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demand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2초

패밀리 레스토랑의 영양표시제도 시행에 따른 대학생들의 영양정보에 관한 인식 연구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Nutr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Food & Nutrition Labeling Systems in Family Restaurant)

  • 양정화;허영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2068-2075
    • /
    • 2013
  • 본 연구에서 외식 시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이용실태, 인지여부 및 활용도를 조사하고 이들 요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로 패밀리 레스토랑의 자율영양표시제도가 활성화되기 전인 2006년과 활성화된 2011년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2006년 110명, 2011년 176명으로 총 286명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남자는 108명, 여자 178명으로 연령은 20살 전후였다. 건강에 대한 인식은 2006년 63.6%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하였고 6.4%는 '건강한 편'이라고 답하였으며, 2011년 조사결과 54%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하였고 13.6%가 '건강한 편'이라고 답하였다. 체중 관리에 대한 관심도는 2006년 10%, 2011년 9.1%가 '매우 관심이 많다'라고 하였다. 하루 평균 외식 횟수는 2006년 82.7%, 2011년 87.4%가 하루 1회 이상 외식을 한다고 하였다.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2006년에는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시 75.5%가 주변의 권유로 방문하였으나 2011년 57.4%로 감소하였으며, 과거 경험에 의해 방문하는 경우는 12.7%에서 23.9%로 약 2배 증가하였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비율이 6.4%에서 15.3%로 2배이상 증가하였다. 매장에서 보내는 시간을 살펴보면 2006년 2시간 이상 시간을 보내는 비율이 17.3%인 반면 2011년에는 35.8%로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머무는 시간이 더 길어졌으며, 외식비용과 패밀리 레스토랑 1회 이용 시 1인당 평균 외식비용도 증가하였다. 메뉴 이용 시 관심도를 살펴보면 맛, 영양, 신메뉴, 외형에 관한 관심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가격에 있어서는 2006년 $3.94{\pm}0.71$, 2011년 $4.10{\pm}0.66$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메뉴 선택 시 가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충분한 영양정보 제공 여부에 대해 2006년 $2.52{\pm}0.93$, 2011년 $3.30{\pm}0.7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패밀리 레스토랑의 메뉴판에 제시된 영양정보 활용에 관한 질문에 2006년에 비해 2011년에 활용도가 증가했다고 응답하였다. 맛이 좋은 음식이 영양가가 풍부하다고 생각하느냐는 문항 또한 2006년 $2.45{\pm}0.82$, 2011년 $3.51{\pm}0.91$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메뉴 영양표시 활용도에 관한 인식에서는 2006년, 2011년 각각 26.1%, 23.9%가 메뉴의 영양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고려하는 영양성분표시로는 총열량을 전후 각각 39.4%, 35.6%로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자 중 각각 68.2%, 59.7%가 영양성분 이외의 다른 요인을 더 중요시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영양정보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길 바라냐는 질문에 2006년, 2011년 각각 82.4%, 86.9%가 지속되길 바란다고 답했으며, 지속적으로 제공되길 바라는 영양성분표시로는 총 열량이 2006년, 2011년 각각 46.6%, 34.2%로 가장 높았고 나트륨의 경우 2006년 6.8%에서 2011년 17.3%로 요구도가 가장 증가하였다. 메뉴 영양표시의 만족도는 현재의 영양표시제를 이해하느냐는 질문에 2006년엔 $2.87{\pm}0.99$이며, 2011년엔 $3.35{\pm}0.84$로 영양표시 이해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영양성분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2006년에는 $3.68{\pm}0.9$, 2011년도엔 $4.32{\pm}0.61$로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유의적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양정보 요구에 대한 충족도는 2006년 $2.85{\pm}0.66$, 2011년 $3.06{\pm}0.65$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영양표시에 대한 이해도, 필요도, 유용도, 충족도 간의 상관계수는 이해도와 필요도의 상관계수는 0.513, 이해도와 유용도의 상관계수는 0.420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도와 유용도 사이의 상관계수는 0.641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해도와 만족도의 상관계수는 0.190, 필요도와 만족도의 상관계수는 0.173으로 상관이 매우 낮았으며, 유용도와 만족도의 상관계수는 0.335로 상관이 낮은 편이었다. 연구 결과, 패밀리 레스토랑의 자율영양표시제도가 적극적으로 시행된 후에도 메뉴 선택 시 영양적인 면에 대한 고려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2006년에 비해 외식업체에서 충분한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인식 또한 지속적으로 영양정보가 제공되길 바라고 있으며 특히 만성질환과 관련이 깊은 열량, 지방, 나트륨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양정보를 활용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자율영양표시제도가 확대되어야 하며 영양권장량에 대한 비율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지속적인 건강식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이에 대한 필요도를 증가시키고 유용도도 함께 증가시키므로 식생활이 형성되는 시기부터 영양표시를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향후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영양표시제도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매개역할 중심으로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in hospital settings: Importance of doctor's awareness regard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 as mediating variable)

  • 엄미향;박유경;송윤미;이송미;류은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519-529
    • /
    • 2017
  •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이 연구의 결과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가지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가설 1.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2.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3.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4.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5.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 이다. 가설검증 결과와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설 1~5까지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1)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 실행 횟수에 상관없이 의사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를 인식해야만 임상영양사 요구도를 인식한다는 것이며, 2)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불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프로세스 역할을 수행하지만,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높이지만, 단순히 임상영양서비스의 양적 횟수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질적 효과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의사들에게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 임상영양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영양학 분야의 유사연구에서 사회과학 분야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생육시기별 양파 전초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비교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whole onion (Allium cepa L.) by growth stage)

  • 이선경;이유석;지수현;김표현;김주현;김성준;마경철;이진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33-846
    • /
    • 2023
  • 양파는 한국인의 식생활에 필수적인 채소로 항산화작용, 심혈관계 질환 예방, 항혈전, 혈당 저하, 항염과 항알레르기등의 다양한 유용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생산-수요의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가 매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이용성을 극대화하고자, 양파 전초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양파의 사용 목적에 따른 수확시기 확립을 위해 생육시기별 영양성분, 기능성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을 제외하고 6월 수확시기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전초가 구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리당은 glucose > fructose > sucr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6월 수확시기에 증가하여 구근이 전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무기성분은 P, Cu를 제외하고 구근보다 전초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은 malic acid > citric acid > oxalic acid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초가 구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생장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6월 수확한 구근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spiraeoside > quercetin > isorhamnetin로 구성되어 있었고, isorhamnetin을 제외한 두 성분은 전초가 구근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총엽록소 함량은 생장할수록 감소하였지만 전초가 구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총 thiosulfinate 함량은 생장할수록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여 초기 전초와 구근은 비슷한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역시 전초가 구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양파의 품종별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품종에서 25주에 수확한 전초가 6월 수확한 구근보다 값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리당과 일부 무기성분을 제외한 영양성분과 기능성성분, 항산화 활성은 6월 수확한 구근보다 이전에 수확한 전초에서 그 함량이 높아, 6월 수확기 이전 시기의 양파 전초는 식품으로서 활용가치가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21주 이전의 전초는 영양성분이 대파보다 뛰어났으며, 23주 이후의 전초는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구근과 대파보다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파 전초는 영양성분 및 녹색이 목적인 가공 제품에 이용하기 위해 21주 이전에 수확하고, 기능성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목적인 가공 제품에 이용하기 위해 23주 이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급식효과(學校給食效果)와 제도개선(制度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Improvement of School Lunch Programs and Its Health and Education Effect in Korea)

  • 박희용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6-117
    • /
    • 1988
  • The purpose of school lunch service programs (SLPs) is to provide school children with nutritious meals each day, to assist them in improving their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to make them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needed for healthy daily living throughout their lives with sound nutritional habits, and further, to enhance the national health status as well as the individual.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and promotional plans in Korea's SLSPs to improve the nation's health statu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progression of the SLSPs can be devided into four major periods: Relief (1953-1972), Self-supportive (1973-1977), System-establishment (1973-1983), System-development(1984- ). 2) As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SLSPs in Korea, many positive effects have been found in school education, notably in the field of physical growth, social development and personality cultivation. 3) This study deals with a more detailed assessment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l habits in the family. Although it is limited and not yet complete, the program implementation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food-intake habits, understanding of food, and manners, and increased sanitary consciousness. It has also affected of parent's concerns and attitudes towards the improvement of daily meals as well as national eating patterns, and eventually provided motivation for increased farm production of nutritious food stuffs and reasonable food consumption. 4) The SLSPs does have its stare of problem such as an unsatisfactory budget,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by school personnel and parents.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SLSPs should be carried out effectively for better health, and especially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Finally, the problems and promotive Plans of the SLSPs can be approached by aspects of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operational systems. These system have to coordinate with relevant authorities to expa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SLSPs. The eventual objective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and means for mobilizing every available element in the effort to attain the goals of educating and training healthy and competent personnel manpower, stabilizing the demand and supply of food and the ensuring adequate coordination of national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 PDF

구강 및 전신 건강 기반 고령자용 식품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서울 일부 지역 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Demand for Elderly Food Development: Relation to Oral and Overall Health -Focused on the Elderly Who Are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 이금룡;한정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0-378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식 개발에 앞서 노인들의 구강 및 전신 건강 상태에 기반을 둔 노인식 개발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상관관계를 통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제품 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본인의 전신건강에 관한 평가로는 보통이다(35.2%), 건강하다(30.7%), 건강하지 않다(19.9%), 매우 건강하지 않다(8.5%), 매우 건강하다(5.7%)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구강건강에 관해서는 보통이다(31%), 건강하지 않다(28.2%), 대체로 건강하다(17.8%), 매우 건강하지 않다(17.8%), 매우 건강하다(5.2%)의 순으로 대답하여 구강건강과 전신건강 간에 유의적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노인들이 좋아하는 맛은 담백한 맛(51.5%), 짭짤한 맛(25.7%), 달콤한 맛(12.0%), 새콤한 맛(6.6%)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죽이나 국 종류 개발 시 원하는 국물 맛으로는 남성은 멸치 국물과 된장 국물, 여성은 멸치 국물, 된장 국물, 소고기 국물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반찬류로 남성은 생선류, 고기류, 나물류의 순으로, 여성은 나물류, 생선류, 김치류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남녀 고령자 모두가 개발을 원하는 간식 품목은 빵 떡류와 음료류였으며 대체로 자신의 저작능력을 고려하여 식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인들은 본인들의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증상 완화 및 회복을 위한 질병맞춤형 식이의 개발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품 구입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영양균형이었고 고령자용 식품의 적정구입가는 3,000원 미만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용 식품을 개발할 때 고령자들의 저작능력을 고려하여 물성을 다양화한 생선류와 나물류의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고혈압과 당뇨를 앓고 있는 고령자의 비율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물성이 조절된 저염 및 항당뇨식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산모(産母)와 태아(胎兒)의 혈청 Cholesterol 및 Lipoprotein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olesterol and Lipoprotein in the Maternal and Fetal Serum)

  • 이귀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2호
    • /
    • pp.75-82
    • /
    • 1972
  • Fifteen cases of primiparas and their offsprings (fetal cord)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heir serum 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by means of Liberman Buchard reaction. The serum ${\alpha}-and\;{\beta}-lipoprotein$ were analyzed by cellulose acetate electrophoresis, and the serum atherolipid numbers were calculated on the bases of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beta}-/{\alpha}-$ lipoprotein ratio,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1.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are $178.9{\pm}25.3$, $45.1{\pm}12.6$ and $133.7{\pm}20.6\;mg.%$ in the normal control women, $201.5{\pm}29.5,\;58.7{\pm}42.1$ and $157.1{\pm}26.2\;mg.%$ in the maternal blood, showing hypercholesterolemia in the latter as compared to the former. 2. The serum total, free and esterified cholesterol in the cord blood are $94.5{\pm}20.4$, $32.9{\pm}1.5$ and $61.2{\pm}18.9mg.%$, showing hypocholesterolemia as compared to the control women and maternal blood. 3. The serum ${\alpha}-$, $pre-{\beta}$, ${\beta}-lipoprotein$ and chylomicron are $24.2{\pm}4.2$, $17.3{\pm}3.4$, $51.8{\pm}4.8$ and $6.0{\pm}1.6%$ in the normal women, whereas $14.9{\pm}2.1$, $22.2{\pm}5.1$, $58.7{\pm}3.3 and 3.1{\pm}1.2%$ in the maternal serum, $32.4{\pm}8.1$, $28.8{\pm}2.4$, $25.8{\pm}7.0$ and $3.1{\pm}0.9%$ in the cord serum, showing $hyper-{\beta}-lipoproteinemia$ in the former and $hypo-{\beta}-lipoproteinemia$ in the latter. 4. The serum atherolipid number of the normal control women, maternal cord blood are $4.21{\pm}1.24$, $8.02{\pm}1.42$ and $1.12{\pm}0.37$, showing hyperlipemia in the former and hypolipemia in latter. 5. The relative ratio of the serum free and esterified cholestrol of both normal control women and maternal blood is about 1 : 3, while that of the fetal blood about 1 : 2. 6. The relative ratioes of the serum ${\alpha}-and$ ${\beta}-lipoprotein$ in the control women is about 1 : 2, that of materna blood about 1 : 3 and that of the fetal blood about equal magnitude. 7. The serum esterified cholesterol, ${\alpha}-lipoprotein,\;{\beta}-/{\alpha}-lipoprotein$ ratio and atherolipid number fluctuates are proportionally between the maternal and fetal blood, while the serum free, total cholesterol and ${\beta}-lipoprotein$ between the two vary invers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s. 8. It is apparent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fetal nutritional demand for lipids resulted from hypocholesterolemia and hypo ${\beta}-lipoproteinemia$ seems to be met satisfactorily by maternal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 ${\beta}-lipoproteinemia$, which seems to pose a significant maternal-infant nutritional relationship. A brief ciscussion was made on these conciusion in the light of biochemistry and endocrinology.

  • PDF

요양보호사의 구강건강관리실태 및 구강건강관리교육 요구도 조사 (Oral health car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care workers)

  • 김희경;김경미;김선일;김은주;남궁은정;배수명;손정희;신보미;신선정;엄미란;이민선;이혜린;최용금;최진선;류다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1-51
    • /
    • 2019
  • Introduction: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urrent oral health care status and demand of care work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care workers working in 11 nursing homes for older people located in the Chungcheongdo Province. Of those distributed, 2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The demand for an educational course on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Care for the Aged People' had a score of 4.22 points(full marks were 5.0 points), whereas the score for the necessity for control of oral health was 4.29 points. The control of oral health for the aged people suffering dysphagia scored 4.27 points, whereas the control of oral health for older people who have dementia was 4.27 points. The score for a course on the nutritional control for aged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masticating foods was 4.27.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urses and standardized manuals for care workers on aspects of oral health care is necessary.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dental hygienists to educate care workers on oral health.

꿩고기 및 그 가공품(加工品)에 대한 시장성(市場性) 및 경영전략(經營戰略) (An Empirical Study on Pheasant Farm Business Strategies and Marketability of Pheasant Foods)

  • 오홍록;박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7-139
    • /
    • 1991
  •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mmend ways of more efficient pheasant farm business management and promoting the demand of pheasant foods by reviewing the current pheasant farm business management and the general pattern of consumption of pheasant fo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field survey covering 83 pheasant feeders and 283 consumers. 2. Majority of pheasant feeders, 86.8%(n=72), utilized broiler feed for pheasant rearing because of high price of exclusive pheasant feed. 3. In case of producing 1,000 heads of 5 month-old pheasant, the primary production cost per head was roughly calculated at about 5,530 Won. And 40.3% of primary production cost was consisted of feed cost and 12.9% was depreciation cost for facillities including artificial incubator equipments. 4. 81.1%(n=51) of whole surveyed feeders disposed of 1-4 week-old birds directly to the new feeders and 6%(n=6) sold them to the middlemen who were almost pioneering pheasant feeders. 5. 48.9%(n=138) of the surveyed consumer respondents have taken the pheasant foods once and several times, and the others never once. And 50.6%(n=69) of the respondents who had taken the pheasant foods were satisfied with the tastes. 6. The surveyed consumers were asked whether they knew the nutritional value of pheasant foods and 47.3(n=136) recognized it positively and 37.5%(n=106) negatively. 7. To increase the pheasant farm income and promote the demand of pheasant foods. followings are recommended. - Production cost should be reduced by cooperative utilization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t farm level, and exclusive pheasant feed of good qu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supplied to the feeders at a low price. - Pheasant marketing and pricing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consumers from price disorder of retail shop including pheasant food reataurants and to popularize the pheasant foods. - Various type of menu of pheasant foods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to satisfy consumers in tastes but also to solve the seasonality of pheasant supply. But it is preferable that this action is led by pheasant feeders and their cooperative organization, espectially through vertical intergration system owned by pheasant feeders. - Generic, pioneering advertisement and promo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promote primary demend of pheasant foods. It would be preferable that these primary demend advertising and promoting activities shuld be sponsored by pheasant feeders and government together. And their activities should be supported by institutional regulation.

  • PDF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rends for beef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A review

  • Drouillard, James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7호
    • /
    • pp.1007-1016
    • /
    • 2018
  • USA beef production is characterized by a diversity of climates, environmental conditions, animal phenotypes, management systems, and a multiplicity of nutritional inputs. The USA beef herd consists of more than 80 breeds of cattle and crosses thereof, and the industry is divided into distinct, but ofttimes overlapping sectors, including seedstock production, cow-calf production, stocker/backgrounding, and feedlot. Exception for male dairy calves, production is predominantly pastoral-based, with young stock spending relatively brief portions of their life in feedlots. The beef industry is very technology driven, utilizing reproductive management strategies, genetic improvement technologies, exogenous growth promoting compounds, vaccines, antibiotics, and feed processing strategies, focusing on improvements in efficiency and cost of production. Young steers and heifers are grain-based diets fed for an average of 5 months, mostly in feedlots of 1,000 head capacity or more, and typically are slaughtered at 15 to 28 months of age to produce tender, well-marbled beef. Per capita beef consumption is nearly 26 kg annually, over half of which is consumed in the form of ground products. Beef exports, which are increasingly important, consist primarily of high value cuts and variety meats, depending on destination. In recent years, adverse climatic conditions (i.e., draught), a shrinking agricultural workforce, emergence of food-borne pathogens, concerns over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imal welfare/well-being, environmental impact, consumer perceptions of healthfulness of beef, consumer perceptions of food animal production practices, and alternative uses of traditional feed grain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with respect to their impact on both beef production and demand for beef products. Similarly, changing consumer demographics and globalization of beef markets have dictated changes in the types of products demanded by consumers of USA beef,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 industry is highly adaptive, however, and responds quickly to evolving economic signals.

Biomass Production Potential of Chlorella vulgaris Under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and Light Intensities

  • Lee, Chang-Min;Kim, Mi-Jeong;Sanjay, Kumar;Kwag, Jung-Hoon;Ra, Chang-Six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261-268
    • /
    • 2011
  •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crops (soybean and corn) for biofuel production has increased the focus of the animal nutritionists to look for alternative feeds, which are economic and environmental friendly. To identify microalgae as suitable candidate as an alternative feed, growth response of Chlorella vulgaris was studied under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0.07, 1.4, 3.0 and 5.0%) and photon densities (39.19, 72.97, 105.41, 116.22, 135.14, $175.68\;{\mu}mol/m^2/s$) by employing a photo-bioreactor. Swine wastewater was also investigated as nutritional source to economize the biomass produ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biomass production was found to be at 3.0% $CO_2$ compared to other $CO_2$ concentrations. However, no difference in biomass production was found at $105.41\;{\mu}mol/m^2/s$ and above photon densities with 12 h of photoperiodicity. It was observed that C. vulgaris could easily grow in 200 times diluted swine wastewater and growth was found to be similar with that of artificial medium. Provided the conducive conditions for optimal growth, it has also the potentiality of depleting ammonia nitrogen ($NH_4$-N) and orthophosphate ($PO_4^{3-}$-P) completely from the wastewater after 3~4 days of cultivation. Thus, growing C. vulgaris would not only solve the problem of animal feed, but also help in biological $CO_2$ mitigation and wastewater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