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 경로분석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암석구(岩石區)로 본 남한화성암조합(南韓火成岩組合)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하여 (Chemical Composition of Petrographic Assemblages of Igneous and Related Rocks in South Korea)

  • 이대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0권2호
    • /
    • pp.75-92
    • /
    • 1977
  • 남한(南韓)에 분포(分布)하는 화성암류(火成岩類)의 화학성분(化學成分)과 그 암석화학적성질(岩石化學的性質)을 개략적(槪略的)으로 알기 위해서 35개(個) 문헌(文獻)에서 359개(個) 화성암류(火成岩類) 및 화성기원(火成起源)으로 인정(認定)되는 암석류(岩石類)의 화학분석치(化學分析値)를 인용(引用)하였다. 분석치(分析値)들은 27개암석조합(個岩石組合)으로 구분(區分)하고 이들은 다음의 5개암석구(個岩石區)로 갈라서 처리(處理)하였다. (1) 경기지괴(京機地塊), (2) 영남지괴(嶺南地塊)(도표(圖表)에서는 이들을 합(合)쳐서 하나의 지괴(地塊)로 묶음). (3) 옥천대(沃川帶), (4) 경상분지(慶尙盆地), 및 (5) 알카리암구(岩區), 분석치(分析値)는 $SiO_2$대(對) $Na_2O+K_2O$ 및 CaO, D. I. 대(對)산화물류(酸化物類), AFM 삼각도(三角圖), AKF삼각도(三角圖), An-Ab-Or 노름삼각도(三角圖), 및 Q-Or-Ab 노름삼각도(三角圖)로 처리(處理)하였다. 이에 의(依)하면 (1) (2) (3) (4) 는 모두 칼식암계열(岩系列)에 (5)는 알카리암계열(岩系列)에 속(屬)한다. 또한 (1)-(2)와 (3)의 분화경로(分化經路)는 세계(世界)칼크알카리암계열(岩系列)에 (4) 는 Karoo dolerite에, (5)는 Mull 화산(火山) 및 알카리감람석현무암태지(橄攬石玄武岩台地)에서의 분화경(分化經)들과 유사(類似)하다. 지각내(地殼內) 점상질암(粘上質岩)과의 동화정도(同化程度)는 (1)-(2) 및 (3)에서는 매우 높고 (4)에서도 높으며 (5)에서는 낮다. $K_2O$ : $Na_2O$는 대체(大體)로 $K_2O$ < $Na_2O$이고 (3)에서만 $K_2O{\approx}Na_2O$를 보이고 있다. 노름치(値)에 의한 도표(圖表)에 의하면 지질시대(地質時代)의 차이(差異)는 있으나 남한(南韓)의 화성암류(火成岩類)는 일본(日本)의 화성암류(火成岩類)와 유근사(類近似)하다.

  • PDF

물류센터 경유를 고려한 화물운송 경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reight Transport Route Model by Considering Logistics Center)

  • 조민지;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1-67
    • /
    • 2015
  • 국내의 화물 운송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륙지역의 화물운송량 예측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종점 자료(O/D Data)는 화물 운송수단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조사하여 구축하였으며 이는 화물의 운송 특성을 제대로 반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화물의 운송은 단순히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화물을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화물운송 도중에 운송수단을 변경하거나 화물의 임시 보관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화물운송모형에서는 중간 경유지(물류센터 또는 내륙컨테이너기지)를 포함시켜야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간 경유지를 고려한 기종점 자료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물류센터를 고려한 화물운송 경로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화물운송 경로모형은 각 구간별 운송계수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화물량을 예측하는 모형으로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고 오차의 범위가 ${\pm}1.0%$이내로써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CA모형을 이용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Traffic Flow Micro-simulation System Using Cellular Automata)

  • 조중래;고승영;김진구;김채만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3-14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 가로망에 대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개발의 첫 번째 단계로, 연속류 구간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가로망 구조, 차량 주행행태에 적합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차량 전이 모형으로는 Cellular Automata 모형(CA모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기존의 CA모형 중 교통공학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거나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거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여러 교통현상(합류, 차로축소, 분류등으로 유발되는 교통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본 모형은 우리나라의 가로망구조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기존에 외국에서 개발된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이 표현하지 못했던 가로망에 대한 교통류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사 패턴을 갖는 HTML 문서의 XML 자동 변환 (Automatically Converting HTML Documents with Similar Pattern into XML Documents)

  • 오금용;황인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3호
    • /
    • pp.355-364
    • /
    • 2002
  • 최근 들어, WWW(World Wide Web)의 급속한 보급으로 많은 양의 정보가 생성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웹은 이제 정보 교환의 도구로서 뿐 아니라 정보의 저장소로 인식되게 되었다. 현재 웹상의 많은 문서들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HTML은 간단하고 배우기가 쉬운 반면, 데이터에 대한 기술을 명확하게 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해 정보 검색에 있어서 효율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가 구조적인 언어로 부상하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변환하는 것이다. XML은 웹 상에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안된 표준 메타 언어이다. 효과적인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XML은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통하여 문서의 구조를 기술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유동성은 웹에서 운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통합, 저장,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유사한 패턴을 갖는 HTML 문서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에 관련된 경로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XML 문서로의 변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XML 변환기를 구현하였다.

교통조사를 통한 도로통행비용함수 구축 및 검증 (Parameter Estimation & Validation of Volume-delay Function based on Traffic Survey Data)

  • 김주영;추상호;강민구;허헌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24
    • /
    • 2010
  • 통행비용함수(VDF)는 교통량 수준에 따른 링크 통행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수요 예측의 신뢰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고속도로의 VDF는 1997년 한국도로공사에 의해 구축 제공된 바 있으나, 기타 도로는 미국 공로국(BPR)에서 제시한 기본 값을 그대로 국내에 적용함에 따라 교통수요 예측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VDF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검토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통조사자료에 근거한 VDF를 구축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위계의 재분류, 교통조사방법, VDF 추정 방법론, 그리고 새로운 VDF의 검증을 통한 개선사항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새로운 VDF를 전국 지역간 O/D 및 교통분석용 네트워크에 적용한 결과, 적정 오차율 범위 내에 해당하는 링크의 비율이 증가하며, 기종점간 통행시간 및 통행경로 선택이 현실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단속류 구간의 VDF 구축, 도로용량 및 자유통행속도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신선초에서 분리된 flavonoid glycosides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 심재석;김승덕;김태석;김경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8-83
    • /
    • 2005
  • 신선초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신선초를 80% 에탄올 추출하고 추출물에 대한 계통 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의 총 5가 분획으로 나누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의 활성이 가장 높아 ethyl acetate 분획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chloroform : methanol : water의 용매 조건을 점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소분획으로 나누고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소분획에 대해서 acetylation 반응을 실시하고 이를 n-hexane : ethyl acetate : methanol의 용매 조건으로 단일 물질로 분리 한후 deacetylation 반응을 거쳐 최종 두 개의 단일 화합물을 획득했다. 두 개의 단일 화합물에 대한 구조 해석을 기기분석을 통해서 진행 한 결과 이 두 화합물을 각각 isoquercitrin과 hyperoside로 최종 동정하였다. Isoquercitrin과 hyperoside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법, ABTS radical 소거법, OH radical 소거법 및 $H_{2}O_{2}$ 소거법으로 측정한 결과 4가지 assay법에 대해서 저농도에서 고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고, 또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isoquercitrin과 hyperoside 모두 손상된 DNA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isoquercitrin과 hyperoside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과 같은 기본적인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DNA 손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OH radical과 $H_{2}O_{2}$에 대해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경로의 항산화 메커니즘에 작용한다는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유용한 소재로서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jugate Gradient 기법을 이용한 관측교통량 기반 기종점 OD행렬 추정 모형 개발 (The Estimation Model of an Origin-Destination Matrix from Traffic Counts Using a Conjugate Gradient Method)

  • 이헌주;이승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62
    • /
    • 2004
  • 전통적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방법은 가구통행조사나 노측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표본조사한 자료의 전수화 과정을 거쳐 기종점 OD행렬표를 작성한다. 조사 과정에서 조사표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간과 비용 및 조사오차가 수반되는 문제로 인하여 많은 제약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관측교통량을 이용하여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기법을 연구해 오고 있다 관측교통량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는 기법 중 gradient 모형은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기법중의 하나다. 그러나 gradient모형을 이용하여 관측교통량으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한 결과 관측교통량과 추정교통량의 오차는 최소화시키면서 기종점 OD행렬을 추정하지만 사전(prior)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가 많다. 즉 사전 기종점 OD행렬의 통행특성을 변경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정된 기종점 OD행렬은 사전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를 반영하면서 관측교통량과 추정교통량의 오차를 최소화시켜주도록 하는 기종점 OD행렬 추정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Conjugate Gradient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제 분석가로망에서 모형의 일관성(일치성)을 분석하였다. 일관성 분석결과 모형의 상위수준(upper level)과 하위수준(lower level)이 내부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측링크교통량에 관측오차를 반영하여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관측교통량과 추정(배정)교통량의 오차는 허용오차 범위내에서 추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추정된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는 사전 기종점 OD행렬의 OD행렬 구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철도화물활성화의 정책수립필요성의 배경에는 철도화물수송이 효율성과 환경친화성, 높은 안전성 등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때문이다. 철도화물운송회사도 현재의 수송기능과 함께 포워더로서의 기능을 가져야 할 것이며, 운임인하노력과 속도향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야 할 것이다.적 대안경로 집합을 역추적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추가 설명하였다.을 받지 않은 시추공의 자료는 사용하였다 이러한 온천 주변 지역이라 하더라도 실제는 온천의 pumping 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주변 일대의 온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지열류량 값을 보인다. 한편 한반도 남동부 일대는 이번 추가된 자료에 의해 새로운 지열류량 분포 변화가 나타났다 강원 북부 오색온천지역 부근에서 높은 지열류량 분포를 보이며 또한 우리나라 대단층 중의 하나인 양산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한 밀양단층, 모량단층, 동래단층 등 주변부로 NNE-SSW 방향의 지열류량 이상대가 발달한다. 이것으로 볼 때 지열류량은 지질구조와 무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층대 주변은 지열수의 순환이 깊은 심도까지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류현상으로 지표부근까지 높은 지온 전달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99m}Tc$-transierrin이 감염 병소의 영상진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리를 정량화 하였다. 특히 선조체에서의 도파민 유리에 의한 수용체 결합능의

구륜 이동 로보트의 동적 모델링과 관성측정장치를 이용한 경로추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namic Modeling and Path Tracking Algorithms of Wheeled Mobile Robot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 김기열;임호;박종국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5S권10호
    • /
    • pp.64-76
    • /
    • 1998
  • 본 논문에서 4-구륜 2-자유도 이동 로보트의 체계적인 동적 모델링과 경로설계 및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시간에서 이동 로보트의 위치 측정을 위해 관성측정장치중의 3가지 요소를 이용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지구의 회전속도 및 중력가속도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초기 오차를 가진다. 그래서 초기오차 모델을 유도하고, 실제 데이터와 유도된 모델의 추정 데이터의 확률적 특성을 분석 ${\cdot}$ 비교하여 적합도를 판정하여 사용한다. 관성측정장치의 동작특성은 오차모델과 칼만 필터와 연계된 경우와 배제된 일반적인 경우와 비교한다. 모의실험 결과들은 제안된 경로설계 및 추적 알고리즘이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유용함을 입증한다.

  • PDF

복합 통행행태모형을 이용한 동적 기.종점 통행량 추정 (Dynamic OD Estimation with Hybrid Discrete Choice of Traveler Behavior in Transportation Network)

  • 김채만;조중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102
    • /
    • 2006
  • 정적 기 종점 통행량을 가정함으로써 갖는 동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현실 모사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적 기 종점 통행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적 기 종점 통행량 추정은 통행자의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 선택 행태모형을 결합한 복합통행행태 수요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요 시뮬레이션 모형과 기 개발된 공급 시뮬레이션 모형인 LiCROSiM-P를 결합하여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였다. 단속류/연속류가 공존하는 다경로 가로망에서 출발시간/수단선택/통행경로 선택모형은 AGtt(기 종점통행시간의 시뮬레이션 시간과 기대치의 차이 백분율)는 수렴하지 않고, 평균스케줄지체는 안정 상태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은 교통시설공급 변화와 통행자의 속성 변화에 따른 기 종점 통행량 변화 추정과 효과분석이 가능함을 모형의 적용을 통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통합시뮬레이션 모형은 수요관리정책, 교통시설변화, 교통정보제공 등이 가져오는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변화를 반영한 시스템의 효과분석이 가능하다

TLC 상 유도체화 반응을 이용한 아민 계 화합물의 Screening 방법 (Screening method for amines by derivatization reaction on TLC)

  • 최성운;이혜인;성낙도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28-234
    • /
    • 2013
  • 국내에서 불법 유통 되거나 남용되고 있는 methamphetamine은 아민을 함유한 불법약물로서 그에 대한 신속하고 용이한 동정 및 정량적인 분석 방법은 불법약물 검사의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새로운 screening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methamphetam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3종의 유기 화합물을 silica gel ($SiO_2$) TLC상에서 N-(9-Fluorenylmethoxycarbonyloxy)succinimide (FMOC-NHS)와 반응을 시켰다. TLC상 반응 생성물을 일반 유기합성 경로로 합성한 대조물질과 비교 확인한 다음, 이 방법의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유도체화 시약으로 사용한 FMOC-NHS는 TLC상에서 1차 및 2차 아민과 반응하여 UV-active한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2D TLC 실험에서는 0.045-0.01 mg/mL ($2{\mu}L$ per spot), 그리고 1D co-spot TLC 실험에서 0.002-0.007 mg/mL ($2{\mu}L$ per spot)의 검출한계는 유도체화 시약의 농도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