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and job satisfaction that novice health teachers experienced in a new school environment, and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policy develop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novice health teachers without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the qualification of 1st grade and with less than four years of work experience in Korea.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x2 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ovice health teachers had the most difficulty in health education during their job performance, whereas teachers without hospital clinical experience encountered difficulties in health management. Those with less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or no experience of being contract health teachers had higher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ack of experience in performance at a school site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ifficulty in job performance.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novice health teachers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status recognition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their tasks in charge. Additionally, as the difficulty in job performance increased, job satisfaction decreased.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e need for training to provide novice health teachers with sufficient experience in job performance before being placed in a school. The provision of support to respond to difficulties in job performance will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novice health teachers, but also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chool healt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of 1,321 low-income adolescents in 123 regions found on the Survey on Servic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are Center. Results: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s follows: individual-level factors were gender, grade in school, and emotional problem; an interpersonal-level factor was family structure; organizational-level factors were length of time attending center an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the center; community-level factors were region and perception of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ow-income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 factors but also by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ty factors suggest that mor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leisure facilities for adolescents need to be built in small and medium cities. Strategies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 of community are also needed for this population. Fur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leve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vulnerable social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onform the effect of the aseptic dressing method to prevent infusion phlebitis. One quaxi-experimental, nonequ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to evaluate prevention of phlebitis between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The data for the control group were collected from 100 hospitalized patients from July 1 to November 30, 1999. The data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llected from 100 hospitalized patients from December 1, 1999 to March 5, 2000. The control group used paper tape on the IV site and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 sterile gauze dressing which was changed every 24 hours. Two sets of instrum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First, instrument developed Weinstein(1993)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for judging phlebitis. The second, instrument developed Park(1996) was used for assessment records concerning the phlebitis which developed. Catheter sites were inspected on a daily basis by unit nurses and development of phlebitis was grade and documented.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phlebiti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atheter insertion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x^2=3.56$, p<.05). 2. The incidence of phlebiti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atheter insertion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x^2=28.79$, P<.0001).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severity of phlebitis. 4.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incidence of phlebiti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insertion site. 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in the incidence of phlebitis by age 6.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in the incidence of phlebitis by sex($x^2=3.88$, p<.05) 7. Further study revealed that the duration of catheter and sex were predictors of occurrence of the phlebitis, explaining 38.2%, 14.2% of the total varianc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septic dressing method is recommended to be prevent infusion phlebiti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급성 호흡기 감염병을 중심으로 한 개인 보호구 관련 지식과 인식 및 태도 정도와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참여자는 임상 실습 중인 간호대학생 3학년, 4학년 학생 총 200명이었다. 자료는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이고, 개인 보호구 관련 지식과 인식 및 태도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개인 보호구 관련 개인 보호구 관련 지식 점수는 20점 만점에 17.83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68점,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4.14점이었다. 따라서 지식과 태도 수준은 높았고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개인 보호구 관련 태도는 지식 및 인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어 개인 보호구 관련 태도는 지식 및 인식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위한 개인보호구 사용을 포함한 효과적인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에게 개인 보호구 이용을 숙달시키기 위해 장비 및 관련 자원을 제공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BACKGROUND/OBJECTIVES: Low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 is frequently viewed 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obesity risk. With increasing childhood obesity and relatively low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Thai children,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intake to promot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effectively. SUBJECTS/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two conveniently selected primary schools in Nakhon Pathom. A total of 609 students (grade 4-6)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dequate fruit and vegetable intakes were defined as a minimum of three servings of fruit or vegetable daily, and adequate total intake as at least 6 serves of fruit and vegetable dail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a sufficient fruit and/or vegetable intakes was low. Covariates of child'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ufficient intakes of fruit and/or vegetable (P < 0.05).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ufficient intake of vegetable; lower grade, a positive attitude toward vegetable, and fruit availability at home; and that greater maternal education, a positive child's attitude toward vegetable, and fruit availability at h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fficient consumption of fruits and total fruit and vegetable intake.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personal factors like attitude toward vegetables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reater availability of frui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fficient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o successful nutri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volving parents and schools.
본 연구에서는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을 지각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주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직업환경에서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성인 진로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간호대학생으로 2020년 2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로 총 187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학년과 학과 지원동기,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지각의 영향 유무 및 진로적응성을 예측변수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21,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전공만족도 총 변화량의 33.1%를 설명하고 있다. 학년, 학과지원동기, 직장 내 괴롭힘 지각과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간호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설명하는 선형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242, p<.000),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자기주도성 총 변화량의 28.9%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괴롭힘 문화에 대한 지각 및 인식개선을 위한 상담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도와 두 곳의 G도 등에 소재하는 종합대학의 간호대학생 177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15일부터 11월 5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우울(r=-.529,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들의 언어폭력은 성폭력(r=.615, p<.001), 우울(r=.5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성폭력과 우울(r=.299,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우울과 자존감(r=-.390,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우울(${\beta}=-.377$, p<.001), 자아존중감(${\beta}=.443$ p<.001), 학년(${\beta}=.178$, p=.001), 소속병원유무(${\beta}=-.140$, p=.008)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대해 52.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는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 우울을 낮추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아울러 우울을 야기할 수 있는 폭력경험을 줄이는 방안으로 실습 전 폭력예방 및 대처프로그램의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ng hours of smartphone usag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risk group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13,648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ir own smartphone extracted from the 13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2017). The factors related to using smartphones for a long time was analyzed by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risk group was defined by a decision tre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hours spent on smartphone usage was 269.54 minutes per day.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ong hours of smartphone usage were grade, living with parents,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status,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stress, sadness and hopelessness, the main purpose of smartphone usage, drinking, body mass index, breakfast, and satisfaction with sleep quality. The subjects showing low academic performance and having breakfast four times a week or less were more likely to use their smartphone for a long tim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need to establish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ime usage of smartphone. Particularly, the subjects who show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skip breakfast frequentl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high-risk group for spending long hours on smartphone usage.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 of skin cancer training provided to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knowledge and behaviou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ha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pre-test and post-test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wo maritime high schools located in the city of Antalya we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between March and June 2013, covering a total of 567 students. Results: While the knowledge mean scores of students regarding skin cancer and sun protection did not vary in the pre-test ($6.2{\pm}1.9$) and post-test ($6.8{\pm}1.9$) control group, the knowledge mean score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6.0{\pm}2.3$ to $10.6{\pm}1.2$ after the provided training. Some 25.4%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low knowledge level and 62.2% had medium knowledge level in the pre-test; whereas no students had low knowledge level and 94.3% had high knowledge level in the post-test. It was determined that tenth grade students, those who had previous knowledge on the subject, who considered themselves to be protecting from the sun better, had higher knowledge levels and their knowledge levels increased as the risk level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provided training was effective and increased positively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ur level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erms of skin cancer and sun protection. Conclusions: Along with the provided training which started to form a lifestyle, appropriate attitudes and behaviours concerning skin cancer and sun protection could be brought to students who will work in outdoor spaces and are members of the maritime profession within the risk group.
목적: 본 연구는 죽음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J시 G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자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실험군과 대조군 대상자 모두에게 2004년 3월 2일 일반적 특성과 죽음관련 특성,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대해 사전 조사하였고, 실험군은 2004년 3월 2일부터 3월 12일까지 죽음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 조사하였으며, 대조군은 실험군의 프로그램 종료일인 2004년 3월 12일에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대해 사후 조사를 하였다. 연구 도구는 죽음교육 프로그램,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죽음교육은 Alfons[14]의 '죽음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와 죽음교육 관련문헌[8,15-17]와 송길원[18]과 김수지 등[19]을 통해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죽음의 탐색, 이해, 수용, 중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실험군에게 주 3회 1회에 100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였다. 죽음 불안은 Collette와 Lester[28]가 개발하고 서[20]가 수정 번안한 죽음불안척도(Fear of Death and Dying Scale)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임종 간호태도는 Frommelt와 Katherine[8]이 개발한 임종간호태도척도(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를 본 연구자가 번역한 후, 영어 전공자 2인이 역으로 번역하였고, 성인간호학 교수 2인, 정신간호학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Windows (versio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가설검증을 정규성 검증,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실험 전 후 차이는 paired t-test,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 정도(범위 $35{\sim}160$)는 90.89점이었고, 임종간호태도 정도(범위: $30{\sim}120$)는 86.78점이었다. 2. 제 1가설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죽음불안 정도가 죽음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2.11, P<.05). 3. 제 2가설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임종 간호 태도 정도는 죽음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긍정적으로 높을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 되었다(t=2.99, P<.01). 결론: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 정도를 낮추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임상간호사와 호스피스 대상자 및 가족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