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Simulation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27초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과 간호과정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actice education using the simulator,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김정미;최영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263-270
    • /
    • 2015
  •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 능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총 12주간 4개의 시나리오를 간호학생 41명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비판적 사고 성향은 교육 전 $3.25{\pm}.26$점과 교육 후 $3.41{\pm}.31$점으로 유의하게 높게 났다(p=.022). 그러나 문제해결능력과 간호과정 자신감 점수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간호과정 자신감 하부영역 중 간호과정 지식, 관련요인 구분, 간호과정 단계 연계 점수는 유의하게 높게 났다. 비록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유의한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습 교육이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보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주제와 기간을 다양화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모의화 및 구조화된 노인생애 체험 경험-내용분석기법을 중심으로 (Nursing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Simulated and Structured Elderly Life - Focused on Content Analysis Techniques)

  • 김현정;김희정;윤은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07-11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 재학 중 인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의 노인생애체험 경험을 확인하고자 체험담과 후속 심층면담의 내용을 분석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였으며 간호대 학생들은 S시립 노인생애체험센터에서 약 3시간 동안 노인생애체험을 경험하였다. 체험을 마친 후 반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이 수록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작성된 보고서의 내용을 내용분석법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참여자중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학생들은 노인생애 체험학습을 통해 노인 간호 대상자들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폭넓게 깊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양적인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노인의 신체적인 기능의 변화만을 강조하는 노인유사체험을 보완하여 노화에 대해 보다 더 복합적이고 포괄적이며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노인간호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간호사-간호사, 간호사-의사 협력 및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관계: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Nurse, Nurse-Doctor Coopera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 전소자;전미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75-82
    • /
    • 2024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간호사 협력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간호대학생 140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Pearson's 상관계수,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요인은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사-간호사 협력 및 간호사-의사협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 요인은 간호사-간호사 협력으로 설명력은 48.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간호사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전문직 간 협력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임상현장 사례를 바탕으로 전문직 간 협력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의 교육과정 개발도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의사소통 상황 관련 교육 요구도 조사 (A Survey on Situation-related Communication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Intensive Care Unit Nurses)

  • 황원정;하정민;박다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9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novice nurses'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 This study identified communication challenges in clinical settings to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that enhances communication competencies based on educational requirements. Methods :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he latter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21 novice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the ICU at various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via the online open chatroom from June 24th to July 28th, 2023. The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were identifi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IPA, 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Text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communication experience.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mmunication with nurse on another shift" domains contained the most substantial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s. Conclusion :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ICU nurses. This valuable information could help ICU nurses and educators improve new nurses' communication skills, which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n Integrative Review on Augmented Reality/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s in the Mental Health Area for Health Professionals

  • Han, Soolg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4호
    • /
    • pp.36-43
    • /
    • 2019
  • This is an integrative review paper of Augmented Reality (AR)/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programs in the mental health area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ntents, and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s studies. The keywords used to search the studies were "AR/VR" and "medical/nursing students". The author and a postdoctoral research fellow searched four electronic databases: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and CINHA, and as a result nine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elected studies AR/VR simulation programs in the mental health area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clinical skills as well as fo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stigma of mentally ill patient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 safe and effective tool is important when educating health professionals and AR/VR simulation programs are safe and effective. Thus, standardized AR/VR simulation programs are needed to be developed for health professionals.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의 학습유형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Kolb's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 우정희;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학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D시에 소재하는 일개대학의 간호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다. 학습유형은 적응자가 60명(3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렴자 59명(33.9%), 융합자 28명(16.1%), 분산자 27명(15.5%) 이었다. 교수방법 선호도를 살펴보면, 토론교수법이 7.2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접교수법은 7.26점, 동료 교수법이 7.22점으로 높았다. 독립학습 교수법은 6.54점, 프로젝트 교수법은 6.25점, 공학중심 교수법은 5.77점, 교수게임 교수법은 5.45점으로 평균정도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수법은 4.23점으로 가장 낮았다.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은 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경우는 적응자가 35명(46.1%), 그렇지 않은 경우는 수렴자가 46명(46.9%)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유형의 분석은 교수자의 수업운영 전략을 계획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간호대학생 실습허용에 대한 견해 및 인식 (Opinions and Perceptions on Allow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among In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 김영진;김지선;김혜림;박수비;소샛별;정보성;조은애;이선영;김정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0-2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ients' perspectives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s in the wards, and to investigate their willingness for allowing students to practice on them.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116 in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S University Hospital. A 60-item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collect the data. The participants were 19 years and older with sound judgement, and were not in special or intensive care units. Data analysis was done in SPSS/WIN 2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and the ANOVA test. the participant answered to questionnaire from April 29th 2016 to May 10th. Results: 40 participants (34.5%) stated they would allow students' practice, while 72 (61.2%) said they would allow only under staff supervision. 5 participants (4.3%) stated they would not allow whatsoever. The 3 most allowed were emotional support, oral care, and vital signs measurement while the 3 least allowed were gastric feeding, intravenous catheterization, and urinary catheterization. Conclusion: Patients were more inclined to allow students to practice on them when a member of the medical team was present. A fair number of participants said they would be more inclined to allow students' practice if they felt the student was competent; hence, reinforcing simulation sessions is vital in enhancing students' competency and ultimately practice allowance.

간호교육에서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현황과 발전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 김건희;황은희;신수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1호
    • /
    • pp.18-24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and readiness of nursing educators regard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nd discussed the validity and application of IPE in nursing. From December 2016 to January 2017, 239 nursing professors and nurse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erception Scale, the Readines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Survey (RIPLS), and an IPE action pl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using the IBM SPSS ver. 23.0 program (IBM Corp., Armonk, NY, USA). The analysis revealed that 91.6% of the participants had not experienced IPE, and only 11.7% knew about IPE. However, approximately 80.0% answered that IPE is necess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perceived need for cooperation was higher in nurses than it was in professors, while the score on competency and autonomy was higher in professors than it was in nurses. With reference to the scores on the RIPLS, those of professors were high on the sub-scales of teamwork and collaboration, professional identity, and roles and responsi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considered the upper-grade undergraduate years as the ideal time for imparting IPE, and it was deemed suitable to include communication, simulation, and clinical practice in IPE. Doctors, pharmacists, and physiotherapists were thought to require cooperation for IPE the most. Despite the presence of several barriers to IPE,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IPE can achieve learning outcomes such as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teamwork.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professionals in the complex clinical environment as professional areas a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IP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nd in on-the-job training.

시뮬레이션학습에서 역할교대 경험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셀프리더십 및 디브리핑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ole Rotation Experience on Learning Flow, Self Leadership and Debrief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Learning)

  • 서지영;최은희;이경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23-430
    • /
    • 2017
  • 본 연구는 역할교대 경험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셀프리더십과 디브리핑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Y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05명이었으며, 시뮬레이션 운영을 위해 수분전해질 불균형 환자에 대한 시나리오를 연구자가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동질성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chi-test와 t-test를 실시하였다. 동질성 검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실습 시에 역할교대 경험에 따른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브리핑 만족도는 다양한 역할을 경험한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역할경험이 시뮬레이션 만족도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간호 대학생들이 다양한 역할경험을 하는 것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면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수학습방법 선택의 목적인 대상자의 학습몰입과 간호사의 핵심역량인 리더십 향상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으므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간호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Nursing Students)

  • 양선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86-29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로 일 대학의 간호 대학생 198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아 존중감 척도, 의사소통능력 척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통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5점 만점에 자아 존중감은 평균 $3.4{\pm}0.57$,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5{\pm}0.42$,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평균 $3.6{\pm}0.58$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 남학생보다 여학생(85.4%),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72.2%)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자아 존중감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하위 변수인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r=.156, p=.029), 의사소통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r=-.329,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성별, 임상실습만족도, 시뮬레이션 실습경험 여부였다. 이 요인의 설명력은 총 27.8%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이들 변수를 반영한 다양한 교수법 활용 및 학습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