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depriv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Dietary Nutrient Composition on Compensatory Growth of Growe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Different Feeding Regimes at Suboptimal Temperature

  • Kim, Kyoung-Tae;Choi, In-Cheol;Cho, Young-Jin;Lee, Jong-Ha;Kang, Yong-Jin;Cho, Sung-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294-299
    • /
    • 2010
  • The effects of dietary nutrient composition on compensatory growth of growe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nder different feeding regimes at suboptimal temperature were determined. Four hundred five fish weighing 271.2 g were distributed into 27 300 L flow-through tanks (15 fish per tank). Nine treatments were prepared in triplicate: fish were hand-fed with control (C) diet for 12 weeks (12WF-C); four groups of fish were starved for 1 week and then fed C, high-protein (HP), high-lipid (HL), or combined high-protein and high-lipid (HPL) diets for 11 weeks; these groups are referred to as 11WF-C, 11WF-HP, 11WF-HL, and 11WF-HPL, respectively. Four other groups of fish were starved for 2 weeks and then fed C, HP, HL, and HPL diets for 10 weeks; these groups are referred to as 10WF-C, 10WF-HP, 10WF-HL, and 10WF-HPL, respectively.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rom 12WF-C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fish from 11WF-C, 11WF-HP, 11WF-HL, 10WF-C, 10WFHP, and 10WF-HL groups,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rom 11WF-HPL and 10WF-HPL groups. Feed-efficiency ratio of fish from 12WF-C, 11WF-HP, 11WF-HPL, 10WF-HL, and 10WF-HPL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in 11WF-C, 11WF-HL, 10WF-C, and 10WF-HP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rower olive flounder subjected to 1- or 2-week feed deprivation were able to achieve full compensatory growth at suboptimal temperature only when fed HPL diet.

초지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잔류효과에 의한 연구 II. 혼파초지의 식생구성 및 목초의 무기태함량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잔류효과 (Studies on the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Grassland I. Recidual effect of phosphatic fertilizer botan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pasture plants in mixed sward)

  • 박근제;김정갑;서성;김맹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6
    • /
    • 1997
  • To find out the residual effect of phosphate fertilization on botanical composition, mineral contents and mineral nutrient deprivation of pasture plants, this experiment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ix treatments(0-0, 50-50, 100-65, 150-65, 200-65 and 250-65kg $P_2O_5$/ha), those were composed of three P,O, fertilization level(0, 50 and 65kg P,OJha) after phosphate fertilization trial with six treatments(0, 50, 100, 150, 200 and 250kg $P_2O_5$/ha) from 1989 to 1992, and conducted at hilly land in Kwangju, Kyonggi Province 60m 1993 to 1994.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pasture plants without phosphate fertilization was very poor. With increasing available phosphate of soil, the percentage of grasses and legumes were remarkably increased and weeds was decreased. With 150-65kg $P_2O_5$/ha application for two years, the average DM yield was composed of 80.6% grasses, 15.4% legume and 4.0% weeds, the percentage was similar to that of 200-65kg $P_2O_5$/ha. As available phosphate of soil increase, P, K and Mg content of pasture plants were increased, but Ca/P ratio was lowed and the other mineral contents tended not to be regular. The mineral nutrient contents deprived by DM yield was increased as available phosphate of soil was increased, but those were not different between 150-65 and 250-65kg $P_2O_5$/ha. However, mineral nutrient of $P_2O_5$,$K_2O$ and MgO were higher in 200-65 and 250-65kg $P_2O_5$/ha. Most of applied mineral elements were accumulated at a subsurface(0-2.5cm) of grasslands, and mineral tended to be decrease than that of soil chemical analysis before the experiment of residual effect of phosphate fertilization.

  • PDF

Silicon transporter genes of Fragilariopsis cylindrus (Bacillariophyceae)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during the progression of cell cycle synchronized by Si or light

  • Oh, Han Sang;Lee, Sung-eun;Han, Chae-seong;Kim, Joon;Nam, Onyou;Seo, Seungbeom;Chang, Kwang Suk;Jin, EonSeon;Hwang, Yong-sic
    • ALGAE
    • /
    • 제33권2호
    • /
    • pp.191-203
    • /
    • 2018
  • Fragilariopsis cylindrus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sychrophiles in the Southern Ocean.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 of biomineralization in this species, we attempted to synchronize F. cylindrus growth, since new cell wall formation is tightly coupled to the cell division process. Nutrient limitation analysis showed that F. cylindrus cultures rapidly stopped growing when deprived of silicate or light, while growth continu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absence of nitrate. Flow cytometry analysis indicated that deprivation of either silicate or light could effectively arrest the cell cycle of this diatom species at the G1 phase, suggesting that synchrony can be established using either factor. Fluorescence labeling of new cell walls was faintly detectable as early as approximately 6 h after silicon repletion or light irradiation, and labeling was markedly intensified by 18 h. It is revealed that the synthesis of girdle bands begins before valve synthesis in this species, with active valve synthesis occurring during the G2 / M phase. Expression profiling revealed that selective member(s) of the F. cylindrus SIT genes (FcSIT) respond to silicate and light, with a different set of genes being responsive to each factor. The Si / light double depletion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expression of one FcSIT gene is possibly correlated to transition to G2 / M phase of the cell cycle, when the valve is actively formed.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5)를 활용한 대사증후군 유병과 근로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he Number of Work Hours Based on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 김경윤;신현지;윤정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86-494
    • /
    • 2019
  •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reports that job 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sleep deprivation, obesity and diabete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working type, working hour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The study's subjects were 2,777 employees (1,446 males and 1,331 females) over 19 years old and their data wa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5). The type of work was divided into day work and shift work. The working hours were divided into less than 40 hours, 40 to 49 hours, 50 to 59 hours and 60 hours or more per week.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26.4% of the males and 19.1% of the females. Generall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ype of work (day work and shift work). As a result of analysis of working hours and metabolic syndrome, the workers who worked 40-49 hr were associated with a decrease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s compared to that of workers who worked less than 40 hr (odds ratio: 0.47, 95% confidence interval: 0.24-0.95, p<0.05). Further,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number of work hours and the prevalence metabolic syndrome for specific females who worked over 40 hr/wk.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results that it is important to help workers avoid metabolic syndrome through setting appropriate work hours.

생리, 약학적 관점에서 fibroblast growth factor 21 (FGF21)의 대사 효과 고찰 (The Metabolic Effects of FGF21: From Physiology to Pharmacology)

  • 송박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40-650
    • /
    • 2020
  • 간, 췌장 및 지방 조직에서 많은 수준으로 합성되는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 21(FGF21)은 FGF19과 FGF23와 함께 FGF 패밀리의 비정형 구성원에 속해 있다. FGF21은 발현 조직에 따라 endo/paracrine특징을 보여주며, 포도당 대사 및 에너지 항상성을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대사 경로를 조절하고 있다.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많은 종류의 스트레스가 조직 별 FGF21의 합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고, 이렇게 증가한 FGF21은 위와 같은 스트레스에 적응하거나 방어하기 위한 세포 내 기전을 활성화 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PPARα)가 지방 및 간 조직에서 FGF21의 발현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전사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지난 10년간의 연구를 통해 약리학적 FGF21 투여는 체중을 감소시키고 비만 마우스 및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 및 지단백질 프로파일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FGF21은 제 2 형 당뇨병, 비만 및 비 알콜 성 지방간 질환(NAFLD)의 치료제로서 큰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조직 별 상이한 FGF21 발현의 역설적 조건 및 생리 약학적 기능의 차이로 인해 FGF21의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수준에 있다. 따라서 본 총설을 통해 FGF21의 조직 특정 기능 및 해당 동작 메커니즘을 포함한 이전 연구들에서 발생하였던 흥미로운 문제를 논의하고, FGF21 아날로그를 이용한 임상 시험의 현 상황을 요약하고자 한다.

Myxococcus xanthus socD500에 의한 포자 형성 및 CsgA신호에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Myxococcus xanthus socD500 mutation causes Sporulation and Induction of two C-signal Specific Genes)

  • 이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4-190
    • /
    • 2003
  • 군집을 이루어 생활을 하는 세균류의 하나인 M. xanthus의 csgA 유전자는 세포 표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데 이 단백질은 M. xanthus의 자실체 및 포자 형성을 수반하는 발생 (development)에 필수적이다. csgA 돌연변이들은 정상적인 성장을 보이지만, 발생 과정에서 자실체 및 포자 형성이 불가능하다. 또한, CsgA 세포간 기인한 신호 전달체계에 의해서 유발되는 CsgA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이 없거나 감소한다. socD500돌연변이는, csgA 돌연변이체로부터 자실체 혹은 포자 형성을 회복하게 해주는 2차 돌연변이 중의 하나로서, csgA 돌연변이체의 포자 형성을 회복하도록 한다. socD500에 의한 포자 형성은 영양원의 고갈 및 자실체의 형성이 없이도, 단순히 성장 온도를 $32^{\circ}C$에서 $15^{\circ}C$로 낮추는 것이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 형성된 포자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 포자와는 다르게 단지 얇은 여러 겹의 막들이 존재하였다. 또한 socD500 돌연변이체에서 10개의 CsgA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율을 측정한 결과, 자실체 형성을 수반하는 정상적인 발생시에만 발현하는 ΩDK4506 및 ΩDK4406 유전자들이 $15^{\circ}C$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socD500은 CsgA에 특이적인 신호 전달체계에 관련된 일부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에 관련되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저산소증 상태에서 B16F10 피부암 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때의 apoptosis 효과 (EGCG induces Apoptosis under Hypoxic State in B16F10 Melanoma Cancer Cells)

  • 김윤이;김인섭;박옥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1-256
    • /
    • 2011
  • 파이토케미컬의 일종인 EGCG는 녹차의 카테킨 성분으로, 세포 내 신호 경로 조절을 통하여 항산화,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poxia 상태인 B16F10 피부암 세포에서 HIF-$1{\alpha}$를 포함한 AMPK의 신호경로를 통하여 EGCG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규명하였다. AMPK는 hypoxia, 영양분 결핍, 운동, heat shock 등, 세포 내 ATP의 결핍에 의해서 활성화되며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한다. 세포에서 중요한 에너지 센서로서 작용하는 AMPK가 hypoxia 상태의 암세포 내에서는 HIF-$1{\alpha}$의 전사 활성을 유도하는데, HIF-$1{\alpha}$는 hypoxia 상태에서 산소 결핍에 반응하는 첫 번째 전사 조절인자로서 암세포의 생존을 위한 세포내 산소공급과 혈관신생형성을 조절한다. Hypoxia 상태가 아닌 B16F10 세포에서와 hypoxia 상태에서의 B16F10 세포에서 EGCG에 의한 apoptosis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hypoxia 상태에서 EGCG는 더 강한 apoptosis를 유도하며, 혈관신생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HIF-$1{\alpha}$의 전사 활성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EGCG가 hypoxia 상태의 피부암 세포에서 암의 성장과 신생혈관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는 향후 식품에 첨가된 파이토케미컬을 이용하여 암을 예방하는 연구에서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수도저위생산력(水稻低位生産力)의 원인구명(原因究明)에 관(關)한 영양생리적연구(營養生理的硏究) (Studies on Nutrio-physiology of Low Productive Rice Plants)

  • 박준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1호
    • /
    • pp.1-30
    • /
    • 1974
  • 수도저위(水稻低位) 생산력(生産力)의 원인구명(原因究明)에 관(關)한 영양생리학적연구(營養生理적硏究)로 여러 가지 생육조건하(生育條件下)에서 품종별(品種別)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동화기능(同化機能)과 양분(養分)의 체내(體內)에서의 이행양상(移行樣相)을 추구(追究)하는 한편 고수량지(高收量地) 벼와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에 대(對)한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양분(養分)의 흡수(吸收) 체내무기양분(體內無機養分)과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의 관계(關係) 등(等)을 추구(追究)하여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의 영양생리적(營養生理的) 저수요인(低收要因)을 밝히고저 본연구(本硏究)를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같다. 1. 양분(養分)의 흡수력(吸收力)은 품종(品種)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으며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의 흡수력(吸收力)이 강(强)한 품종(品種)은 구사부에, 진흥(振興)이며 낮은 품종(品種)은 팔달(八達)이었다. 2. 근(根)의 ${\alpha}-naphthylamine$의 산화력(酸化力)과 인산(燐酸)의 흡수력(吸收力)과는 유의적(有意的)인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으며 산화력(酸化力)이 높으면 인산(燐酸)의 흡수(吸收)가 증대(增大)되었바. 3, 탄소동화력( 炭素同化力)은 품종(品種)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으며 노인도(老人稻), 구대내조욱(九大耐潮組) 3호(號), 수원(水原)82호(號), 진흥(振興) 등은 강(强)하고 대구조(大脚租), 관옥(關玉), 육우(陸羽) 132호(號)가 약(弱)하였다. 4, 질소(窒素)의 증시(增施)는 소비(少肥)에 비(比)하여 동화량(同化量)은 증가(增加) 되나 등화산물(同化産物)의 이삭으로의 이전(移轉)은 적었다5. 정상(正常) 생육(生育)한 벼에 비(比)하여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마그네슘이 결핍(缺達)된 벼는 전탄소동화량이(全炭素同化量)이 정상(正常) 벼 100에 비(比)하여 40이하(以下)로 현저(顯著)히 낮으며 그 순서(順序)는 Mg>P>K이고, 동화물(同化物)의 이전(移轉)에 장해(障害)가 큰 것은 K>Mg>P의 순(順)이었다. 6. 고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에 비(比)하여 총건물(總乾物) 생산량(生産量)이 현저(顯著)하게 많고 특(特)히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이후(以後)에 증가량(增加量)이 더욱 현저(顯著)하였다. 7. 고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출수기(出穗期)에 옆면적(葉面積)이 최고(最高)에 달(達)하였다가 그 이후(以後) 완만(緩慢)하게 줄어지나 저수량지(低收量地) 벼는 출수이전(出穗以前)에 엽면적(葉面積)이 최고(最高)에 달(達)하였다가 출수이후(出穗以後)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며 그 원인(原因)은 하엽(下葉)의 조기고사(早期枯死)에 기인(起因)되었다. 8. 고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에 비(比)하여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투과광율(透過光率)이 높고 생육후기(生育後期)에 낮았으나 투과광율대(透過光率對) 엽면적비(葉面積比)는 고수량지(高收量地) 벼에서 높았다. 9. 순동화량(純同化量)은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에 비(比)하여 고수량지(高收量地)벼에서 많았으며 이는 또한 엽면적(葉面積)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다. .10. 고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에 비(比)하여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이후(以後) 체내질소(體內窒素), 가리(加里) 및 규산(珪酸)의 함유율(含有率)이 높으면서 $K_2O/N$, $SiO_2/N$ 비(比)가 높았다.11. 저수량지(低收量地) 벼는 고수량지(高收量地) 벼에 비(比)하여 출수기(出穗期)에 보유(保有)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마그네슘등이 출수이후(出穗以後) 이삭으로의 이행율(移行率)이 높았다. 이는 저수량지(低收量地) 벼가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양분(養分)의 흡술량(吸收量)이 부족(不足)하여 체내(體內) 저장양분(貯藏養分)이 재이동(再移動)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하엽(下葉)은 양분부족(養分不足)으로 조길고사(早期桔死)가 많아지는 것으로추정(推定)되었다. 12. 고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질소흡수(窒素吸收)가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을 통(通)하여 완만(緩慢)하며 출수이후(出穗以後)에도 흡수량(吸收量)이 많으나 저수량지(低收量總) 벼는 출수이전(出穗以前)에 많고 출수이후(出濾以後)는 거의 흡수(吸收)되지 않았다. 13. 출수기(出穗期)의 체내(體內) 질소(窒素), 가리(加里) 함유율(含有率)과 수량(收豊)과는 현저(顯著)한 정(正)의 상관(相關)이 성립(成立)되였으며 수확기(收獲期)의 가리(加里), 규산함유율(珪酸含有率) 그리고 $K_2O/N$, $SiO_2/N$과 수량(收量)과도 현저(顯著)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성립(成立)되었다. 14. 출수기(出穗期)에 보유(保有)된 전분(澱粉)이 이삭으로의 이전(移轉)은 고수량지(高收量地) 벼가 약(約) 10%인데 반(反)하여 저수량지(低收量地) 벼는 약(約) 40%로 많았다. 따라서 저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출수(出穗) 이후(以後) 동화의존도(同化依存度)가 높았다. 15. 고수량지(高收量地) 벼는 저수량지(低收量地) 벼에 비(比)하여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규산(珪酸) 및 망간의 흡수량(吸收量)이 현저(顯著)하게 많았고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흡수량(吸收量)의 차이(差異)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전후(前後)에 현저(顯著)하였다. 16. 수확기(收穫期)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석탄(石炭), 마그네슘, 규산(珪酸) 및 망간의 총흡수량(總吸收量)과 수량(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17. 수확기(收穫期)에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석탄(石炭), 마그네슘 및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과 수당입수간(穗當粒熱間)에,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의 흡수량(吸收量)과 수수(穗數)와는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성립(成立)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