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 sativa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5초

Response of Antioxidative Enzymes of Two Rice Cultivars to Ozone Exposure and Nutrient Supply

  • Lee, Sang-Chul;Hwan, Cho-Jeong;Park, Shin-Young;Son, Tae-K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0-46
    • /
    • 2001
  • Ozone ($O_3$)-induced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 and specific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scorbate peroxidase (APX), guaiacol peroxidase (GPX), 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were investigated in two rice cultivars (Oryza sativa L.) grown under variable nutrient treatments. For this study, two rice cultivars of Ilpumbyeo (IL) and Keumobyeo#l (KM), which were known as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O_3$, respectively, were exposed to $O_3$at 0.15ppm for 30 days and investigated with 10 days interval. The available nutrient regimes were varied by doubling the supply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Within a basic fertilizer status (N, P, K; 15, 12, 12kg/l0a$^{-1}$ ). In both cultivars and at all nutrient status, chlorophyll content in $O_3$-treated plants decreased with prolonged treatment period, although higher N, P and K supply with $O_3$ treatment alleviated the de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The activities of almost all enzymes investigated for this study were decreased during initial stages of $O_3$- exposure except GPX which maintained higher activity throughout the exposure period than the non-treated plant. However, the antioxidant enzymes in $O_3$-treated plants showed almost the same or higher activities on 30 days after $O_3$ - exposure.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activities were observed in GR of the $O_3$-treated leaves. With the prolonged treatment period, the activity of GR at 30 days was increased by 3-8 times compared to those in 10 days. Most of the investigated enzymes showed very similar tendency to $O_3$ treatment in all fertilizer status. There was no observed evidence for enhanced detoxification of $O_3$-derived activated oxygen species in plants grown under higher fertilizer status compared with that in plants grown under basic fertilizer status. The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SOD, APX and GR in rice leaves by relatively long-term treatment with $O_3$ at low concentration is considered to indicate that the plant became adapted to the $O_3$ stress and the protection system increased its capacity to scavenge toxic oxygen species. Our results in two rice cultivars indicat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between IL and KM, which were known as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 to $O_3$

  • PDF

Agar 배지를 이용한 건조 및 염 처리에 대한 벼 식물체의 근계 변화 (Changes of Root System in Rice (Oryza sativa L.) Plant Under Salt- and Drought- Stressed Agar Medium Conditions.)

  • 강동진;석정용일;김길웅;이인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96-399
    • /
    • 2004
  • 본 실험은 고체배지를 이용한 새로운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건조 및 염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체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뿌리신장률, 근단구조, 물질생산 등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PEG 및 NaCl 처리조건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벼 식물체의 뿌리신장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PEC 및 NaCl 처리에 따른 벼 식물체의 뿌리는 methyl-lignin 축적에 의한 리그닌화가 진행되었으며, 수분결핍을 극복하려는 기작으로 표피세포를 변형시킨 근모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또한 PEG 및 NaCl 처리에 의한 벼 식물체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의 현저한 감소는 지상부보다 지하부에서 뚜렷하였으며, 그 결과 PEG 및 NaCl 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TR율의 증가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건조 및 염 처리를 한 고체배지를 이용함으로써 벼의 경우 스트레스 처리 전 약 2주간 유묘를 생육시키는 양액재배에 비해 발아기의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체 반응의 관찰과 내성 특성 검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논에서 벼 대체작물의 전작 재배가 조경밀의 곡물 생산성과 밀가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cropping with Rice (Oryza sativa L.) Alternative Crops on Grain Yield and Flour Quality of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Jokyung') on the Paddy Fields)

  • 오서영;서종호;최지수;오성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86-695
    • /
    • 2022
  • 벼 대체 밭작물(검정콩, 들깨, 참깨)과 연계한 밀 이모작 작부체계를 적용한 논에서 조경밀 생산성과 밀가루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작으로 검정콩, 참깨, 들깨를 재배하였던 포장은 벼를 재배한 논보다 토양의 pH는 높고, 전기전도도는 낮았다. 그리고, 유효인산(Av. P2O5), Ca2+과 Mg2+ 함량은 벼를 재배하였던 토양에서보다 높았다. 밀의 생육 특성 중 간장, 수장, 수수, 수당립수는 검정콩 전작 토양에서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하지만, 밀의 수량은 벼 전작 토양에서보다 대체작물인 검정콩이나 참깨, 들깨의 전작 토양에서 모두100 kg/10a 이상 증가하였다. 더군다나, 단백질 함량과 SDS-침전가가 검정콩, 참깨, 들깨 전작에서 모두 벼 전작에서보다 높았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벼 전작에서보다 검정콩, 들깨 전작에서 다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논토양에서 전작으로 참깨나 콩, 들깨 등의 벼 대체 작물들의 재배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제빵공정에 좀 더 유리한 고품질의 밀을 생산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ntisense gibberellin 3β-hydroxylase발현 형질전환벼 (Antisense GA 3β-Hydroxylase Gene Transferred to Rice Plants.)

  • 강용원;윤용휘;김길웅;이인중;신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44-649
    • /
    • 2004
  • GA 생합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GA 3$\beta$-hydroxylase를 pIG121-Hm 벡터에 GUS유전자를 빼고 antisense로 클로닝하여 이를 동진벼에 도입한 결과 17개체의 절간신장이 억제된 형질전환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 재배 동진벼를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을때 antisense GA 3$\beta$-hydroxylase 유전자가 형질 도입된 식물체의 획득형질은 평균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절간 신장의 억제가 확인되었다. 절간신장의 억제가 보인 개체의 엽육조직을 co취하여 Southen blot hybridization분석 결과 3개의 line에서 모두 single copy로 도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T_o$ 식물체 내에 antisense GA 3$\beta$-hydroxylase 유전자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antisense GA 3$\beta$-hydroxylase 유전자가 생체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GA 3$\beta$-hydroxylase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한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한국에서의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Host Range of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정봉조;박해철;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1975
  •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 PDF

벼 종간잡종 유래 근동질 유전자계통 이용 종자중 관여 유전자 분석 (Mapping Grain Weight QTL using Near Isogenic Lines from an Interspecific Cross)

  • 강주원;양바오로;윤여태;안상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4-310
    • /
    • 2011
  • 1. 선행 연구에서 염색체 3번의 RM60~RM231 부근에서 종자중, 수당립수에 관여하는 QTL이 탐지되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크기와 위치가 다른 O. glaberrima 단편이 이입된 5 계통을 선발하여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계통별로 출수기, 임실률, 수당립수, 종자중을 제외한 형태적 특성들이 밀양23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염색체 지역이 밀양23호로 회복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2. 유전자의 위치를 자세히 알기 위해 RM60과 RM22 부위에 위치하는 SSR 마커를 이용하여 5개 계통의 유전자형을 검정하였다. 종자중과 수당립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4계통, IL3, IL26, IL25와 IL51을 비교한 결과 종자중과 수당립수를 조절하는 유전자는 RM60-RM523 사이의 재조환 지점과 단완 끝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거리는 약 1.2-Mb이다. 3. 본 연구에서 탐지된 연관된 종자중과 수당립수 QTL은 재배벼의 수량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벼 품종의 오존에 대한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Oryza sativa L.) Varieties to Ozone)

  • 정일민;김광호;송동규;강병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7
    • /
    • 1999
  • 벼 품종의 오존처리에 대한 생리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여 내성품종을 선발하는데 이용하고자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D활성은 오존을 한번 처리 했을 때 백운찰벼, 두번 처리시 일품벼 및 인부지나도에서 무처리구와 차이를 보였으나, 세번 처리할 경우 상남밭벼, 한강찰벼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처리간 유의성을 보였다. POD활성은 오존 세번 처리시 상남밭벼, 한강찰벼, 일품벼와 인부지나도에서 무치리구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2. 벼 잎의 아미노산 함량은 오존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phenylalanine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상남밭벼에서는 오존처리에 의한 phenylalanine 함량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3. 상남밭벼는 오존처리구와 무처리간에 외관상의 생육특성은 차이가 있으나 등숙율에서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저항성기작에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진 SOD와 POD 활성도가 높으며, 특히 저항성물질의 합성에 관련되는 전구물질인 phenylalanine 함량이 오존처리구에서 증대되는 것으로 보아 오존내성이 강한 품종으로 생각된다.

  • PDF

바이오차의 시용이 채소 유묘 생장 및 양분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char on Early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Vegetable Seedlings)

  • 홍성창;유선영;김경식;이규현;송새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0-57
    • /
    • 2020
  • BACKGROUND: Biochar is used in various environmental fields, such as water quality and soil restoration, and affects soil fertility and nutrient cycling. Also, when crops are grown on biochar-applied soil, their characteristics may be affected. Biochar is used especially with commercial vegetable seedlings. METHODS AND RES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iochar content in seeding mixes on early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L.),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an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0: 10, ratio of biochar to seeding mixes (w/w)), 1: 9 (biochar 10%), 3: 7 (biochar 30%), 5: 5 (biochar 50%), and 7: 3 (biochar 70%). The biochar was made from risk husk and had a C/N ratio of 104. As the mixing ratio of biochar increased, pH increased whereas EC and nitrogen content decreased. The highest phosphorus content was with the treatment of 30% biochar,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weight of lettuce seedlings and concentrations of T-N, P2O5, K2O, MgO, and Na with the treatments of 30% and 50% biochar. Although the weight of Chinese cabbage seedlings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10% biochar, the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red pepper seedlings with the treatment of 30% biochar, but the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increases in the biochar mixing ratio, the K2O concentration of red pepper seedlings increased, but the concentrations of P2O5, CaO, MgO, and Na decreased. It was believed that this was because of absorption inhibition by calcium-phosphate formation in the seeding mixes owing to increased pH. CONCLUSION: In conclusion, adding biochar to seeding mixe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mean for growing healthy vegetable seedlings. More field experiments are needed to verify the effect of biochar on vegetable crop growth over the entire growing season.

흑미의 주정 추출물이 melanin 생성과 관련된 tyrosinase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ck Rice (Oryza sativa L. indica) Ethanolic Extract on Tyrosinas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Related to Melanin Production)

  • 이은빈;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2-539
    • /
    • 2018
  • 백모 발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낭에 있는 melanocyte 수가 감소됨과 동시에 세포활성이 저하되고 동시에 과산화수소($H_2O_2$)가 축적되어 melanin 합성이 감소되어 진행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흑미 주정추출물인 Black oryzasativa ethanolic extract (BLEE)가 백모에서 흑모로 전환되는데 관련되어 있는 melanin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BLEE는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및 환원력 실험에서 $64{\mu}g/ml$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생성 촉진효과는 $16{\mu}g/ml$ 이상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DCF fluorescence assay에서 세포내 $H_2O_2$를 소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H_2O_2$를 처리한 세포에서 melanin 생성 촉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catalase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 TRP-1, TRP-2, 효소 및 MITF 전사인자의 발현촉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BLEE의 melanin 생성 촉진효과는 tyrosinase 활성 증가와 세포내 $H_2O_2$의 생성을 감소시켜 melanin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BLEE는 melanin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BLEE는 흑모성장과 연관이 있는 melanin생성 촉진과 관련된 모발화장품 개발분야에서 하나의 잠재적인 기능성 소재로 응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유신(維新)벼에 나타난 생육후기(生育後期)의 위조(萎凋) (Acute Wilting Occurred in the Late Stage of Yusin, Oryza sativa L.)

  • 박종성;김문규;우기대;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5-9
    • /
    • 1977
  • 1. 유신(維新)벼의 생육후기(生育後期)에 나타난 급격(急激)한 위조현상(萎凋現象)을 생리적(生理的)인 면(面)에서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위조답(萎凋沓)과 건전답(健全沓)의 토양성분(土壤成分) 및 도체(稻體)를 분석(分析)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의 가리(加里) 및 주산함량(柱酸含量)은 위조답(萎凋沓)이 건전답(健全沓)에 비(比)해 낮았다. (2) 도체중(稻體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은 위조도체(萎凋稻體)가 건전도체(健全稻體)에 비해 질소(窒素)와 철(鐵)의 함량(含量)이 많았고 가리(加里)와 주산(柱酸)은 적었으며 $K_2O/N$의 값도 낮았다. 2. 유신(維新), 밀양(密陽) 15호(號) 및 밀양(密陽) 23호(號) 3품종(品種)을 동일(同一) 포장(圃場)에 혼식(混植)한 결과(結果) 유신(維新)에서만 심(甚)한 위조현상(萎凋現象)을 보였으며 도체상(稻體上) 성분(成分) 및 근권토양(根圈土壤)의 성분(成分)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Total carbohydrate 및 hemicellulos는 위조(萎凋)가 발생(發生)했던 유신(維新)벼에서 그 함량(含量)이 극히 낮았으며 밀양(密陽) 15호(號)에서 가장 많았다. (2) 근권토양중(根圈土壤中)의 K함량(含量)은 유신(維新)벼의 근권토양(根圈土壤)이 약간 높았으나 도체상(稻體上)의 K함량(含量)은 가장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