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DD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제지폐수중의 다이옥신 배출 패턴 및 형성 메카니즘(II) - 표백공정이외의 폐수(알칼리폐수)를 중심으로 - (Emission Patterns and Formation Mechanism of PCDDs/PCDFs in Bleaching Wastewater(I) - Alkali Wastewater -)

  • 신선경;장성기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422-431
    • /
    • 2001
  • 염소표백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펄프 제지폐수 배출시설의 폐수 중 다이옥신류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백공정 전 후단을 제외한 회수공정, 마감공정집수조 및 방류수의 알칼리 폐수를 채취 분석하였다. 회수공정과 마감공정에서 2,3,7,8-치환이성체의 배출분포는 2,3,7,8-사염화퓨란(TCDF) > 팔염화다이옥신(OCDD) > 팔염화퓨란(OCDF)의 순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퓨란류(PCDFs)와 다이옥신류(PCDDs)의 배출비는 76:24, 62:38로 조사되어 주로 퓨란류가 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잇었다. 그러나, 집수조에서는 팔염화다이옥신(OCDD) > 1,2,3,7,8-오염화다이옥신(PeCDD) > 1,2,3,4,7,8-육염화다이옥신(HxCDD)의 순으로 2,3,7,8-치환이성체가 배출되고 있으며, 독성등가환산농도로 환산한 결과 1,2,3,7,8-오염화다이옥신(PeCDD)이 81%, 1,2,3,4,7,8-육염화다이옥신(HxCDD)이 1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출된 다이옥신류의 농도는 0.2266ng-TEQ/L로 조사되었다. 또한, 방류수에서의 2,3,7,8-치환이성체 배출분포는 팔염화다이옥신(OCDD) 및 2,3,7,8-사염화퓨란류(TCDF)의 순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독성등가환산농도의 배출분포는 1,2,3,7,8-오염화다이옥신(PeCDD) 및 2,3,7,8-사염화퓨란(TCDF)의 순으로 배출되었으며, 배출되는 다이옥신류의 농도는 0.377 ng-TEQ/L로 조사되었다.

  • PDF

Levels and Patterns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Sediments from Korean Coast

  • Moon Hyo-Bang;Choi Hee-Gu;Kim Sang-Soo;Jeong Seung-Ryul;Lee Pil-Y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51-57
    • /
    • 2001
  •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dibenzofurans (PCDFs) were measured in sediment samples from 19 station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from February to July 2000. PCDDs and PCDFs were detected in all sediment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these con­taminants ranged from 18.2 to 804.0 pg/g dry weight and I-TEQ concentrations varied from 0.1 to 5.5 pg/g dry weight. Examination of homologue groups showed that octachlorinated dibenzo-p-dioxin (OCDD) was predominant congener in Korean coast. This pattern was similar to homologue profiles of marine sediments in which the main source of PCDDs/DFs was derived from the atmospheric deposition of particulate matters generated from various industrial activities. Grain size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distribution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governing PCDDs/DF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 PDF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다이옥신 분석 (Determination of PCDD/Fs in Disposable Diaper for Infant)

  • 신정화;안윤경;서정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14-824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and standardized the harmful substances of organic compounds(dioxins) in disposable diapers for infant's clothing. Commercial samples obtained from Korea, Japan, America and German were determined by HRGC/HRMS. Experimental Methods were consisted of comparision of extracting solvent, analysis of PCDD/Fs, and analysis of PCDD/Fs of extraction in disposable diap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o high TEQ values in TCDD(1), PCDD(0.5) and HxCDD(0.1) were found for commercial disposable diapers from country Korea, Japan, U.S.A and German. In extraction for 6hrs experiments, HpCDD and OCDD were detected in disposable diapers of U1, U2 and G2, respectively. In extraction fur 24hrs experiments, HpCDD, OCDD and OCDF were detected in disposable diapers of J3, U1, U2 and U3. So we need to set standards of measurement for harmful materials contained in textile goods. This will make a safe and comfortable clothing environment for all users, regardless of age.

국내 폐기물소각시설 배출가스와 소각재, 환경 매질, 식품 및 인체에서 검출된 다이옥신 농도수준 및 이성질체 유형 특성 (PCDD/Fs Levels and Congener Pattern Characteristics in Stack Gas and Fly Ash from Waste Incinerators, Environmental Media, Food, and Human Tissues: An Overview)

  • 김수진;박소영;최승필;이동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1호
    • /
    • pp.1-24
    • /
    • 2004
  • Since dioxins became a serious concern in Korea, a significant number of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address diverse issues related to dioxins. However, the results have not been organized for ready access and use. The principal purposes of the work were to ⅰ) provide an archive of dioxin researches in Korea and ⅱ) give an overview of dioxin contamination. The focus of this work was placed on the contamination levels and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waste incinerators emissions, environmental media, and biological samples(fishes/shellfishes, foods, and human bod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mon and/or unique features and the import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congener patterns. From a comprehensive search of academic journals, research and monitoring project reports, dissertations, and periodicals of other forms, a total of 115 counts were found that m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various samples were summarized and compared to those reported in foreign literatures. The congener patterns varied largely with environmental media and distinguished particularly by OCDD, 1,2,3,4,6,7,8-HpCDF, and OCDF for the samples within the same media. The proximity to emission sources differentiated the congener patterns in air and soil samples by the fraction of OCDD.

Isotope Dilution HRGC/HRMS 방법을 이용한 저니토중의 PCDDs/PCDFs 분석 (Analysis of PCDDs/PCDFs in Sediment by Isotope Dilution HRGC/HRMS)

  • 장성기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789-80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isotope dilution HRGC/HRMS 방법으로 저니토중의 PCDDs/PCDFs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urrogate 표준물질의 평균 회수율은 70.1-80.8%로 양호하였다. 17종의 2, 3, 7, 8-치환이성체 분포에서는 OCDD가 총 농도의 40.6-78.5%를 나타내었으며, OCDF는 6.6-14.7%, 1, 2, 3, 4, 6, 7, 8-HpCDD는 5.1-7.7%를 나타내었다. 또한 PCDDS가 총 PCDDs/PCDFs중 62.4-86.9%를 나타내었다. TEQ 농도분포에서는 2, 3, 4, 7, 8-PeCDF가 22.7-35.6%를 나타내었다.

  • PDF

청주시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 및 특성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CDDs/DFs in Soil at Cheongju City)

  • 김경수;김교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46-351
    • /
    • 2009
  • 청주시 토양을 대상으로 다이옥신의 오염수준 및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채취된 28개 지점의 토양 중 17개 다이옥신 이성질체의 농도범위는 2.30${\sim}$630.40(평균 55.42) pg/g-dry으로 검출되었으며 TEQ 농도범위는 0.002${\sim}$9.79(평균 1.13) pg I-TEQ/g-dry로 조사되었다. 이들 농도는 우리나라 소각시설 주변의 농도(불검출${\sim}$153.23, 평균 7.36 pg I-TEQ/g-dry)보다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농도와 TEQ 농도와는 99% 신뢰구간에서 서로 상관성을 나타냈다(p값<0.001). 토지이용별 농도는 공단>녹지>주거 및 상업지>농경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성질체 조성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토양 중에서 높게 검출되는 OCDD의 비율이 22${\sim}$100%(평균 59%)로 채취지점에 따라 편차가 심하였으며, PCDF/PCDD의 비율 또한 0.1${\sim}$2.4(평균 0.8)로 지점에 따라 편차를 보였다.

산업폐기물 소각장의 바닥재와 비산재에서 PCDDs와 DFs 농도 (PCDDs and DFs concentrations from the fly ash and bottom ash of industrial waste incinerators in Korean)

  • 김기웅;원용림;고경선;최윤정;이성광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347-351
    • /
    • 2014
  • 산업폐기물 소각장의 비산재와 바닥재에서 PCDDs와 DFs를 측정한 결과, 비산재에서 PCDDs와 DFs의 농도는 각각 4.5063과 13.004 ng-TEQ/g이었고 바닥재에서는 0.2367과 0.0993 ng-TEQ/g의 함유량을 보였다. 비산재 속에는 1,2,3,4,6,7,8-HpCDD, OCDD, 2,3,4,6,7,8-HxCDF, 2,3,4,7,8-PeCDF 동종체가 다량 함유되었고 바닥재에는 1,2,3,7,8-PeCDD와 2,3,4,7,8-PeCDF가 많았다.

제지폐수중의 다이옥신 배출 패턴 및 형성 메카니즘(I) - 염소표백공정(산성폐수) 전.후단을 중심으로 - (Emission Patterns and Formation Mechanism of PCDDs/PCDFs in Bleaching Wastewater(I) - Inlet and Outlet of the Chlorine Bleaching Stage(Acidic Wastewater) -)

  • 정영희;신선경;장성기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266-273
    • /
    • 2001
  • 염소표백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펄프 제지폐수 배출시설의 폐수 중 다이옥신류의 배출 특성 및 형성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표백공정 전 후단에서 배출되는 산성 원폐수를 채취 분석하였다. 표백공정 전단 및 후단에서 배출되는 퓨란류(PCDFs)와 다이옥신류(PCDDs)는 약 2:3의 비율로 배출되었으며, 표백공정 전당에 비해 후단에서는 1,2,3,7,8 - 오염화다이옥신(PeCDD)을 제외한 2,3,7,8-치환이성체들의 배출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2,3,7,8-사염화퓨란(TCDF)은 0.0322ng/L에서 0.1580ng/L 약 5배, 팔염화다이옥신(OCDD)은 0.0794ng/L에서 0.5745ng/L로 7배 배출농도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표백공정중 이들 이성체가 주로 형성 배출되어 전형적인 펄프 제지 제조시설의 다이옥신 배출패턴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증표준물질(NIST SRM 1589a)을 이용한 혈액 중 다이옥신 분석방법 (Analytical method of PCDDs/PCDFs in blood using NIST SRM 1589a)

  • 신선경;박석운;김태승
    • 분석과학
    • /
    • 제18권6호
    • /
    • pp.559-567
    • /
    • 2005
  • 최근 관심이 되고 있는 혈액 중 다이옥신 분석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미국 NIST의 혈청 인증표준물질 1589a를 이용하여, 캐나다, 일본 등 선진국의 혈액 중 다이옥신 분석방법을 비교 검토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혈액 중 다이옥신 분석방법(안)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분석방법은 추출과정에서 유분 등 지방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알칼리 분해 추출 후 기존의 다이옥신 전처리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제하여 두 종류의 컬럼을 사용하는 분석방법이다. 또한, 혈청 인증표준물질과 실제 혈액시료에 제안된 분석방법을 적용한 결과 정량한계는 사염화물(TeCDD/DF) 및 오염화물(PeCDD/DF)이 1 pg/g-lipid, 육염화물(HxDD/DF) 및 칠염화물(HpCDD/DF)이 2 pg/g-lipid 그리고 팔염화물(OCDD/DF)이 4 pg/g-lipid이며, 검량용 표준물질은 검출 농도를 고려하여 $CS_L$(0.1~1), $CS_1/2$(0.25~2.5), $CS_1$(0.5~5.0), $CS_2$(2~20) 및 $CS_3$(10~100)로 제시하였다.

몇 가지 환경 시료 중에 함유된 다이옥신류 이성질체들의 분포에 대한 상관성 연구 (The Study of distribution relationship of dioxin isomers in some environmental matrix)

  • 김연제;전명윤
    • 분석과학
    • /
    • 제18권5호
    • /
    • pp.419-424
    • /
    • 2005
  • 최근 환경 잔류성 유기오염 물질과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지정된 다이옥신은 가장 중요한 환경 물질로 취급되어 인체위해성 평가, 배출 오염원 측정 및 분석 방법, 저감대책, 환경에의 농도 및 영향 평가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폐기물 소각 등 모든 연소과정에서 주로 생성된 후 대기 순환 등을 통하여 환경 중에 확산된 다이옥신 등은 토양에 축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 가스, 생활 쓰레기 소각장 배출 가스 및 대기 그리고 토양의 시료로부터 다이옥신의 이성질체 분포에 대한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PCDDs와 PCDFs를 OCDD를 기준으로 하여 그 비율에 기초하여 곡선을 작성하여 그 형태로부터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 가스와 대기 중에서의 이성질체 분포 곡률과 비율이 거의 일치함을 볼 수 있다. PCDDs와 PCDFs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서로 유사한 곡률과 비율에 대한 결론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환경 중에 노출되는 다이옥신은 생활 쓰레기 소각장 배출 가스보다는 산업 폐기물 소각장 배출가스에 좀 더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토양 시료의 경우 농약 등 다른 오염원의 가능성 및 자연 분해 정도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곡률의 형태는 배출가스들과 유사함을 보여 토양 오염 또한 소각장 배출 가스들에 기인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