.7
/
pp.15-25
/
2002
The OGC(OpenGIS Consortium), which is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of geographic data, have been studied standard for geographic data such as GML and GML based annotation for image and map. Annotation for map is applicable in various ways, understanding about geographic data, decision making and exchange of communication. For instance, Map annotation can be used for highlighting tour-course as symbols or explaining it as text on a map in tourism. This study suggests some annotation methodology for national digital map and presents a simple implementation of it. Firstly,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updating OGC annotation schema which corresponds with DXF format and creating a GML application schema using the updated OGC annotation schema. Also it suggest a way of converting instance documents of annotated map to VML document with XSLT and VML for display. Later, it is needed to study for supporting another formats as well as DXF format. In addition, it is needed to study for managing the history of updated map entity with annotation in Local governments UIS(Urban Information System) in practical aspect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