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Filtra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Chitoologosaccharides 생산에 적합한 Chitinase를 분비하는 균주의 선별, Chitinase의 분리정제 및 반응특성 (Isolation of Microorganism Producing Chitinase for Chitooligosaccharides Production, Purification of Chitinase, and its Enzymatic Characteristics)

  • 정의준;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6
    • /
    • 1995
  • In order to produce fuctional chitooligosaccharides, a strain excreting mainly endo-type chitinase suitable for chitooligosaccharides production was newly screened and identified as Aspergillus fumigatus JC-19. The chitinase excretion was repressed in nutrient rich medium but stimulated by colloidal chitin indicating that the chitinase is inducible type enzyme. Maximum secretion of the enzyme was observed at pH 7.0 and 37$\circ$C . The growth and chitinase production patterns of Aspergillus fumigatus JC-19 showed that the cell growth reached maximum after 4-5 days with final chitinase concentration of 0.46 unit per ml. Excreted chitinase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colloidal chitin adsorp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respectively, and measured M.W of 50 KDa. The enzyme reaction carried out both by crude and purified chitinase showed that the purified chitinase accumulated more chitooligosaccharides of 1-6 degree of polymerization than that of crude chitinase.

  • PDF

청국장으로부터 혈전용해 활성이 우수한 균주 분리 및 혈전용해효소정제 (Isolation of Bacteria with Protease Activity from Cheonggukjang and Purification of Fibrinolytic Enzyme)

  • 최연희;이준승;배소영;양근재;염규원;조동혁;강옥화;백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9-266
    • /
    • 2013
  •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는 균주 분리를 위해서 우선 한국, 일본 등지에서 모은 21개의 청국장 시료를 준비하였고 총 268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1% skim milk가 포함된 nutrient agar 배지에서 protease를 생산하는 bacteria를 분리하였고, 이 결과로 22개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균주들은 apiweb을 통해 생화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세균동정을 위해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대부분의 균주는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amyloliquefaciens였다. 혈전용해효소의 활성은 fibrin plate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A2-14, A2-20, C1-05, C1-09, F2-01로 명명된 다섯 균주가 선택되었다. 이중에서 A2-20 균주는 강한 혈전용해 활성을 보였고 동정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가까웠다. A2-20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혈전용해효소는 균 상등액을 이용한 gel filtration과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거쳐 부분정제 되었다. 부분 정제된 효소의 최적 pH는 7.0이었고, 최적 온도는 $35^{\circ}C$였다. 정제된 단백질의 분석은 SDS-PAGE와 zymography로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혈전용해효소의 유전자적 분석도 수행되었으며 A2-20 균주가 생산하는 혈전용해효소의 부분적인 염기서열과 유전적 상동성을 보이는 서열을 규명하였다.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ysteine Protease Inhibitor from the Plerocercoid of Spirometra erinacei

  • Chung, Young-Bae;Yang, Hyu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183-186
    • /
    • 2008
  • Helminthic cysteine proteases are well known to play critical roles in tissue invasion, nutrient uptake, and immune evasion of the parasites. In the same manner, the sparganum, the plerocercoid of Spirometra mansoni, is also known to secrete a large amount of cysteine proteases. However, cysteine protease inhibitors regulating the proteolytic activities of the cysteine protease are poorly illustrated. In this regard, we partially purified an endogenous cysteine protease inhibitor from spargana and characterized its biochemical properties. The cysteine protease inhibitor was purified by sequential chromatographies using Resource Q anion exchanger and Superdex 200 HR gel filtration from crude extracts of spargana.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protein was estimated to be about 11 kD on SDS-PAGE. It was able to inhibit papain and 27 kDa cysteine protease of spargana with the ratio of 25.7% and 49.1%, respectively, while did not inhibit chymotrypsi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cysteine protease inhibitor of spargana may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endogenous cysteine proteases of the parasite, rather than interact with cysteine proteases from their hosts.

폐단백자원에 이용하기 위한 미생물 Prote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Pretense far Application to Abolished Protein Resource)

  • 천성숙;조영제;성태수;손준호;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6-12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폐단백질 자원으로 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protease를 생산하는 Aspergillus sp. MS-18 균주를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고 이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정제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다. 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3% arabinose, 0.5% polypepton, 0.1% ammonium sulfate, 0.1% magnesium chloride 첨가로 3 일 배양이었다. 효소는 ion exchange chromatography, gel filtration 등으로 16.9 배 정제할 수 있었으며 비활성역가는 340.4 unit/mg이었다. 정제효소는 polyacryl amide gel 전기영동상 단일 밴드로 나타났으며, 분자량은 30,000 정도로 추정되었고 결정구조는 모서리가 둥그스럼한 막대 모양이었다. 정제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9.0, $60^{\circ}C$였으며, pH 7.0-12.0까지 $50^{\circ}C$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중 $Na^+$, $Mg^{2+}$, $Mn^{2+}$등에 의해 활성이 증대 되었으나, $Hg^{2+}$, $Cu^{2+}$, $Zn^{2+}$, $Pb^{2+}$에 의해 효소 활성이 저해되었고 저해제중 ethylenediaminetetra acetic acid와 phenyl methanesulfonyl fluoride에 의한 활성 저해가 관찰되어 금속 이온이 효소 활성에 관여하는 serine protease로 추정되었으며 정제효소의 Km, Vmax는 $29.33\;{\mu}mole/L$, $5.13\;{\mu}g/min$이었다.

  • PDF

낙동강 하구 갯벌 사질 퇴적물에서 생지화학적 유기탄소순환 (Biogeochemical Organic Carbon Cycles in the Intertidal Sandy Sediment of Nakdong Estuary)

  • 이재성;박미옥;안순모;김성길;김성수;정래홍;박종수;진현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4호
    • /
    • pp.349-358
    • /
    • 2007
  • 투수성이 큰 낙동강 하구 사질 갯벌 퇴적물에서 유기탄소의 생지화학적 순환을 이해하기 위해 현장과 실험실에서 유기탄소 생산 및 소비에 대한 정보를 추정했다. 퇴적물 상부층의 Chl-a 농도와 공극수의 영양염 농도는 니질 퇴적물에 비해 낮았다. 반면, 사질 퇴적물의 산소소모율은 유기물 함량이 높은 연안 니질 퇴적물 보다 높아 이류에 의한 유기탄소의 분해와 물질의 이동이 큰 것을 의미했다. 간단한 유기탄소의 물질수지는 퇴적물에서 유기탄소의 주 공급원이 퇴적물 표층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와 수생식물의 쇄설성 유기물로 나타났다. 해수 여과율에 낙동강 전체 면적을 외삽한 일당 자연 생촉매 여과양은 부산시 7개 주요 하수종말처리장의 최대 처리량 보다 한 자리수 이상 크게 나타나 연안환경에서 사질퇴적물이 생지화학적 정화와 물질의 재분배에 매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NSP Degrading Enzyme on In vitro Digestion of Barley

  • Li, W.F.;Sun, J.Y.;Xu, Z.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22-126
    • /
    • 2004
  • A digestion trial in vitro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NSP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 (feed grade) on cell wall degradation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barley. The slices of barley were soaked in distilled water with or without 0.15%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slices showed that the endosperm cell wall of barley was completely degraded by the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 The residues and supernatant of digesta in vitro were separated by filtration with 0.1 mm nylon fabric. The residues were used for measurement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and moisture. The supernatant was used for determination of viscosity, as well as amino-nitrogen and glucose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amino-nitrogen and glucose content of the supernatant increased by 17.58% (p<0.05) and 10.26% (p<0.05), respectively, while viscosity did not change. Enzym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nitrogen-free extract, crude fat and crude fiber of barley by 18.1% (p<0.05), 20.3% (p<0.05), 16.4% (p<0.05), 26.9% (p<0.05) and 30.0% (p<0.05),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ell wall hydrolysis may contribute to improved nutrient digestion in vivo when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s are fed to swine.

하수재이용을 위한 혐기성 유동상 생물반응기 처리수의 정삼투 여과막의 적용 (Forward Osmosis Membrane to Treat Effluent from Anaerobic Fluidized Bed Bioreactor for Wastewater Reuse Applications)

  • 권대은;김정환
    • 멤브레인
    • /
    • 제28권3호
    • /
    • pp.196-204
    • /
    • 2018
  • 하수처리 혐기성 유동상 생물반응기(Anaerobic Fluidized Bed Bioreactor : AFBR)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입상활성탄을 유동 메디아로 적용함으로써 생물막 형성 및 유지에 유리하며 이로 인해 우수한 유기물 제거 효율을 나타내나 처리된 유출수 내의 질소와 같은 영양염류의 잔존이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AFBR에 의해 처리된 유출수 내의 질소 배제를 위하여 정삼투막(FO membrane)을 유도용액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유출수의 총질소 배제 효율은 FO막에 적용하는 유도용액(draw solution : DS)의 종류 및 농도에 크게 의존하였다. 유도용액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FO막의 수투과량이 증가하였으며, 1 M의 NaCl을 유도용액으로 사용한 경우 총질소 배제 효율은 55%이었으나 1 M의 glucose를 유도용액을 사용한 경우 거의 완벽한 총질소 배제 효율을 나타내었다. AFBR 유출수를 FO막으로 24시간 동안 여과를 진행하였으나 파울링에 의한 수투과량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질정화를 위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Floating Wetland Island for Improving Water Quality)

  • 윤영한;임현만;김원재;정진홍;박재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21-230
    • /
    • 2016
  • 유속이 낮은 정체수역에 대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 인공식물섬 운영기술에 다양한 요소기술을 도입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을 개발하였고 개발기술에 대한 성능검증을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하천에서 여름철과 겨울철 동안에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의 다기능 인공식물섬은 수질정화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정수식물 기반의 식생여과 공정 위주의 일반 인공식물섬 기술에 미세기포 공정과 인공여재에 의한 인 흡착/여과 공정을 추가하여 운영하였다. 개발기술에 대한 계절에 따른 오염물질 (COD, T-P) 제거율 변화로부터 오염부하가 낮은 겨울철 (15.9%, 20.0%)보다는 부하가 높은 여름철 (40.9%, 45.7%)에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별 제거율 (SS, Chl-a)에서는 미세기포 공정은 여름철 (33.1%, 39.2%)에, 인 흡착/여과 인공여재 및 식생여과 공정은 겨울철 (76.5%, 59.5%)에 높은 제거효율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정화능은 계절별 변화 또는 오염부하 정도에 따라서 적용 기술별로 제거능을 나타내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인공식물섬 주변의 생태변화 분석결과, 식물섬 저부에 미세기포의 공급으로 용존산소가 증가됨으로써 혐기화에 의한 물질환원 현상을 방지하고 수류순환을 유도하여 친환경적인 새로운 수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다기능 인공식물섬에 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이 개선되고 다양한 동식물의 성장으로 정체수역 저부의 물질순환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저온기 부영양 수계의 규조 발생에 대한 말조개의 섭식특성 (Grazing Effects of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on the Hibernal Diatom Bloom in the Eutrophic Lake and Stream)

  • 이송회;황순진;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1권2호
    • /
    • pp.237-246
    • /
    • 2008
  •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성격이 다른 저온기 두 부영양수계에서 우점하는 규조류 중심의 현장수에 대한 한국산 말조개(Unio douglasiae)의 섭식특성-여과능 및 배설물 생산을 각각 비교 조사하였다. 두 실험수 모두 패류밀도가 증가할수록 뚜렷한 엽록소 $\alpha$ 감소를 보였으며, 한강시료는 1시간 이후부터, 일감호 시료는 패류 처리와 함께 즉시 감소였다. 한강시료는 고밀도 처리에서 감소율이 높았으며 (약 90%), 일감호시료는 패류밀도 간에 다소 차이는 보였으나 고밀도군에서도 50% 정도 감소하였다. 조류 현존량의 변화경향는 엽록소와 유사하였으며, 시료와 조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패류의 조류여과능은 패류적용 1시간째 시료 간에는 큰 차이를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사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배설물 생산은 한강시료에서는 밀도간에 차이가 적었으며 일감호의 높은 전도도와 탁도, 낮은 DO 포화도에서는 밀도 간에 100배 이상의 큰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일감호에서 고밀도 패류 적용시, 낮은 엽록소(조류)감소 및 높은 배설물 생산 등은 소화가 어려운 고형물의 축적효과가 높아 저온기 동안 탁도가 높은 하천 및 호수의 수질개선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SCB 액비 시용 논에서 물관리를 통한 양분의 수계 부하 최소화 방안 (Minimizing Nutrient Loading from SCB Treated Paddy Rice Fields through Water Management)

  • 김민경;권순익;강성수;정구복;홍성창;채미진;소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71-675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오계2리 SCB 액비를 시용한 논에서 수질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째, 액비가 시용된 경지정리된 논에서는 시용 직후부터 이앙 후 3주까지 물 흘러대기를 금지하여 시용된 양분의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시비효율을 높이는 방안, 둘째, 액비를 최소 이앙 20일 전에 시비하여 토양 중 양분 보유 능력을 높여 작물의 양분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안, 셋째, 액비 살포 후 바로 경운시 담수심을 5 cm내외로 유지하여 환경부하 저감 및 용수절감 효과를 높이는 방안, 넷째, 액비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변성 대장균은 논에 시용 후 48시간 후부터 소멸되기 시작하므로 최소 2일 동안 물꼬를 막아 논 표면수의 유출을 억제하여 대장균에 의한 인근 하천 수계 오염을 저감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SCB 액비를 시용하는 평탄지 논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로 물관리 패턴이 다른 곡간지 논에서는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액비를 시용하는 논은 대부분 시용이 용이한 경지정리된 평탄지 논으로 본 연구결과들은 외부 수질환경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영농지도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