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 세포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2초

지속적 및 간헐적 가압력이 치주인대 배양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pressure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권숙이;배성민;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9-605
    • /
    • 1997
  • 지속적 및 간헐적인 가압력이 배양치주인대 세포의 ALP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치주인대세포를 24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밀생상태가 되었을 때, 세포배양기 속의 특수제작된 사각상자에 배양접시를 넣은후 실험 기간동안 $300g/cm^2$의 압력 을 지속적으로 가한 군, 그리고 $300g/cm^2$의 압력을 10분간 가압시킨 후 10분간 가압이 중지되도록 한 간헐적 가압군, 그리고 압력을 가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각각 실험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의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압 24시간 군에서는 간헐적 가압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P<0.05). 2. 가압 48시간 군에서는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ALP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가압 72시간 군에서는 지속적 가압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ALP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P<0.01).

  • PDF

생체 모사수 화장품이 세포 활성과 피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smetics Contained Isotonic Water Mimicked Body Fluid on Cell Activities and Skin)

  • 박선영;이성훈;김은주;최소웅;김지영;조성아;조준철;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5-201
    • /
    • 2014
  • 생체수는 링거액, 인공관절액, 세포 배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는 생체수가 체온을 조절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생체 내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용매로 사용되며, 삼투압이나 능동적 섭취를 통한 혈액 또는 림프액을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되는 미네랄, 에너지원, 호르몬, 시그널과 약물의 전달 물질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세포외 지질과 자연보습성분(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을 함유하는 각질층은 외부의 수분을 끌어들여 내부 수화에 이용하며, 이러한 과정들은 피부 장벽 기능과의 연관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당류를 포함한 생체모사수(Cell Bio Fluid SyncTM)를 인체 피부에 처리하여 세포활성을 관찰하고,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인체피부 개선 효과를 연구 하였다. 피부 세포 활성을 보기 위해 각질세포인 HaCaT 세포를 이용하였고, 에너지 고갈상태로 만들기 위해 3시간 동안 PBS에 전 처리한 후 이후 세포 배양액인 DMEM 및 등장액인 PBS,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TM}$)에 각각 3시간 처리하였다. 이후 MTT assay와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체의 피부 개선 효능을 위한 임상 연구에 21명의 여성이 참여하였다. 생체 모사수를 함유한 제품을 1주일간 안면에 도포하였고, 수분량, 피부결, 밝기 그리고 피부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피험자가 세안 후 항온항습조건($22{\pm}2^{\circ}C$, $50{\pm}5%$)에서 20분 간 대기하고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ver.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체 모사수(Cell Bio Fluid $Sync^{TM}$)가 세포 활성을 높이고 인체의 피부에서 수분, 거칠기, 밝기, 균일도, 투명도 등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두금파리 종령유충의 복신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Ventral Nephrocytes in the Larva of Lucilia illustris Meigen)

  • 조정숙;김관선;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2호
    • /
    • pp.29-38
    • /
    • 1991
  • Ventral nephrocytes in the larva of the Lucilia illustris comprise ellipsoid cells situated onto the salivary glands. The cells are $60{\sim}100{\mu}m$ in diameter. Junctional complex beneath the basement membrane hold the plasma membrane in a even contour. Intracellular channels from the juntion complex are well developed at the cortex part of the cell. Coated vesicles pinched off from the channels seems to be connected with the ${\alpha}$-vacuoles via the tubular elements, which is regared as selective absorption system from the hemolymph. Two nuclei are sometimes observed in the medulla part of the cell. Ventral nephrocytes contain well-develop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complex, and numerous mitochondria. These cellular organelles synthesize lysosome. The lysosome not only digest some cell organells but also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beta}$-vacuoles.

  • PDF

사람유래의 섬유아세포 배양을 이용하여 NRU(neutral red uptake) 시험법에 의한 in vitro 광독성 대체시험연구 (In vitro Alternative Study of Phototoxitiy by Neutral Red Uptake Assay Using Human Fibroblast)

  • 이종권;이은희;김형수;홍진태;류승렬;박기숙;김대병;김부영;조대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77-82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a possible alternative method as replacements for in vivo test. The human fibroblasts were exposed to several photoxic chemicals (promethazine, neutral red, chlortetracyclone, amiodatone, bithional, 8-methyooxypsorale) and non-phototoxi substance, ammonium laureth sulfate and irradiatied with 5 J/$cm^2$ of UVA (3320~420nm).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NRU (neutral red uptake) assay. The photoxic potential of test chemicals in the NRU PT (phototoxicity test) was assessed by determining the PIF (photoirritancy Factor) by using a cut-off value of 5. The NRU PT responses of most chemicals showed a close agreement with in vivo response except bithinol. There was a relatively good agreement between in vitro NRU assay and in vivo da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NRU assay using fibroblast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phototoxicity.

  • PDF

담배 현탁배양 세포에 있어 Polyamine 과 Ethylene 생합성시 중간산물로서 S-Adenosylmethionine의 역할 (Role of S-Adenosylemthionine as an Intermediate in Relation betwee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in Suspension-Cultured Tobacco Cells)

  • 박기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87-96
    • /
    • 1990
  • The role of S-adenosylmethionine (SAM) as an intermediate in interrelation betwee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was studied in suspension cultures of Nicotiana tabacum L. Exogenous SAM stimulated the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in 4 day-cultured cells, which were in active cell divisions, and 10 day cultured cells, which went on with active cell elongation and senescence. SAM-induced ethylene production was more effective in 10 day-cultured cells than in 4 day-cultured cells, but SAM-induced polyamine biosynthesis was more effective in 4 day-cultured cells than in 10 day-cultured cells. Polyamine contents were increased by the blockage of ethylene biosynthetic pathway in the conversion of SAM to ethylene via 1-aminocyclopropane-1-carboxylinc acid (ACC) with aminooxyacetic acid (AOA). Also, ethylene production was increased by the inhibitors of polyamine biosynthesis such as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MGBG), dicyclohexylamine (DCHA), $\alpha$-difluoromethylarginine (DFMA) and $\alpha$-difluoromethylorinithine (DFM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may be interrelations betwee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sis for the competition of SAM and the inherent mechanism of switch on-off in polyamine and ethylene biosynthetic activity with the progress of cell growth and senescence.

  • PDF

A Study on the Use of Animal Symbols for Heal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Focusing on "Donguibogam(東醫寶鑑)"

  • Nang Ye Kim
    • 셀메드
    • /
    • 제13권10호
    • /
    • pp.11.1-11.5
    • /
    • 2023
  • Animal symbols exert a profound influence on humans. This can be likened to homeopathic magic, with its source tied to the symbol. It has been believed that consuming an animal or crafting items from its parts would imbue humans with the creature's powers, thereby enhancing its symbolic significance over time. An animal can have various symbolic meanings, and among them, those related to healing have been adopted as folk remed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an example in which animals were used in folk therapy as a symbol of healing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rough "Donguibogam(東醫寶鑑)". In this context, 'healing' not only pertains to direct cures but also encompasses the use of amulets to fend off afflictions and bolster one's immunity. By looking at animal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in folk remedies, it is possible to reaffirm the role of animals as healing symbols and to find ways to effectively use animal symbols to enhance the healing effect in the future by recognizing their value.

탄성초음파에서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using Elasticity Score and Strain Ratio in Elastogpraphy)

  • 이진수;양성희;김창수;안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7-234
    • /
    • 2017
  • 본 연구는 갑상샘 탄성초음파에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를 이용한 방법이 양성과 악성결절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탄성초음파를 시행한 5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갑상샘 결절의 양성과 악성에 따른 5단계의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차이분석은 카이제곱검정과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통해 악성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최적의 cut off 값을 결정하였다. 양성과 악성결절 군의 분류에 따른 탄성도 점수의 동질성 비교와 변형비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0), ROC 곡선분석에서 양성과 악성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AUC 0.842, 0.700, cut-off 값 3, 2.49로 결정되었다(p=0.001). 따라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는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을 위한 복수액 분석 (Ascitic Fluid Analysis for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cy-Related and Nonmalignant Ascites)

  • 이은영;김병덕;최재혁;이상엽;류헌모;이경희;현명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76-84
    • /
    • 1999
  •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은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계측치들이 감별을 위하여 사용되어져 왔는데 어느 것도 단독 사용시 두 군을 완벽히 구분짓지는 못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에 있어서 여러 계측치들을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를 찾고 이 결과를 토대로 악성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구분에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진단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복수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수 천자를 시행한 80명을 대상으로 이들 환자들을 악성 복수 환자군과 비악성 복수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악성 복수군은 다시 암종증이 동반된 21명의 환자와 암종증의 증거가 없는 6명의 환자로 구분하였고 비악성 복수군은 다시 52명의 간경변증 환자군과, 1명의 간경변증이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자에게서 복수와 혈액에서 동시에 검체가 얻어졌고 계측치로 복수액의 콜레스테롤, CEA, LDH, 단백치, 세포진 검사, 복수액과 혈청의 LDH 비, 단백비, 혈청-복수액 알부민 차를 구하였고, 각 계측치의 평균을 구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는데, 모든 계측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저자는 각 계측치마다 각 측정치를 적용하여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즉 가장 높은 진단 능력을 나타내는 측정치를 절단치로 정한 후각 계측치에 적용하여 진 양성, 진 음성, 가 양성, 가 음성으로 분류한 후 민감도, 특이도, 양성 기대도, 음성 기대도, 진단 능력을 산출하였고, 연구된 계측치 중 민감도가 높은 계측치인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을 선별검사의 단계에 적용하고, 특이도가 높은 계측치인 세포진 검사와 복수와 혈청의 단백비를 악성 복수로 분류된 군에 적용하여 악성 복수를 확진하는 2단계 진단 과정을 80명의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복수액 분석 결과 복수액의 콜레스테롤치가(절단치: 30 mg/dl) 93%의 가장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복수액의 세포진 검사와 복수액과 혈청의 단백비가(절단치: 0.5) 100%, 98%의 가장 높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2) 2단계의 진단 과정을 통하여 복강내 암종 전이가 확인된 21명 모두 악성 복수군으로 분류되었다. 3) 광범위한 간전이가 있는 악성 복수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4) 간 경변증으로 인한 52례에서 모두 비악성군으로 분류되었다. 5) 전체 진단 과정을 통해 총 27명의 악성 복수 중 81.5%인 22명이 악성 복수군으로 진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들이 제시한 진단 과정은 악성 복수와 비악성 복수의 감별 진단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양상, 방사선학적 검사, 기타 검사 등을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Sysmex UF-5000 소변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요배양 불필요 검체의 선별 (Selection of Unnecessary Urine Culture Specimens Using Sysmex UF-5000 Urine Flow Cytometer)

  • 송두열;이현지;조수연;이선민;장철훈
    • Annals of Clinical Microbiology
    • /
    • 제21권4호
    • /
    • pp.75-79
    • /
    • 2018
  • 배경: 요배양검사는 요로감염 진단을 위한 표준검사로 가장 흔히 의뢰되는 미생물 배양 검사 중 하나이다. 소변 자동분석기는 감염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개발된 Sysmex UF-5000 (Sysmex, Japan)은 유세포분석 방법에 의해 세균, 효모균, 백혈구 등의 입자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그람 염색성 정보를 제공한다. 저자들은 UF-5000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요배양검사를 얼마나 선별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방법: 요배양검사가 의뢰된 453 검체 중 비뇨기과/신장내과 의뢰 검체를 제외한 126 검체를 대상으로 요시험지봉검사와 UF-5000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요배양검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소변 배양은 집락수가 $10^4CFU/mL$ 이상인 경우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UF-5000의 세균 수 $50/{\mu}L$이하, 효모양 세포 $100/{\mu}L$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분석 대상 요배양의 38.1% (48/126), 전체 요배양 453건의 10.6%를 불필요한 요배양검사로 선별해 낼 수 있었다. 결론: UF-5000에서 산출된 세균 및 효모양 세포의 수로 음성 배양 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약 10%의 불필요한 배양검사를 줄일 수 있다.

산화형 영구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Oxidative Permanent Dyed Hair)

  • 이귀영;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39-345
    • /
    • 2008
  • 본 연구는 산화형 영구 염모제로 처리한 모발의 응력과 인장력을 건강모발과 비교하였으며, 인장시험 결과 절단된 모발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염색모발의 인장강도는 $13.69\;g/cm^2$이었고 인장에너지는 $89.62\;erg/cm^2$로 나타났으며, 최고응력은 136.90g로 측정되었고 인장거리는 평균 11.34mm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건강모발에 비교하였을 때 인장강도와 인장에너지, 최고응력이 각각 $0.97\;g/cm^2$, $18.38\;erg/cm^2$, 9.74 g 감소하였고 인장거리는 0.95 mm 짧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염색모발이 건강모발보다 모발의 탄력성과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강모발과 염색모발의 인장강도 시험 후 절단되어 손상된 모발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건강모발은 표면의 큐티클세포들이 들떠서 분리되어 있었으며, 염색모발의 큐티클세포들은 건강모발보다 더 심하게 분리되어 있었다. 염색모발에서 큐티클세포의 분리는 세포막사이 복합체의 파괴에 의해서 일어났다. 또한, 인장력에 의해서 찢어진 피질에는 거대 원섬유들이 노출되어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