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ery period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3초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hibiting Floral Indu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Area)

  • 이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2
    • /
    • 1995
  • 중(中) 산간지대(山間地帶)에 재배(栽培)되는 참당귀(當歸)의 화성유도(花成誘導)에 의(依)한 추밀률(抽蜜率) 감소(減少)를 위(爲)하여 1992년(年) 2월(月)부터 1994년(年) 11월(月)까지 경북농촌진흥원(慶北農村振興院) 북부시험장(北部試驗場)에서 육묘지대(育苗地帶), 육묘기간(育苗期間)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따른 화성(花成) 및 품질(品質)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育苗地帶)에 따른 추대율(抽臺率)은 표고(標高)가 높을 수록 현저(顯著)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이 200, 400m인 지대(地帶)보다 양호(良好)하여 참당귀(當歸)의 육묘적지(育苗適地)는 적어도 표고(標高) 600m 이상(以上)이 적당(適當)하다고 사료(思料)된다. 2. 중(中) 산여(山閭) 지대(地帶)에서는 육묘기간(育苗期間)이 짧아질 수록 추대율(抽臺率)이 현저(顯著)하게 낮아서 수량(收量)은 증수(增收)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含量)은 육묘기간(育苗期間)이 길어질 수록 증가(增加)하여 육묘기간(育苗期間)과 품질면(品質面)에서는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유기물(有機物) 자원별(資源別)에 따른 추대반응(抽臺反應)은 단비(單肥) 시용구(施用區)보다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추대율(抽臺率)이 낮았으며, 특(特)히 볏짚퇴비(堆肥)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 및 품질반응(品質反應)은 관행재배(慣行栽培)보다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양호(良好)하였지만 유기물(有機物) 자원간(資源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자동청력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ABR System Using a Microprocessor)

  • 노형욱;이탁형;김남현;김수찬;차은종;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2호
    • /
    • pp.15-21
    • /
    • 2009
  • 난청은 가장 흔한 선천성 장애이다. 이 질병의 발생 빈도는 신생아 1000명 출생 당 $1{\sim}3$명 정도로 상당히 높다. 이러한 청력 장애가 조기에 발견된다면 수술적인 치료 등으로 예방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 언어와 학습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관점을 근거로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선천성 난청의 선별검사는 큰 의미를 가지며 난청환자의 조기발견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수동 청력검사 시스템은 신생아 청력 평가 시 검사자의 주관성에 의존하게 되므로, 청성뇌간 반응의 뇌파 분석이 잘못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청여부를 자동으로 판독하여 결과를 나오도록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하기 위하여 휴대용으로 개발하여 차폐실이 아닌 일반 병실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유소아의 청각 장애를 극복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돈사환경 개선을 위한 생육단계별 돈사내 악취물질 농도 및 유해가스의 1일 변화추세 분석 (Analysis of Changing Pattern of Noxious Gas Levels with Malodorous Substance Concentrations in Individual Stage of Pig Pens for 24 hrs to Improve Piggery Environment)

  • 유원균;김초롱;이명규;김동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34
    • /
    • 2012
  • 1. 돈사의 유형별 시간대에 따른 공기품질의 변화패턴을 알아본 결과 돈사 실내의 온 습도, 먼지농도, 실내기체의 조성 등이 주간과 야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돈사는 주간시간대인 12:00경의 실내 환경조건이 가장 양호하였고 00:00~06:00 사이의 공기조성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돈사의 유형별 공기품질이 양호한 곳은 임신돈사와 분만돈사였으며, 불량한 돈사는 육성돈사와 비육돈사 이었다. 공기의 품질이 양호하였던 임신돈사의 경우, 슬러리 형태로서 분과 뇨의 분리가 잘 이루어진 결과였으며, 분만돈사의 경우는 돈사당 사육두수에 비하여 포유자돈의 배설량이 적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공기품질이 불량한 육성돈사 및 비육돈사는 분뇨배설량이 많을 뿐 아니라 분뇨의 적체시간이 긴 구조적 특성이 작용한 결과였다. 또한 분만돈사의 경우, 심야시간대인 00:00 부터 06:00 사이에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이 시간대의 공기품질이 자돈폐사율의 증가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그러므로 돈사의 환경을 개선하려면, 실내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설구조, 적합한 사육밀도의 조절 및 자동감지 환기 시설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양파 연작지의 분홍색뿌리썩음병 방제를 위한 담수처리 효과 (Influence of Soil Flooding on Control of Pink Root Disease in Onion Crop)

  • 문진성;이종태;하인종;황선경;송원두;천미건;이찬중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4-109
    • /
    • 2007
  • 양파 연작지 토양의 담수기간에 따른 분홍색뿌리썩음병의 방제효과, 양파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 토양병원균의 밀도변화는 담수기간이 길수록 균밀도의 감소효과가 뚜렷하여 처리 후 90일에는 무담수에 비해 $1/2{\sim}1/3$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양파 재배후 균밀도는 담수직후 보다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파 육묘상 담수처리에 의한 분홍색뿌리썩음병의 방제효과는 담수 60일 이상 처리에서 $93.5{\sim}99.2%$였고, 뿌리이병율도 무담수에 비해 $1/11{\sim}1/18$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양파 재배포장에서의 발병율 또한 담수 60일 이상 처리에서 5% 미만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양파의 구중과 상품수량은 무담수에 비해 담수처리에서 증가되었으며, 담수기간이 길어질수록 대구의 비율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이 양파 분홍색뿌리썩음병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는 연작지에 양파를 정식하기 전에 담수처리를 할 경우, 적어도 2년간, 60일 이상 담수처리를 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분홍색뿌리썩음병균의 밀도와 병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정상적인 양파 육묘 및 생육에 의한 구비대로 수량 증수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뿌리혹병 감염이 장미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own Gall Infection on Growth and Flowering of Rose)

  • 한경숙;김원희;박종한;한유경;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9-164
    • /
    • 2008
  • 양액장미에서 발생하는 뿌리혹병에 대해 2003년부터 2007년 까지 피해상황을 조사하였다. 장미 뿌리혹병은 최고 38.1%까지 발생하였으며, 양액재배하는 장미에서 피해가 더욱 심하였다. 전형적인 뿌리혹병 병징은 뿌리와 지제부에 주로 발생하여 생육을 지연시키며 발근억제 뿐아니라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삽목과정에서 뿌리혹병에 감염될 경우 발근율이 57.5%로 건전주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뿌리혹병이 감염된 식물체 부위별로 볼 때 지제부에 감염될 경우 새로운 신초생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Fig. 1-B). 인공접종을 통해 생육중인 장미에서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수량이 19.1본/$m^2$에 비해 감염주는 9.5본으로 수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고 절화길이 또한 건전주 65.2cm에 비해 44.0cm로 현저히 짧아짐으로서 절화장미의 상품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개화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비교해 보면 건전주와 감염주가 각각 51.2일, 39.8일(1차 수확), 60.6일, 52.1일(2차 수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장미 뿌리혹이 지제부에 감염될 경우 신초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심각한 경제적 수량감소를 초래하여 건전주에 비해 38.7%의 수량감소를 나타내고 개화기까지 소요일수가 8-10일까지 지연되었다.

Dietary protease improves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ed pigs

  • Park, Sangwoo;Lee, Jeong Jae;Yang, Boung Mo;Cho, Jin Ho;Kim, Soyun;Kang, Joowon;Oh, Sejong;Park, Dong-Jun;Perez-Maldonado, Rider;Cho, Jee-Yeon;Park, Il-Hun;Kim, Hyeun Bum;Song, M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1호
    • /
    • pp.21-3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protease (PR)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ed pigs. A total of 75 weaned pigs [7.06 ± 0.18 kg of average body weight (BW); 28 day 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3 dietary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blocks = BW and sex):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to meet the requirement of crude protein (CP) as a positive control (PC; CP = 24.49%), a low protein diet as a negative control (NC; CP = 22.51%), and NC + 0.02% PR. The PR used in this study was a commercial product containing 75,000 protease units/g derived from Nocardiopsis prasina produced in Bacillus licheniformis. Pigs were fed the dietary treatments for 6 weeks and the diets containing 0.2% chromic oxide for the last week of this study. Blood, feces, ileal digesta, and ile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two pigs in each pen on respective time points. Measurements were growth performanc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dry matter (DM), CP, and energy, frequency of diarrhea, packed cell volume (PCV), and ileal morphology of weaned pigs. Pigs fed PC and PR had higher (p < 0.05) final BW, average daily gain (ADG), and gain to feed ratio (G:F)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than those fed NC. Pigs fed PC and PR had higher (p < 0.05) AID or ATTD of DM, CP, or energy than those fed NC. Moreover, pigs fed PR had higher ratio between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p < 0.05) and number of goblet cells (p < 0.05) than those fed NC. Addition of PR decreased (p < 0.05) frequency of diarrhea for the first two weeks after weaning compared with PC and NC. In addition, pigs fed PR had lower (p < 0.05) PCV on d 14 after weaning than those fed PC and NC. In conclusion, addition of PR in nursery diets with a low protein level significantly improv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ed pigs.

신생아의 통증완화를 위한 자당(sucrose) 경구투여 효과 (Pain Relieving Effect of Intraoral Sucrose Replacement in Neonates)

  • 윤혜봉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35-50
    • /
    • 2001
  • The ability of neonates to perceive and react to pain, has been acknowledged recently. Recent researches have been shown that even short term pain can have lasting negative effects. We know that most of the anatomical pathway and neurotrans-mitter function necessary for pain perception are fully or nearly fully developed in the neonatal period. Many people are still reluctant to believe that pain felt by neonates may be as severe as that felt by older children or adults ye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ssess and compare the analgesic effects of orally administered sucrose and pacifiers. And to determine the synergistic analgesic effects of sucrose and pacifiers. The tools for this study is Lawrence's NIPS (neonatal infant pain scale) with behavioural pain responses and index for pain physiological reponses a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and degree of SaO₂. The participants are 96 healthy infants of neonatal age 1-7days and randomised to receive heel prick before 2minutes to blood sampling and physiological test in Nursery of K Medical University Hospital on May-July, 2000.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s : no treatment; a pacifier; placebo(2ml 25% sucr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rogram using X²-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post ho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ain behaviour responses: The pain scor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lower than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significantly(P=.000). Placebo group is different from no treatment and pacifier group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2) Pain physiologic responses (1) heart rate: The heart rat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different from that of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significantly(P=.000). The heart rate change of placebo group is less than the other groups. (2) respiratory rate: The respiratory rat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different from that of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insignificantly (P=.2340). But, the respiratory rate of placebo group is lower than the other groups. (3) SaO₂: The SaO₂ score of placebo group(2ml 25% sucrose) is different from that of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insignificantly (P=.3265). But, the change of SaO₂ score of placebo group is less than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sucrose placebo showed pain relief effect in behavior responses and less 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ly, the sucrose placebo should be applied nursing intervention for simple pain management as heel prick.

  • PDF

홍경천의 생육특성검정 및 재배지역 탐색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arch for Eligible Cultivation Area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iss.)

  • 홍의연;김익환;윤종선;윤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2-217
    • /
    • 2003
  • 중국의 약용작물로 널리 알려진 홍경천의 충북도내 재배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 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상부 생육상황은 최고조에 달했던 7월의 경우 초장은 8.1­15.8cm, 줄기수는 3.1­3.6개였으며, 여름철엔 하고현상이 심하여 지상부의 고사율이 76­94%로 매우 높았다. 지하부 생육상황의 경우 근장은 단양지역이 6.8cm로 가장 컸으나 굵기는 청원이 10.0mm로 가장 굵었으며 , 생체중 또한 3.5g으로 제천, 단양 대비 3.5배 정도 높았다. 한편 뿌리 부패율이 62.3­86.5%로 매우 높아 당분간 농가재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개화기는 6월 중$.$하순으로 개화기간은 12­13일 정도 되었고, 개화율은 60­77%정도 되었으며, 복산형화서로 꽃색은 자색, 황녹색, 회자색, 자홍색 등 다양하였다. 종자는 미세종자로 성숙기는 8월 중순­9월 하순이었고, 색깔은 황갈색이었으며 종자의 길이는 1.5­2.0mm, 너 비 는 0 1­0.5mm, 천립중은 0.13­0.15g으로 조사되었다.

천속단의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Loganin 성분 변이 (Variation of Yield and Loganin Content According to Harvesting Stage of Dipsacus asperoides Wall)

  • 안찬훈;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114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loganin content in Dipsacus asperoides Wall. Methods and Results: Dipsacus asperoides seedlings were planted within a nursery environment in early May 2015 and harvested in early, middle and late October 2015, and early November 2015. Harvest time did no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length, leaf width and aboveground dry weight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oot length, number of roots and root diameter. However, the diameter of lateral roots was greater in the harvests from the late October and period thereafter. The highest values of root dry weight and yield were recorded in early November. Specifically, the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5 kg/10 a (index: 100) in early October to 358 kg/10 a (index: 175) in early November, in terms of root part weight. Loganin contents of D. asperoid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harvest times raging from 0.0766% in early October to 0.1704% in late November, thereby showing an increasing trend in later harvest tim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D. asperoides is early November, when the yield is the highest. Harvest time significantly affected loganin contents, which constantly increased from early October until early November.

원격탐사에 의한 동중국해 중규모 와동류의 시공간적 변동 연구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the Mesoscale Cold Core Eddy in the East China Sea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 서영상;장이현;이나경;안유환;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5-252
    • /
    • 2004
  • 동계 동중국대륙의 연안수가 발달하여 쿠로시오 난류의 경계역으로 확장된 후 주변의 북상 난류역에 의해 포획됨으로써, 고립되는 현상이 1999년 및 2003년 NOAA 위성영상에 포착되었다. 1999년의 경우 냉핵 와동류(cold core eddy)는 약 2개불간 존재하였고 (5월초~6월 하순), cold core의 중심 수온은 15~2$0^{\circ}C$로 주변보다 2~3$^{\circ}C$ 낮게 나타났다. NOAA 위성수온 영상에 포착된 냉핵 와동류의 주변 가장자리 해역에서 SeaWiFS 위성자료로부터 추정된 클로로필 $\alpha$ 분포는 4.0~6.0 mg/m$^3$으로 냉핵 와동류 중심해역의 농도 1.0~3.0 mg/m$^3$ 보다 2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2003년 경우 2월중순에 냉핵 와동류 중심수온은 9~1$0^{\circ}C$였다. 와동류의 크기는 직경 150km 정도였으며, 냉핵 와동류의 수평 분포양상은 50m 등수심 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어도(Socotra Rock) 해역을 중심으로 동계-춘계에 발생되는 냉핵 와동류의 형성 메카니즘은 중국대륙 연안수와 쿠로시오 난류가 만나는 경계역에서 수괴간의 힘의 균형, 계절풍 조건 및 해저 지형 분포와 밀접한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