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solution culture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8초

농작물(農作物)에 대(對)한 납(pb)의 흡수(吸收)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사경용액중(砂耕溶液中) 납(pb)농도(濃度)가 수도체흡수(水稻體吸收)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Uptake by Crops of Lead and Reduction of It's Damage -I. Effects of the Lead Uptake and Yield of the Rice Plant Related to Concentration of Lead in Sandy Liquid Culture)

  • 김복영;김규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1
    • /
    • 1986
  • 환경오염물질(環境汚染物質)의 하나인 납(pb)을 배양액중(培養液中)에 농도(濃度)를 달리하고 수도(水稻)에 대(對)한 pot사경시험(砂耕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수량(收量), 생육상황(生育狀況) 및 식물체내(植物體內) 납 축적정도(蓄積程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사경액중(砂耕液中) 납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수(減收)되였다. 2.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수최저농도(減收最低濃度)는 13.6ppm이었다. 3. 납 농도증가(濃度增加)에 따라서 수도체중(水稻體中) 납 함량(含量)은 엽신(葉身) 현미(玄米)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고 엽초에선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식물체(植物體) 부위별(部位別) 납 함량(含量)과 감수율(減收率)과의 관계(關係)는 엽신(葉身)에서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으나 엽초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

배양액 농도가 수경재배 토마토의 품종별 생육과 양수분 흡수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Water and Nutrient Uptake of Tomato Cultivars in Hydroponics)

  • 최경이;여경환;최수현;정호정;강남준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1호
    • /
    • pp.13-21
    • /
    • 2019
  • 배양액의 농도 조건과 품종별 양수분 흡수특성을 구명하여 장기 수경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 품종으로 토마토 대과종으로는 적색계인 '대프니스'와 도색계인 '수퍼도태랑' 소과종으로는 '미니찰' 품종을 이용하였다. 담액재배하였으며 배양액의 EC를 1.0dS·m-1, 2.0dS·m-1, 3.0dS·m-1, 4.0dS·m-1로 다르게 공급하였다. 배양액의 EC가 높은 처리에서 초기에는 엽면적, 생체중이 감소하였으며 염류장해가 발생하면서 생육(초장, 엽면적, 경경, 생체중)이 불량해졌다. 배양액의 EC가 높을수록 수분흡수가 적었다. 수분흡수량은 1차에서는 품종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2차 조사에서는 '대프니스'가 EC 2.0dS·m-1 이상에서도 수분흡수가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수퍼도태랑'은 높은 EC 처리에서 수분 흡수가 감소하였다. 배양액의 EC가 낮은 처리에서 무기이온의 흡수는 N, P, K는 급액농도 보다 높게 흡수된 반면에 Ca, Mg, S는 흡수율이 낮았다. 배양액의 EC가 높은 처리에서는 대부분의 이온이 초기 투입농도의 50% 이하로 흡수되었다. 따라서 EC가 낮은 처리가 높은 처리 보다 흡수되고 남은 배양액의 이온간 불균형이 심하였다. 품종 간에는 '대프니스'가 저농도에서 흡수량이 많고 고농도에서는 흡수량이 적어 불량한 양분조건에서 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품종이었으나 과잉 흡수된 양분으로 인한 장해 증상은 가장 심하게 나타내었다.

배지의 혼입비율과 관비 양액 농도가 오이 플러그묘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Ratio of Substrates and Concentration of Fertigation in Nutrient Solutions on the Early Growth of Cucumber Plug Seedlings)

  • 김홍기;조자용;배종향;양승렬;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1-107
    • /
    • 2007
  • 오이['장형흑진주' 오이; (주)서울종묘]를 공시작물로 하여 양질의 플러그묘 생산을 위한 혼합배지 개발과 적정 관비 양액 농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혼합배지는 피트모스를 기본으로 왕겨, 훈탄, 부숙톱밥, 펄라이트 및 입상압면 등을 상이한 비율로 혼합하여 5처리로 하였고, 그 중 양호한 혼합배지 3종을 선발하여 관비 양액 농도(EC)를 대조구(EC $0.1dS{\cdot}m^{-1}$), 0.5, 1.0 및 $1.5dS{\cdot}m^{-1}$등으로 처리하여 오이 유묘의 생장반응(27일째)을 검토하였다. 오이 플러그묘 생장에 양호한 혼합배지는 피트모스:왕겨:훈탄:부숙톱밥:펄라이트=25:10:25:20:20(v/v), 피트모스 왕겨:부숙 톱밥:입상암면=30:25:20:25(v/v) 및 피트모스:왕겨:부숙톱밥=40:40:20(v/v)였다. 대조구 (EC $0.1 dS\;m^{-l}$)에 비해 관비 양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장, 엽면적 및 총건물생산량 등이 현저히 높아 EC $1.5dS{\cdot}m^{-1}$로 두상관수 2-3회 관비하였을 때 가장 좋은 플러그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관비 양액 농도와 혼합배지 종류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당근 수경재배시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배양액 조성 및 농도 (Composition and EC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Quality of Carrot (Daucus carrota L.) in Hydroponics)

  • 오동규;차미경;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0-345
    • /
    • 2017
  • 당근 잎에는 뿌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앞으로 당근 잎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이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로 온실에서의 당근 잎의 연중 재배 가능성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의 조성 및 농도를 구명하고자 고온기와 저온기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배양액은 식물체내 다량원소의 적정 함량기준으로 개발한 당근 전용배양액($NO_3-N:16.0$, $NH_4-N:1.0$, P:1.0, K:11.0, Ca:2.0, Mg:1.0, $SO_4-S:1.0mM{\cdot}L^{-1}$)을 사용하였다. 배양액은 고온기(2015년 7월 29일부터 9월 8일)에는 개발된 당근 전용 배양액 농도 1.0, 2.0, 3.0, 그리고 $4.0dS{\cdot}m^{-1}$로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로 일본원예시험장 배양액농도 $2.0dS{\cdot}m^{-1}$로 처리하여 생육을 비교하였다. 저온기(2015년 12월 31일부터 2016년 2월 29일)에는 개발 배양액 1.0, 2.0, 그리고 $3.0dS{\cdot}m^{-1}$로 처리하여 생육을 비교하였다. 생육조사 항목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및 엽수, 엽면적을 조사하였다. 고온기 재배 기간 동안, 엽면적과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양액 농도 1.0과 $2.0dS{\cdot}m^{-1}$에서 좋았다. 지하부의 당도는 배양액 농도 $2.0dS{\cdot}m^{-1}$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록소 함량은 배양액 농도 $4.0dS{\cdot}m^{-1}$에서 가장 높았다. 저온기 재배 기간 동안,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양액 농도 1.0과 $2.0dS{\cdot}m^{-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에서 당도와 엽록소 함량은 배양액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생육과 품질적인 면에서 볼 때 고온기와 저온기 재배에서는 배양액 농도 1.0과 $2.0dS{\cdot}m^{-1}$에서 좋으나, 비료 투입적인 경영측면에서 배양액 농도 $1.0dS{\cdot}m^{-1}$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판단되었다.

Effect of boron nutrition on American ginseng in field and in nutrient cultures

  • Proctor, John T.A.;Shelp, Barry J.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73-77
    • /
    • 2014
  • Field and nutrient cultures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were used to establish foliar symptoms related to boron (B) concentration in leaves and soils, and to evaluate radish as a time-saving model system for B nutrition. Application of excess B, 8 kg/ha versus the recommended 1.5 kg/ha, to field plantings of 2-, 3-, and 4-yr-old American ginseng plants just prior to crop emergence caused, within 4 wk after crop emergence, leaf symptoms of chlorosis followed by necrosis starting at the tips and progressing along the margins. The B concentration in leaves of 2-4-yr-old plants receiving 1.5 kg/ha Bwas $30{\mu}g/g$ dry mass compared to $460{\mu}g/g$ dry mass where 8 kg/ha B was applied. Similarly, B concentration in soils receiving the lower B concentration was 1.8 mg/g dry mass and $2.2-2.8{\mu}g/g$ dry mass where the higher B concentration was applied. Application of 8 kg/ha B reduced the dry yield of 3rd-yr roots by 20% from 2745 kg/ha to 2196 kg/ha and 4th-yr roots by 26% from 4130 kg/ha to 3071 kg/ha. Ginseng seedlings and radish were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nutrient culture with four B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 mg/L to 10 mg/L. At 5 mg/L and 10 mg/L ginseng and radish developed typical leaf B toxicity symptoms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field-grown plants. Increasing B in the nutrient solution from 0.5 mg/L to 10 mg/L decreased, in a linear fashion, the root and leaf dry mass of ginseng, but not radish. Given the many similarities of ginseng and radish to B utilization, radish might be used as a timesaving model system for the study of B, and other micronutrients, in the slow-growing perennial ginseng.

Effects of Culture Type and Inoculation Quantity in Bioreactor on Production of Potato Plantlets

  • Choi Ki Young;Son Sung Ho;Lee Joo Hyun;Lee Yong-Beom;Bae Jong Hyang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8-301
    • /
    • 2005
  • Potato (Solamum tuberosum 'Dejima') plantlets were investigated on culture type and initial quantity of inoculation in bioreactor and survival rate by hydroponics for mass production. rode stems (1 to 1.5cm in length) of potato plantlets multiplied in vitro were grown for 3 weeks in liquid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with sucrose $30 g\; L^{-1}$. When plantlets (80-node inoculation) were raised in 10L balloon type bubble (BB) bioreactor, the healthiest growth of plantlets was obtained from explants cultured in ebb & flow culture with medium supplied periodically 12 times per day. The suitable inoculation quantity of 20L BB bioreactor was 120 pieces of stem segments (mean 2.2g fresh weight) in ebb & flow culture. Number of nodal shoot was eight on the average. In controlled culture room, survival rate of plantlets at 7 days after stem cutting was above $70\%$ when they were acclimatized by hydroponics grown in deep flow and solid medium culture.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the stem cutting plantlets was in nutrient solution adjusted to EC $1.4dS{\cdot}m^{-1}$. Stem cutting plantlets through one culture could be obtained $670\~900$, when plantlets were grown in ebb & flow culture during 3 weeks using a 20L bioreactor with initial 120 pieces of nodal segments. 11 is possible In do mass production of seedlings cultured in bioreactor and hydroponics.

Continuos-Flow culture of Hepatocytes in Sugar-derivatized poly (lactide-co-glycolide) Scaffolds Prepared by Gas-foaming/salt-leaching Method

  • 윤준진;박태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144
    • /
    • 2000
  • Highly open porous polymer matrices are required for high density cell seeding, efficient nutrient, and oxygen supply to the cells cultured in the three dimensional matrices. However, there are severe problems of mass transfer limitations within the cell/scaffolds culture system. Thus we hypothesize that continuos-flow culture conditioning of cells with the scaffolds may improve the cell viability and the differentiated function. In this study, we fabricated porous PLGA scaffolds by using gas-foaming/salt-leaching method as previous described. Viscous PLGA gel paste contains ammonium bicarbonate particulates, acting as a gas-foaming agent as well as a salt-leaching porogen, were cast into Teflon mold and dried. Ammonium bicarbonate salt upon contact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evloves gaseous ammonia and carbon dioxide by itself. And we conjugated galactose moiety [AGA; $N-(aminobuty1)-O-{\beta}-D-galactopyranosyl-(1{\rightarrow}4)-D-glucoamide]$ to the terminal end group of a PLGA to increase the cell adhesion and matain the differentiated function of hepatocytes. Cell-seeded scaffolds were secured in a flow bioreactor chamber and exposed to continuous flow at 5 ml/min.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high yield of hepatocytes attachment was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LGA-AGA conjugate in polymer scaffolds and cells in the scaffolds under continuos flow condition maintained a high level of viability and albumin secretion rate of cultured hepatocytes showed a higher level that of control groups.

  • PDF

식물공장내 양액의 EC가 적겨자와 청경채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C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Quality of Red Mustard and Pak-Choi in Plant Factory)

  • 이상규;최장선;이준구;장윤아;남춘우;여경환;이희주;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2-326
    • /
    • 2012
  • 최근 식물공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식물공장내 인공광을 이용한 쌈채소 재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쌈채소를 좋아하는 우리나라에서는 그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토양재배보다는 수경재배로 생산한 엽채류를 좋아하기 때문에 식물공장 시설을 이용하여 수경재배로 쌈채소를 생산하면 그 효과가 크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식물공장내에서 쌈채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적겨자와 청경채를 대상으로 양액농도별 수량과 비타민 함량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겨자와 청경채 모두 초장은 EC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고, 엽수는 적겨자의 경우 EC 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청경채의 경우는 유의성이 없었다. 청경채의 경우 EC가 높아질수록 엽면적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생체중은 두 작물 모두 EC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 능력은 적겨자의 경우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청경채는 EC가 높을 때 높은 경향을 보였다. Ascorbic acid 함량은 적겨자의 경우에 EC가 낮을수록 높게 나왔고, 청경채의 경우에는 EC $2.0dS{\cdot}m^{-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1.5, $2.5dS{\cdot}m^{-1}$ 처리구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적겨자와 청경채를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양액농도를 $2.0{\sim}2.5dS{\cdot}m^{-1}$로 관리하는 것이 생체중과 Ascorbic acid 함량을 고려해볼 때 가장 적절한 양액 농도 관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의 전기충격살균법 연구 (Development of Drainage Water Disinfection System by Electric Shock in Recirculating Soilless Culture)

  • 이문행;김성은;이상돈;이재은;김학선;조숙경;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9-56
    • /
    • 2016
  • 본 연구는 의료살균기술의 하나인 전극을 이용한 전기충격 살균법을 순환식 수경재배의 배양액 재순환을 위한 배액 살균기술로 활용하고, 배액의 전기살균소독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살균소독 효과가 높으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배양액 살균소독기술의 개발 및 전기살균소독시스템에서 사용될 전극의 최적 조건을 구명하고 전기소독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기살균소독시스템 구축 시 적정 전극소재 구명을 위해 금속 전도체의 특성 조사 및 전기실험을 실시하여 배액의 pH와 EC변화유무와 침전물 발생여부 및 배액의 원소변화 유무를 분석하였다. 새로이 개발된 전기살균소독시스템 구축 시 가장 적합한 금속 전도체 전극소재로는 전기전도도가 높고, 저항이 적으며, 소재의 수급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스테인리스 스틸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을 전극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기를 공급하기 전과 24V 이내의 전기를 공급한 후의 배양액내 원소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극의 두께보다는 넓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전극의 거리가 멀수록 목표 전류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적합한 전류량에 따른 주요 병원균의 살균력을 조사한 결과 대표적 세균병인 풋마름병의 원인균인 Ralstonia solanacearum가 전류 15V-3A 170초에서 97%가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곰팡이병인 Fusarium oxysporum은 24V-10A에서 98%의 살균력을 보였다.

수경재배용 용수 종류에 따른 상추 생장 연구 (Study on the Lettuce Growth Using Different Water Sources in a Hydroponic System)

  • 허정민;김가은;김진황;최병욱;이성종;이병선;조은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1-198
    • /
    • 2022
  • BACKGROUND: Plants can be grown using a culture medium without soil using a hydroponic system. Crop production by the hydroponic system is likely to increase as a means of solving various problems in the agricultural sector such as aging of rural population and climate change. Different water sources can be used to prepare the culture medium used in the hydroponic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water sources on crop production by the hydroponic system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water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Lettuce was cultivated by the hydroponic system and three different water sources [tap water (TW), bottled water (BW), and groundwater (GW)]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 of water sources on lettuce growth. The three kinds of waters with a nutrient solution (TW-M, BW-M, GW-M) were also used as the media. After the six-week growth period, the lettuce length and w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the contents of chlorophylls and polyphenols were compared among the different media used. The lettuces did not grow in the waters without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media, the lettuce growth and the contents of chlorophylls were affected by the different water sources used to prepare the media, while the contents of polyphenols were not affected. The absorbed amounts of ions by lettuces, especially Ca and Zn ions, and the dry weight of the harvested lettuc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different water sources used for growing lettuce in a hydroponic system can affect lettuce growth. Further studies on the enhancement of crop qualities using different water sources may be required in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