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Facility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4초

장기요양환자에서 환자 특징 및 기능상태와 환자돌봄 시간과의 관련성 (A Relationship of Care Time with Functional Status and Patients Characteristics among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지전;김정인;유승흠;유형식;이상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82-291
    • /
    • 200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status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 time of health professionals for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 The functional stati of 1001 patients in 8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examined by the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for Long-term Care Facility Version 2.0. The care time of health professionals for patients was calculated using data from a self-reported task survey by nurses, auxiliary nurses, private aides, doctors, physiotherapists and social workers. Results : The average care time per diem was 240.6 minutes. The care time by doctors, nurses and private aides were 11.0, 71.0 and 139.5 minutes, respectively. The lower the fun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the greater the symptoms of extensive services, special care and clinical complexity, the more care time was served. On the contrary, the greater the symptoms of nursing rehabilitation, depression, cognitive disorder, behavior problem and psychiatry/mood disorder, the less care time was served. Age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are time. Conclusions : Developing a case mix classification system for elderly long term care patients may be helpful for both of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The ADL, extensive services, special care and clinical complexity of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a case mix system for the long term care of patients in Korea.

융복합 연구를 위한 국내 치매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dementia research trend for integrated study)

  • 유순덕;백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는 15년간 치매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여 치매 관련 연구 및 정책수립 등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정량적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고 자료 조사는 구글 스칼라 사이트에서 15년간 12,588편의 치매 관련 연구 자료를 사용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치매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둘째, 정부 지원과 같은 사회적 영향에 따라 치매 연구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셋째, 치매를 시설보호 및 치료적 관점에서 경증환자관리, 지역사회 참여중심의 사전예방 관점으로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넷째, 치매는 중증으로 부정적인 인식으로 외부에 공개를 꺼리는 분위기에서 느리지만 관리가 되는 질환으로 수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치매 친화적 사회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환경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제시하여 치매 관련 분야 연구에 기여한다.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Rural Community Facilities Applied Universal Design)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3-120
    • /
    • 2015
  •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rural area is changing due to the decreasing population growth of the aged with disability and people returning to farming. Since 1970's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spreaded out across most rural villages. Although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are the most widely used facilities, the existing facilities are need to be new built or remodel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nges, usage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Given this reality,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village assembly hall and nursing home for senior citizen are not only used for daily life place but also used like co-residence having meals and sleeping together. Therefore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welfare service space for rural elderly peopl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al design applied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most of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were built in the 1990s and 82% of the buildings were more than 15 years old. Furthermore, 45% of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more than 15 years old most have a ground floor in masonry structure. The area of the building is 65% less than $100m^2$. The width of the access entrance, the height of the sink, gas safety valve and so forth were relatively well designed. However, the handrail of the entrance, space in front of the toilet bowl,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trance and floor, the installation of the width of the ramp and stair handrail was relatively incomplet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to be built in the future should be universal design fundamentally.

Potential Benefits of a Selective Region High-frequency Diathermy with Therapeutic Exercises on Older Persons with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A Case Report

  • Ha, Sin Ho;Lee, Dong Geon;Hong, Soung Kyun;Lee, Gyu Cha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87-397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selective region high-frequency diathermy at trigger points with therapeutic exercises on pain,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older patients with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DKO). Design: A case report. Methods: The patient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a 71-year-old woma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moderate osteoarthritis with grade II Kellgren & Lawrence grading scal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selective region high-frequency diathermy at trigger points, with hip and knee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s. The participant was given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every intervention session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WOMAC),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the 10 Meter Walk Test (10MWT). The participant performed the intervention 18 times for a total of 30 minutes each.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tient VAS decreased to 3 points, and the WOMAC decreased to 53 points. In addition, the TUG decreased to 3.25 s and the 10MWT decreased to 1.14 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ective region high-frequency diathermy at trigger points with therapeutic exercises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decrease pain, improve knee functi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DKO. The selective region high-frequency diathermy with therapeutic exercises may be feasible and provide potential benefits for rehabilitation of DKO.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업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Care givers on Job Change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ccupational Adaptation)

  • 박스잔;김윤재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9-175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업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장기적으로는 요양보호사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증적 연구과제로 확인하고자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직업적응 및 이직의도를 선정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업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경기지역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심할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고 직무에 몰입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하다고 느길수록, 직장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수록 이직의도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직업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은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만 매개역할을 하고,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변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평소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긍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되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조직에 몰입하면 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장은 요양보호사들이 보다 직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과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시설운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 경영전략 및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김신월;정은경;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51-64
    • /
    • 2002
  •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Health Care and Long-term Care at the End of Life: Evidence from Korea)

  • 한은정;황라일;이정석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99-123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에서 사망한 자의 임종 관련 의료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임종 관련 의료비의 효율적 관리방안과 양질의 임종관리 제공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자료,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자료이며, 2008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장기요양 인정등급을 받고 같은 기간 내 사망한 자 총 271,474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성(60.6%), 75세 이상(74.7%)이 다수를 차지했고, 대부분이 2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혈압(44.3%), 치매(42.3%), 뇌졸중(29.9%) 등 비율이 높았다. 사망원인은 순환기계질환(29.8%), 암(15.3%),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14.7%) 등의 순이었고, 사망장소로는 의료기관(64.4%), 자택(22.0%), 사회복지시설(9.2%) 순이었다. 대상자의 등급인정 이후 사망까지 소요시간은 평균 516.2일이었고, 대상자 중 99.3%는 사망 전 1년간 건강보험 또는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이용하였다. 특히, 1인당 평균 총 급여비는 사망한 달에 가까워질수록 규모가 커져, 사망 전 12개월 보다 사망 전 1개월에 3배 이상 높아졌다. 또한, 사망 전 1개월간 대상자의 31.8%는 연명치료 범위에 해당하는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장기요양 인정자의 임종 관련 불필요한 의료이용 감소 및 효율적 의료관리를 위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통합적 임종관리 전달체계 확립과 호스피스 등 임종케어의 적극적 도입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