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3}P_{J}$)

검색결과 817건 처리시간 0.027초

Surface Protection Obtained by Anodic Oxidation of New Ti-Ta-Zr Alloy

  • Vasilescu, C.;Drob, S.I.;Calderon Moreno, J.M.;Drob, P.;Popa, M.;Vasilescu, E.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5-53
    • /
    • 2018
  • A new 80Ti-15Ta-5Zr wt% alloy surface was protected by anodic oxidation in phosphoric acid solution. The protective oxide layer (TiO2, ZrO2 and Ta suboxides and thickness of 15.5 nm) incorporated $PO{_4}^{3-}$ ions from the solution, according to high resolution XPS spectra. The AFM analysis determined a high roughness with SEM detected pores (20 - 50 nm). The electrochemical studies of bare and anodically oxidized Ti-15Ta-5Zr alloy in Carter-Brugirard saliva of different pH values and saliva with 0.05M NaF, pointed to a nobler surface for the protected alloy, with a thicker electrodeposited oxide layer acting as a barrier against aggressive ions. The oxidized alloy significantly decreased corrosion current densities and total quantity of ions released into the oral environment in comparison with the bare one, at higher polarisation resistance and protective capacity of the electrodeposited layer. The impedance data revealed a bi-layered oxidation film formed by: a dense, compact, barrier layer in contact with the metallic substrate, decreasing the potential gradient across the metal/oxide layer/solution interface, reducing the anodic dissolution and a more permissive, porous layer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The open circuit potential for protected alloy shifted to nobler values, with thickening of the oxidation film signifying long-term protection.

Influence of the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ium panacihumi on aluminum resistance in Panax ginseng

  • Kang, Jong-Pyo;Huo, Yue;Yang, Dong-Uk;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442-449
    • /
    • 2021
  • Background: Panax ginseng is an important crop in Asian countries given its pharmaceutical uses. It is usually harvested after 4-6 years of cultivation. However, various abiotic stresses have led to its quality reduction. One of the stress causes is high content of heavy metal in ginseng cultivation area.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can play a role in healthy growth of plants. It has been considered as a new trend for supporting the growth of many crops in heavy metal occupied areas, such as Aluminum (Al). Methods: In vitro screening of the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ies of five tested strains were detected. Surface-disinfected 2-year-old ginseng seedlings were dipping in Rhizobium panacihumi DCY116T suspensions for 15 min and cultured in pots for investigating Al resistance of P. ginseng. The harvesting was carried out 10 days after Al treatment. We then examined H2O2, proline, total soluble sugar, and total phenolic contents. We also checked the expressions of related genes (PgCAT, PgAPX, and PgP5CS) of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response and 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method. Results: Among five tested strains isolated from ginseng-cultivated soil, R. panacihumi DCY116T was chosen as the potential PGPR candidate for further study. Ginseng seedlings treated with R. panacihumi DCY116T produced higher biomass, proline, total phenolic, total soluble sugar contents, and related gene expressions but decreased H2O2 level than nonbacterized Al-stressed seedlings. Conclusion: R. panacihumi DCY116T can be used as potential PGPR and "plant strengthener" for future cultivation of ginseng or other crops/plants that are grown in regions with heavy metal exposure.

Xanthophylls의 급여가 계란 노른자의 착색 및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Xanthophylls Supplementation on Pigment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the Egg Yolks)

  • 민병진;이규호;이성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47-856
    • /
    • 2003
  • 크산토필의 첨가 급여가 계란의 난황에서 착색과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료 속에 어떠한 색소도 함유되지 않은 것을 대조구(기본 사료)로 하고, 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이 들어있어 자연 크산토필이 함유된 일반 시판사료를 시험구의 사료로 이용하였다. 50 주령의 갈색 산란계를 이용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구로는 T1(일반 시판사료 + lutein 10ppm + capsanthin 10ppm), T2(T1 + capsanthin 65ppm), T3 (T1 + canthaxanthin 65ppm), T4(T1 + capsanthin 10ppm + canthaxanthin 65ppm), T5(T1 + capsanthin 65ppm + canthaxanthin 10ppm)로 나누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난황의 pH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착색 실험으로 37$^{\circ}C$에서 48시간까지 저장하는 동안 T2~T5 구의 명도(L$^{*}$)가 대조구 또는 T1에 비해 낮았고, 적색도(a$^{*}$)는 더 높았다(P〈0.05). 또한 T2~T5 구의 황색도(b$^{*}$)는 T1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리포좀 모델시스템에서 산화기간 동안 T1~T5 구가 대조구에 비해 TBARS(O.D.)가 더 낮았고, 급여농도가 높은 T2~T5 구가 T1보다 더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에 lutein, capsanthin, canthaxanthin을 혼합 급여하면 종류와 농도에 따라 난황의 착색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난황의 산화도 지연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Impact of Feeding Diets of High or Low Energy Concentration on Carcass Measurements and the Weight of Primal and Subprimal Lean Cuts

  • Schinckel, A.P.;Einstein, M.E.;Jungst, S.;Matthews, J.O.;Fields, B.;Booher, C.;Dreadin, T.;Fralick, C.;Tabor, S.;Sosnicki, A.;Wilson, E.;Boyd, R.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531-540
    • /
    • 2012
  • Pigs from four sire lines were allocated to a series of low energy (LE, 3.15 to 3.21 Mcal ME/kg) corn-soybean meal-based diets with 16% wheat midds or high energy diets (HE, 3.41 to 3.45 Mcal ME/kg) with 4.5 to 4.95% choice white grease. All diets contained 6% DDGS. The HE and LE diets of each of the four phases were formulated to have equal lysine:Mcal ME ratios. Barrows (N = 2,178) and gilts (N = 2,274) were fed either high energy (HE) or low energy (LE) diets from 27 kg BW to target BWs of 118, 127, 131.5 and 140.6 kg. Carcass primal and subprimal cut weights were collected. The cut weights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fitted to allometric functions (Y = A $CW^B$) of carcass weight. The significance of diet, sex or sire line with A and B was evaluated by linearizing the equations by log to log transformation. The effect of diet on A and B did not interact with sex or sire line. Thus, the final model was cut weight = (1+$b_D$(Diet)) A($CW^B$) where Diet = -0.5 for the LE and 0.5 for HE diets and A and B are sire line-sex specific parameters. Diet had no affect on loin, Boston butt, picnic, baby back rib, or sparerib weights (p>0.10, $b_D$ = -0.003, -0.0029, 0.0002, 0.0047, -0.0025, respectively). Diet affected ham weight (bD = -0.0046, p = 0.01), belly weight (bD = 0.0188, p = 0.001) three-muscle ham weight ($b_D$ = -0.014, p = 0.001), boneless loin weight (bD = -0.010, p = 0.001), tenderloin weight ($b_D$ = -0.023, p = 0.001), sirloin weight ($b_D$ = -0.009, p = 0.034), and fat-free lean mass ($b_D$ = -0.0145, p = 0.001). Overall, feeding the LE diets had little impact on primal cut weight except to decrease belly weight. Feeding LE diets increased the weight of lean trimmed cuts by 1 to 2 percent at the same carcass weight.

제강 슬래그 및 분진에 의한 폐수 중 중금속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Using Steelmaking Slag and Sludge)

  • 현재혁;김민길;남인영;백정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1호
    • /
    • pp.11-17
    • /
    • 1999
  • 본 연구는 폐기물로 발생되는 제강 슬래그와 제강분진을 수처리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 중금속 제거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초기농도(5, 25, 50 mg/L), pH(3, 7, 11), 온도 (25, 37, $50^{\circ}C$)를 달리하여 회분식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또한 EDTA 착물형성의 유무에 따른 제거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pH 7과 pH 11에서는 흡착 기작 뿐만 아니라 폐기물 성분중 CaO의 수화.분해작용으로 인한 수산화물 침전이 유도되어 90%이상의 제거능을 보여 주었다. pH3에서는 20~30%의 제거율을 보여주고 있다. 제철산업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와 제강 분진을 대상으로 이들이 폐기물 매립장의 점토차수재의 보조재료로 활용될 때 단순 침출수 이동 억제 기능외에 침출수내 중금속의 제거효과도 기대될 뿐 아니라 경제적/기술적 문제점이 없어 활용가치가 향상될것으로 기대된다.

  • PDF

더덕으로부터 면역세포 활성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Active Components on Immunocytes from Codonopsis Lanceolatae)

  • 서정숙;은재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6호
    • /
    • pp.1076-108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solate an active component on immunoytes from 70% MeOH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e Radix(CLE). CLE was fractionated successively with hexane, methylene chloride, n-butyl alcohol and water, and then the water fraction was separated with molecularporous membrane tubing(m.w. 3,500). Each fraction(50mg/kg) was administered p.o. once a day for 7 days in BALB/c mice respectively. None of these fractions affected the apoptosis and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in thymocyte. Hexane and methylene chloride fractions decreased CD4$^{[-10]}$ CD8$^{+}$ single-positive cells, and the water fraction enhanced CD4$^{+}$ CD8$^{[-10]}$ single-positive cells in thymocyte.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s was decreased by the fraction hexane, but was enhanced by the water fraction. 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butyl alcohol fractions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water fraction. Hexane and butyl alcohol fraction suppressed the phagocytic activity, but water fraction enhanced it. The components(m.w. 3,500 above) separated from the water fraction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 the population of CD4$^{+}$ CDB$^{[-10]}$ single-positive cells, and phagocytic activity in macroph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imulative components of proliferation, TH population and phagorytc activity is in the water fraction, and the molecular weight is 3,500 above. (Korean J Nutrition 31(6) : 1076~1081, 1998) 1998)

  • PDF

후속 열처리에 따른 Cu 박막과 ALD Ru 확산방지층의 계면접착에너지 평가 (Effect of Post-annealing on the Interfacial adhesion Energy of Cu thin Film and ALD Ru Diffusion Barrier Layer)

  • 정민수;이현철;배병현;손기락;김가희;이승준;김수현;박영배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12
    • /
    • 2018
  • 차세대 초미세 Cu 배선 적용을 위한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이용하여 증착된 Ru확산 방지층과 Cu 박막 사이의 계면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Ru 공정온도 및 $200^{\circ}C$ 후속 열처리 시간에 따라 4점굽힘시험으로 정량적인 계면접착에너지를 평가하였고, 박리계면을 분석하였다. 225, 270, $310^{\circ}C$ 세 가지 ALD Ru 공정온도에 따른 계면접착에너지는 각각 8.55, 9.37, $8.96J/m^2$로 유사한 값을 보였는데, 이는 증착온도 변화에 따라 Ru 결정립 크기 등 미세조직 및 비저항의 차이가 적어서, 계면 특성도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25^{\circ}C$의 공정온도에서 증착된 Ru 박막의 계면접착에너지는 $200^{\circ}C$ 후속 열처리시 250시간까지는 $7.59J/m^2$ 이상으로 유지되었으나, 500시간 후에는 $1.40J/m^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박리계면에 대한 X-선 광전자 분광기 분석 결과, 500시간 후 Cu 계면 산화로 인하여 계면접착 에너지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ALD Ru 박막은 계면신뢰성이 양호한 차세대 Cu 배선용 확산방지층 후보가 된다고 판단된다.

인삼(人蔘)의 부위별(部位別) 및 연근별(年根別) 성분함량(成分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Chemical components of Ginseng Root's Portion(Panax ginseng C.A.Meyer))

  • 이종화;남기열;최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3-268
    • /
    • 1978
  • 원료삼(原料蔘) 종류(種類)에 따른 각(各) 인삼제제품(人蔘製劑品)의 성분(成分) 함량(含量)과 품질관리(品質管理)에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인삼(人蔘) 부위별(部位別) 및 연근(年根)에 따른 기초성분(基礎成分)과 배당체(配糖體) 성분(成分) 함량(含量) 및 무기성분(無機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삼(人蔘) 부위별(部位別) 일반성분(一般成分) 비교(比較) 결과(結果) 회분(灰分), 조섬유(粗纖維)는 뇌두(腦頭), 표피(表皮), 세미(細尾)에 많았고 조단백(粗蛋白)과 전당(全糖)은 동체(胴體)(중심부(中心部))와 지근(枝根)에 많았다. 2. 연근별(年根別) 인삼(人蔘)의 일반성분(一般成分)에 있어서 회분(灰分)은 저연근(低年根)인 2,3연근(年根)에 많은 편(便)이고 조섬유(粗纖維), 전당(全糖)은 고연근(高年根)에 많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조지방(粗脂肪), 조단백(粗蛋白)은 연근별(年根別)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3. 인삼부위별(人蔘部位別) alcohol extract 및 saponin 함량(含量)은 표피(表皮), 세미(細尾) 뇌두부위(腦頭部位)가 동체(胴體)(주근부(主根部))와 지근(支根)에 비(比)하여 많았다. 부위별(部位別) 인삼(人蔘) saponin fraction 비교결과(比較結果) 각(各) 부위별(部位別)로 saponin 개개(箇箇) 함유비율(含有比率)이 차이(差異)가 있었는데 동체(胴體)와 지근(支根)은 뇌두(腦頭), 표피(表皮), 세미(細尾)에 비(比)하여Paxacatriol/Panaxadiol의 비율(比率)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높았다. 4. 연근별(年根別) alcohol extract 수율(收率)은 3,4연근(年根)에 saponin 5,6은 연근(年根)에 다소(多少)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5. 추출(抽出) 용매(溶媒)에 따른 extract 수율(收率)은 물 추출구(抽出區)가 높고 alcohol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alcohol추출(抽出) 농도(濃度)에 따른 extract는 성분함량(成分含量)과 물리성(物理性)도 차이(差異)가 많았다. 6. 무기성분중(無記性分中) T-N, $P_2O_5,\;K_2O$는 저연근(低年根)인 $2{\sim}3$연근(年根)에 $SiO_2,\;CaO$는 고연근(高年根)에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기타(其他) MgO, Fe, Zn, Na등(等)은 연근별(年根別)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유산균의 단독 및 혼합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or Mixed Supplements of Plant Extract, Fermented Medicinal Plants and Lactobacillus on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김동욱;김상호;유동조;강근호;김지혁;강환구;장병귀;나재천;서옥석;장인석;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7-196
    • /
    • 2007
  • 본 연구는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및 유산균을 육계에 단독 또는 혼합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특성, 맹장 미생물 균총 및 소장 내 소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이들의 성장 촉진용 항생제(AGP) 대체 가능성 및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strain) 840수를 공시하여 7처리 4반복 반복당 3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구는 항생제 무첨가구(NC)와 항생제 첨가구(PC)를 대조구로 하였으며, 시험 사료에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및 유산균을 0.1% 수준으로 첨가한 처리구(PE, FMP 및 LB)와 유산균 0.1%를 혼합한 시험사료에 식물 추출물 및 한방 발효물을 0.1%씩 첨가한 처리구(PE+LB 및 FMP+LB)를 두었다. 5주 종료 체중 및 증체량은 무항생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거나(P<0.05)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요구율에 있어서도 무항생제 대조구(NC)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개선되었다(P<0.05). 그러나 식물 추출물 0.1% 첨가구(PE)을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는 항생제 대조구(PC)와 비교해서 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물 추출물 및 한방 발효물과 유산균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Albumin : globulin 비율은 대조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백혈구 조성에 있어서 스트레스 지표인 림프구/호중구 비율이 역시 무항생제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아졌다(P<0.05). 맹장 내 총 균수 및 Lactobacillus 수에 있어서 처리구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및 Salmonella의 수는 한방 발효물 0.1% 및 유산균 0.1% 단독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소장 내 소화 효소 활성은 sucrase를 제외한 다른 소화 효소의 활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식물 추출물 및 유산균 급여는 육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혈액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적고발생답(赤枯發生畓)에 대(對)한 함아연용성인비(含亞鉛熔成燐肥) 및 복비(複肥)의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Zn-contained Granular Fused Phosphate and Compound Fertilizers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in the "Akagare" Paddy Field)

  • 조성진;조동삼;목창수;이주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4
    • /
    • 1978
  • 아연결핍(亞鉛欠乏)에 의한 적고발생답(赤枯發生畓)에 대(對)하여 함아연입상용인(含亞鉛粒狀熔燐)과 함아연복합비료(含亞鉛複合肥料)를 시용(施用)하여 효과를 살펴본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적고발생답토양(赤枯發生畓土壤)의 석회함량(石灰含量)은 10.5me/100g로서 많았고, pH는 7.03으로서 중성(中性)이었으며, 유효아연은 평균(平均) 3.35ppm, 유효규산은 67.7ppm로서 매우 낮았다. 2. 아연무처리구(亞鉛無處理區)에서의 수도체중(水稻體中)의 아연함량(亞鉛含量)은 이앙후(移秧後) 20일(日)과 출수기(出穗期)에 있어서는 22~23ppm로서 아연흠핍증(亞鉛欠乏症) 발생한계농도(發生限界濃度)인 20ppm를 약간(若干) 상회(上廻)하고 있으나 수확기(收穫期)에는 15ppm로서 훨씬 낮은 값을 보였다. 3. 수도체중(水稻體中)의 N/Zn와 $P_2O_5/Zn$의 비(比)는 아연시용량(亞鉛施用量)이 많을수록 아연무시용구(亞鉛無施用區)($G_0$, $C_0$)에 비(比)해서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4. 초장(草長)과 분벽경수(分蘗莖數)는 아연시용량(亞鉛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이었고 출수(出穗)는 아연시용구(亞鉛施用區)가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해서 약(約 )2주일(週日) 빨랐다. 5. 아연시용구(亞鉛施用區)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比)해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제형질(諸形質)을 크게 증대(增大)시켰으며, 특(特)히 정조수량(精粗收量)과 현미수량(玄米收量)에 있어서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를 보였으나 아연시용(亞鉛施用) 구간(區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