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Knowledge.Attitude.Practic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Nutritional Status among Rural Community Elderly in the Risk Area of Liver Fluke, Surin Province, Thailand

  • Kaewpitoon, Soraya J;Namwichaisirikul, Niwatchai;Loyd, Ryan A;Churproong, Seekaow;Ueng-Arporn, Naporn;Matrakool, Likit;Tongtawee, Taweesak;Rujirakul, Ratana;Nimkhuntod, Porntip;Wakhuwathapong, Parichart;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391-8396
    • /
    • 2016
  • Thailand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this presenting as a serious problem situation especially regarding health. Chronic diseases found frequently in the elderly may be related to dietary intake and life style. Surin province has been reported as a risk area for liver fluke with a high incidence of cholangiocarcinma especially in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in Surin province, northeast of Thailand.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405 people aged 60 years and above, between September 2012 and July 2014.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a randomized systematic sampling method and completed a pre-designed questionnaire with general information, food recorded, weight, h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ehavior regarding to food consume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as female (63.5%), age between 60-70 years old (75.6%),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96.6%), living with their (78.9%), and having underlying diseases (38.3%). Carbohydrate (95.3%) was need to improve the consumption.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under-nutrition (24.4%), over-nutrition (16.4%), and obesity (15.4%). Elderly had a waist circumference as the higher than normal level (34.0%). Gender, female, age 71-80 years old, elementary school and underlying disea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nutritional status. The majority of them had a high knowledge (43.0%), moderate attitude (44.4%), and moderate practice (46.2%) regarding food consumption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data indicated that elderly age group often have an under- or over-nutritional status. Carbohydrate consumption needs to be improved. Some elderly show behavior regarding food consumption that is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hat needs to be improved, so that health education pertaining good nutrition is required.

집단 변인에 따른 임신 및 수유에 관한 의식 및 영양 교육 요구도 비교 - 임신수유부, 의료전문인, 여대생 집단 비교 - (Perception and Service Needs about Nutrition Education of Pregnant and Lactating - To Compare with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Health Specialist and College Women -)

  • 안홍석;이영미;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7-337
    • /
    • 2006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and material through the basic data from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onsumer. And also,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attitude and needs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SP breastfeeding specialist), present consumer (PC, pregnant or lactating women) and future consumer (FC, college women). There were types of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needs and attitudes toward child and maternal nutrition, as well a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13 breastfeeding specialists who served at medical related institutions, 197 pregnant or lactating women and 309 college women.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2.0,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s on breastfeeding was 'medical specialist's support' (3.51) and the next one was 'knowledge of maternity care practice' (3.39). And the importance score of determinating factors on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p < 0.001). The groups of consumer (3.50 at PC and 3.59 at FC) considered the service provider (3.32) more important. The service providers considered a more effective determining factor to be 'husband and family support' and 'peer support' than the others (p <0.001). 2) To compare the effective factors of breastfeeding practic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vice providers were more significantly considered than the otters such as 'attendance of intervention program' (p < 0.001). But the PC group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factors wis 'mother's job after delivery'. 3) The self-evaluated score of the breastfeeding knowledge was the most high in SP; the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knowledge score of nutritional aspects in human milk was most highly evaluated. But maternity care practice and public acceptance marked the lower evaluation score than other issues. 4) The desirable types of educational material was mass media, and the next was printed matter such as booklets. Two kinds if consumers preferred DVD or VCR tapes than and the service provider group (p < 0.001). 5) The priority contents of nutrition service PC group wanted the information about infant care more than maternal care (p < 0.05), but FC group's prior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PC group (p < 0.001). The priority of SP group pointed out the information of practical child care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e needs of nutrition service, education channels, and perception toward effective factors on consumer behavior chan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suggest that consumer oriented nutrition service programs must be developed.

Development of supplemental nutrition care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NutriPlus^+$

  • Kim, Cho-Il;Lee, Yoon-Na;Kim, Bok-Hee;Lee, Haeng-Shin;Jang, Young-A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3호
    • /
    • pp.171-179
    • /
    • 2009
  • Onto the world-fastest ageing of society, the world-lowest fertility rate prompted a development of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for a betterment of the population in Korea. Since the vulnerability of young children of low socio-economic class to malnutrition was clearly shown at the in-depth analysis of the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 effort to devise supplemental nutrition care program for pregnant/breastfeeding wome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was initiate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offer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fit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special supplementary foods, using USDA WIC program as a benchmark. Based on the dietary intake of those age groups, target nutrients were selected and their major food sources were searched through nutrient content of foods and dietary pattern analysis. As a result, we developed 6 kinds of food packages using combinations of 11 different food items. The amount of each item in a food package was determined to supplement the intake deficit in target nutrients. Nutrition education in $NutriPlus^+$ aims to improve th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nd is provided through group lessons,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home visits. Breastfeeding is promoted with top priority in education for the health of both mother and baby. The eligibility guidelines were set for residency, household income, age, pregnancy/breastfeeding and nutritional risk such as anemia, stunting, underweight, and/or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come eligibility was defined as household income less than 200 percent of the Korean poverty guideline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program implementation was run in 3 public health centers in 2005 and expanded to 15 and 20 in the following 2 years. The result of 3-year pilot study will be reported separately along with the ultimate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the $NutriPlus^+$ in 2008.

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생 대상 당 저감화에 관한 소비자 인식 및 관련 교육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consumer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 effect on the reduction of suga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 김기남;이정숙;심지선;정혜경;정해랑;장문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303-318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당 관련 영양교육이 당 섭취에 관한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당 섭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당 교육인지군과 비인지군으로 나누어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 대상자 중 당 교육을 받았다고 인지한 교육 인지군은 270명 (49.8%) 이었고, 비인지군은 302명 (50.2%) 이었다.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이론적 지식 점수를 보면 교육 인지군 3.67점, 비인지군 3.55점으로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바른 행동에 대한 지식 점수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섭취 관련식행동 점수, 음료 선택 및 간식 구매 빈도는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표시에서 당류 함량을 확인하는 비율은 교육 인지군이 31.2%로 비인지군 15.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이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군별 섭취 빈도를 보면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무가당 캔디나 젤리류, 생과일류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품군별 당류 섭취량은 달지 않은 빵류, 흰 우유 및 생과일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 관련 지식 점수와 식행동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교육 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초콜릿, 탄산음료를 덜 먹으려는 행동과는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 구입 빈도, 평균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비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빵을 먹을 때 잼을 덜 먹는 행동 및 과일 섭취 시 설탕을 덜 먹으려는 식행동과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구입 빈도 및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 좀더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또한 하루 총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 인지군에서만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총 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당 교육을 인지한 대상자들이 비인지군에 비해 당류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학교의 영양 전문가인 영양(교)사에 의해 지속적이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영양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당 관련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양육인의 교육 및 수입정도에 따른 이유기 식생활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A Study on Infant Weaning Practices Based on Maternal Education and Income Levels)

  • 김송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00-1007
    • /
    • 2005
  • 영유아 보육의 실질적 책임자인 어머니들의 이유기 급식, 이유식 생활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조사$\cdot$연구하고자, 보건소를 방문한 양육인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유아의 이유기 식생활관리와 이유식 공급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고졸과 대졸양육인 간에 인식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p<0.01), 가계소득 월 150만원을 기준으로 저소득층의 $47.6\%$와 고소득층의 $41.7\%$가 올바른 이유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2) 단계별 이유식의 종류, 형 태, 조리 법, 급여 횟수와 양 등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양육인의 $76.0\%$ 정도가 올바른 이유상식 없이 이유를 실시하였으며,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유식 도입시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3) 이유정보의 출처는 대중매체 $(57.3\%)$, 또래 엄마$(34\%)$, 가족$(3.9\%)$, 보건의료인$(2.9\%)$, 기타$(1.9\%)$ 등이었으며, 대졸자는 대중매체 $(72.5\%)$를, 고졸자는 대중매체$(47.6\%)$와 또래 엄마$(39.7\%)$를 통하여 주로 정보를 얻었다. 또한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유정보와 교육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였다. 4) 시판이유식 구입시 양육인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TV광고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대졸자는 영양측면에서 시판 이유식이 가정식에 비해 월등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학력 수준에 따른 유의 성 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식이 영유아에게 좋거나 보통정도의 이유식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양육인의 $88\%$ 정도로 나타났다. 5) 학력 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으나 고졸자에 비하여 대졸자가 영양표시 라벨을 좀 더 적극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식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양육인의 교육과 수입에는 무관하게 3.5점 이상으로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6) 영양교육의 기회가 주어지면 교육과 소득수준이 높은 양육인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식품$\cdot$영양관련 기초지식에 대하여 양육인의 $55.3\%$가 보통정도, $43.7\%$가 지식이 부족하다고 스스로 평가하였다. 양육인 중에 특히 대졸자 또는 고소득자가 본인 스스로의 지식에 대해 높은 신뢰도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유기의 식생활과 영양에 대해 실질적 책임자인 어머니들이 올바른 이유지식과 영양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즉 구체적이며 전문적인 이유관련 교육과 계몽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건강을 주도하며 지역 모자보건사업을 실시하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영유아의 급식과 집단영양지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요청된다. 이 때 양육인의 사회적 배경과 기초 지식정도를 참조한 영유아 월령별 이유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영양균형을 갖춘 식재료 선택과 조리법 등에 대한 올바른 이유식 실무교육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영양지도교육은 양육인의 식품${\cdot}$영양 관련지식을 향상시키며, 이유기의 섭식 개선을 통하여 영양취약계층인 영유아의 이유 식생활관리와 영양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