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in the Elderly)

  • 김효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193-203
    • /
    • 2001
  •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시에 거주하는 가정노인으로 노인 대상자 중 55세 이상인 자, 노화에 의한 시청각 장애가 심하지 않은 자,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연구에 참여하기로 허락한 자로 168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9월 16일부터 10월 16일까지였으며 설문지의 목적을 이해하고 면접방법에 대해 훈련받은 간호학과 학생들이 노인이 있는 가정을 방문하여 대상자를 일대일로 면접하였다. 면접자가 직접 기록하여 회수율이 100%였으며 설문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30-40분정도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heikh와 Yesavage, 1986), Barthel의 Index(Mahoney와 Barthel, 1965)를 수정한 식사능력, 목욕능력, 세면능력, 화장실 사용능력 등으로 구성된 일상활동 능력 측정도구, 근골격계 증상(통증) 측정도구, 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개발한 Health Self Rating Scale를 수정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서술통계방법 (실수, 백분율), t-test, ANOVA, Pear 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중 연령(F=3.17, p=0.026), 배우자 유무(t=-2.44, p=0.016)에 따라 대상자의 우울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간 차이를 보기 위해 사후검증한 결과 75-84세군이 65-74세군보다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배우자인 대상자의 우울 점수가 유배우자 보다 높았다. 2. 신체적 건강에 따른 우울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일상활동능력(ADL)은 6-9점(세가지 이상의존)인 경우가 10- 12점(한 두가지 의존 또는 완전독립)인 경우보다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3.93, p=0.000). 근골격계 증상은 11- 13점(세 가지 이상 증상 있음), 14점 (모든 증상 있음)인 경우가 7점(전혀 증상없음)인 경우보다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F=5.33, p=0.002). 지각된 건강상태는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응답한 대상자일수록 우울 정도가 높았다(F=17.04, p=0.000). 3. 일상활동능력이 적을수록(r=-0.293, p=0.000), 근골격계 증상이 많을수록(r=.251, p=0.001), 지각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r=-0.522, p=0.000) 대상자의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신체적 건강 요인들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29.1%이었으며, 이 중 지각된 건강상태의 표준 회귀계수(Beta)가 -0.456으로 가장 좋은 설명력을 가졌으며 일상활동능력(Beta=-0.140)의 순으로 좋은 설명력을 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우울 정도가 높은 가정노인을 간호하기 위해 가정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일상활동능력, 근골격계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 및 인구학적 특성(연령, 배우자 유무)을 고려한 건강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2. 추후 연구에서는 가정노인의 신체적 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상태와 기능 및 활동의 융합요인 (Convergence factors among their physical state, function and activities influencing on the cognition of elderly residents in a community)

  • 박진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53-162
    • /
    • 2015
  • 본 논문은 지역사회 재가 노인(65세 이상)의 인지수준에 영향하는 신체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10~2012년도 서울시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 중 35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의 인지수준은 한국어판 하세가와 치매척도(HDS-K)를 사용하였으며, t-test, ANOVA, 다변량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노인의 인지수준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13.6%에서 경도인지장애가 나타났다. 지역사회 재가 노인은 연령, 체중변화량, 체질량 지수 변화량, 걷기운동, 유연성 운동에 따라 인지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정상 체질량 지수를 보이는 노인들은 최근 2년간 체질량 지수가 3이상 감소된 그룹에서 인지수준이 가장 낮았다. 정상 체질량 지수를 보이는 노인의 인지수준에 영향하는 요인에는 연령, 최근 2년간 체중변화, 최근 2년간 체질량 지수 변화, 걷기 운동 등이 있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노인의 인지수준을 12.2% 설명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 갑작스런 체질량 지수 변화가 있는 노인들의 인지 장애 예방을 위하여 이들에 대한 영양관리 및 걷기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on the Job Satisfaction for Care Workers - Case Study of Jeollanamdo -)

  • 김혜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35-59
    • /
    • 2011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3년이 경과한 지금,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핵심 인력인 요양보호사가 이 제도의 성패여부를 좌우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특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전라남도 노인장기요양기관 61곳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93.5%를 차지하였으며, 40-50세 이상의 연령이 78%였고, 고졸이하의 학력이 68.7%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형태는 계약직, 임시직이 63.2%를 차지하였으며, 지난 1년간 받은 교육 총 횟수는 53.3%가 5회 미만 이였고, 연봉은 79.7%가 2,0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직무만족도는 5점 리커트 척도의 3.19점으로 나타났고, 시설급여기관에 종사한 요양보호사보다는 재가급여기관에 종사한 요양보호사가,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이, 연간교육 횟수와 연봉이 많은 요양보호사일수록 직무만족도는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와 직무만족향상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음성인식에 기초한 치매환자 노인을 위한 대화시스템 (Dialog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im, Sung-Il;Kim, Byoung-Chu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23-930
    • /
    • 2002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이루어진 맞장구 등의 긍정적인 대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로서, 치매환자가 간호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환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발화 음성을 자동인식 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시스템의 응답은 전문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설계되었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되지 않았을 때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고, 치료 전문가(occupational therapist)들이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남성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평가 견과는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전문간호사들보다 더욱 답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간호사들보다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요양보호사의 응급상황 경험 및 응급지식, 응급상황대처능력 비교 (Comparison of Emergency Experience and First Aid Knowledge, Emergency Coping Ability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Group Home Caregivers)

  • 김순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39-253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요양보호사의 업무특성에 맞는 응급상황대처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응급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S 및 G지역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대상으로 2020년 7.10~8.15 실시하였으며, 최종 23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χ2 검정,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급상황 경험은 시설군 68.9%, 공생군 50.7%로 두군간에 차이가 있고(χ2=8.42, p=.004), 응급처치 담당자는 시설군 간호(조무)사 55.3%, 공생군 시설장 42.7%였으며, 두군간에 차이를 보였고(χ2=27.84, p<.001), 응급처치 경험은 시설군 56.5%, 공생군 68.0%, 응급처치 항목은 시설군 해열처치, 복약도움, 하임리히법, 공생군 119 및 보호자 연락, 해열처치, 하임리히법순으로 실시하였다. 응급처치 지식은 시설군 11.60±2.09점, 공생군 9.08±2.28점으로 집단간 차이가 있었고(t=8.39, p<.001), 응급상황대처능력은 시설군 52.94±5.27점, 공생군 47.33±4.39점으로 두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t=8.00, p<.001). 또 시설군에서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상황대처능력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시설과 공생 요양보호사가 경험한 응급상황 경험 및 응급지식, 응급상황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규모별 기관특성에 맞는 응급교육을 개발하여 적용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한옥 유니트형 노인복지시설 모델 제시 (Model Development of Unit-care Welfare Facility for a Traditional Korean House Using Computer Graphics)

  • 남윤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3-3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computer graphics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house(Hanok) style interior to unit-care space of Welfare Facility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as interior design and construction materials. In this paper, the proposed computer graphic-based model is a single-story building that provides convenient traffic between rooms. Computer graphic-based model is presented by Auto CAD, 3D program (Sketch-UP v.8), rendering program (Podium v.2) based o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related work of unit-care welfare facility. Computer graphic-based model that combined unit-care and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each room of living space, wallpaper and flooring Korean paper(Hnaji) is considered and windows, door, furniture of traditional pattern were placed. The living room(Daechung)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the corridor (toenmaru) are the elements to save the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the corridor (toenmaru) is placed to conveniently use in nursing-care facility and home-care support facility. A public space is placed around the inside court (An-madang), while the living space (unit-care) has a sense of independence by separation. Bathroom and kitchen have a modern design for functionality than aesthetic elements.

치매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후 MBI와 MMSE 사이의 상관관계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BI and MMSE after Exercise Program for Dementia Elderly)

  • 박래준;이현옥;김성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83-93
    • /
    • 2000
  • 29 dementia patients over 60 years of no in the nursing home were assigned to execute rehabilitation program a month for 3 months. 1 evaluated MBI scores and MMSE scores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both scores. Analyses of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habilitation program. AD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improved significantly(p<0.05). 2.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rehabilitation program. ADL was decreased significantly(p<0.05), cognition was not changed (pgt;0.05). 3. There were significant rises in MBI scores and MMSE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p<0.05). 4. There was a significant fall in MBI scores in the control group(p<0.05). a no change in MMSE scores in the control group(p>0.05). 5.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ADL and cogn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6. Inverse correlation revea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L. 7. Inverse correlation reveal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ognition.

  • PDF

A Study on Parking Reality in Residential Areas and an Improvement Plan -Focusing on concentrated areas of multi-family housings in Gongneung-dong, Seoul-

  • Hwang, Sung Eun;Kang, Boo Seo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103-108
    • /
    • 2018
  • Wandering behavior is a serious problem among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yet it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study As multi-family houses built before the '80s in South Korea were designed, it did not take account into issues related to parking so that at present parking became a big issu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ried various ways to sort out the parking problem in multi-family house areas, but inadequate parking and illegal parking are still an ongoing problem.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urrent situation on resident parking only and illegal parking centered on a congested area of multi-family houses in Seoul and present the improvement plan of parking problems through case investigation home and abroa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subject area consists of 506 households in total and 186 parking spaces and also, 100 cars in parking space or parking lot in housing space and 143 in illegal parking. Green parking business and open access parking system were suggested as solution plan for parking problem. Thu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green parking business for 6 houses and the parking lot of elementary schools around, the illegal parking problem would be sorted out.

치매, 중풍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현황과 이용수준 관련 요인 (The Long-term Care Utiliz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oke, and Multimorbidity in Korea)

  • 전보영;권순만;김홍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0-100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dementia, stroke, and combined multimorbidity with long-term care utilizations among older people in South Korea. Method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0,130 older adults who used long-term care services in 2010 were analyzed. We used the 5% sample of aged 65 years or older linked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registry data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sampl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dementia only (47.6%), stroke only (36.3%), and both dementia and stroke (16.1%). We estimated the use of institutional care, home care, and total expenditure of long-term care services, adjusting for the severity of each function (such as daily life, behavior or cognitive change, nursing care needs, and rehabilitation care need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Having dementia symptom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institutional care services, on the other hand, having stroke symptom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use of home care. The total long-term care cost was higher in the group of having both dementia and stroke. Conclusion: Older persons with dementia symptoms and stroke symptoms have different patterns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and the multimorbidity increased the overall expenditure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for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targeting physically and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rsons, and special concerning for persons with multimorbidity condition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