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ery cultiv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딸기 세균모무늬병(Xanthomonas fragariae)의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 (Development of Control Method for Strawberry Bacterial Angular Spot Disease (Xanthomonas fragariae))

  • 김다란;강근혜;조현지;명인식;윤혜숙;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7-294
    • /
    • 2015
  • 국내 딸기 재배지에서 세균모무늬병은 2010년 최초 보고되었다. 딸기 세균모무늬병은 검역 병원균으로 분류되어 있어 수출 딸기의 품질저하와 수출통관에 문제를 야기시키기로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딸기의 육묘기와 재배기에서 세균모무늬병 방제에 적합한 살세균제를 선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시험된 약제 중 육묘기에는 Oxolinic acid 방제가가 97.2% 나타내었으며, 재배기에는 Validamycin A의 방제가가 93.3% 나타내었다. 토양소독이 병행되지 않은 포장에서는 재배기 Validamycin A의 방제가가 80%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토양소독과 항세균제 처방에 의한 딸기 세균모무늬병의 방제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통일벼의 등숙(登熟) 향상(向上)과 적고방지(赤枯防止)를 위(爲)한 묘대개선(苗垈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Nursery for Better Ripening Percentage and Prevention of Red Discoloration of Rice Variety "Tongil")

  • 최범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9-26
    • /
    • 1974
  • 1. 육묘성적(育苗成績) 통일품종(品種)을 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에서 육묘(育苗)하는 경우(境遇) 자재대(資材代)와 노력(勞力)이 표준(標準)터넬식(式)에 비(比)하여 크게 절약(節約)되는 평상식방법중(平床式方法中) 육묘성적(育苗成績)이 표준(標準) 터넬식(式)에 의(依)한 것과 비등(比等)할만한 새로운 형(型)을 고안(考案)해 보고져 묘대설치(苗垈設置) 및 파종(播種)에 있어 최아(催芽)의 유무(有無), 묘대정지법(苗垈整地法), 복토(覆土)의 종류(種類), 중간피복(中間被覆)의 4요인(要因)을 가지고 실험(實驗)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무최아구(無催芽區)는 최아구(催芽區)에 비(比)하에 육묘(育苗) 성적(成績) 전반(全般)에 걸쳐 현저(顯著)히 불량(不良)하여 실용(實用) 가치(價値)가 없는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2) 묘대정지방법(苗垈整地方法) 즉 건묘대식(乾苗垈式)과 수묘대식(水苗垈式)에 있어 통일 품종(品種)은 성묘율(成苗率)과 치묘기(稚苗期)의 초장비(草長比)가 건묘대식(乾苗垈式)의 것이 우수(優秀)하였고 기외(其外)의 묘소질(苗素質)에는 차이(差異)가 거의 인정(認定)되자 않았다. (3) 복토(覆土)의 종류간(種類間)에는 육묘성적(育苗成績)에 전연(全然)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평상식(平床式)에 있어 중간피복(中間被覆)으로 볏짚을 중고형(中高型)으로 덮은 것은 무피복구(無被覆區)에 비(比)하여 묘(苗)의 소질(素質)에 있어서 유의차(有意差)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전자(前者)가 폴리에틸렌 피복기간중(被覆期間中) 저온(低溫) 또는 과고온(過高溫)이거나 강우(降雨)가 많을 경우(境遇)엔 안전성(安全性)이 훨씬 높을 것으로 보았다. (5) 평상식(平床式)과 표준(標準)터넬식(式) 간(間)에는 육묘성적(育苗成績) 전반(全般)에 걸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는데 이는 보통조식간(普通早植間) 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인 관계(關係)로 폴리에틸렌 피복기간(被覆期間)이 짧은데 주인(主因)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6) 품종간(品種間)에는 성묘율(成苗率)은 아끼바레가 통일에 비(比)하여 높았고 묘령(苗令)과 초장비(草長比)는 반대(反對)로 통일이 아끼바레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높았으나 기타(其他) 요인(要因)에서는 별(別)로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본묘성적(本苗成績) 육묘성적(育苗成績)이 좋았던 최아구(催芽區)의 묘(苗)와 일반묘대(一般苗垈)를 공시(供試)하여 주(主)로 등숙비율(登熟比率), 수량(收量), 적고발생정도(赤枯發生程度)를 알아 보고져 본답실험(本畓實驗)을 시행(施行)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량(收量) 및 적고발생(赤枯發生) 정도(程度)에 있어 통일, 아끼바레 두 품종(品種)이 다 표준(標準)터넬식(式), 볏짚 중고형중간피복평상식(中高型中間被覆平床式), 보통(普通) 평상식(平床式)의 순(順)으로 다소(多少) 좋은 경향(傾向)이었으나 각(各) 3자간(者間)에 유의차(有意差)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통일품종(品種)에 있어 수묘(水苗) 대구(垈區)가 보온절충묘대구(保溫折衷苗垈區)에 비(比)하여 등숙비율(登熟比率)과 수량(收量)은 현저(顯著)히 떨어지고 적고발생정도(赤枯發生程度)도 높았다. (3) 아끼바레품종(品種)은 등숙비율(登熟比率) 및 수량(收量)에 있어서 보온절충묘구(保溫折衷苗區)는 수묘대묘구(水苗垈苗區)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떨어져 통일품종(品種)과는 정반대(正反對)의 현상(現象)을 나타냈는데 이는 호엽고발생관계(縞葉枯發生關係)가 주인(主因)인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이상(以上)의 육묘(育苗)와 본답(本畓)의 종합성적(綜合成績)으로 보아 통일품종(品種)의 재배(栽培)에 있어 등숙비율(登熟比率)과 수량(收量)의 향상(向上) 및 적고방지(赤枯防止)를 위(爲)해서는 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로 육묘(育苗)해야 되며 이를 위(爲)한 묘대양식(苗垈樣式)으로서는 표준(標準) 터넬식(式)이 완전(完全)하다고 보나 볏짚을 중고형(中高型)으로 중간피복(中間被覆)을 하는 평상식(平床式)도 이에 비등(比等) 할 만한 방법(方法)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 PDF

Soilborne Diseases of Mulberry and their Management

  • Sharma, D.D.;Naik, V.Nishitha;Chowdary, N.B.;Mala, V.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2호
    • /
    • pp.93-106
    • /
    • 2003
  • Soilborne diseases pose a serious problem for mulberry cultivation during nursery plantation and established gardens, which cause severe loss in revenue generation of mulberry growers as compared to foliar diseases. Various soilborne diseases affect mulberry. Among them, root knot and root rot affect the established plantation resulting in severe loss in leaf yield apart from deterioration in leaf quality, which is a pre-requisite in successful sericulture to get the good quality of cocoons. Besides, stem-canker, cutting rot, collar rot and die-back, affect the initial establishment and survivability of mulberry plantation in nursery. The problem is difficult to handle,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the diseases and also involvement of various biotic and abiotic factors. This is compounded by the occurrence of disease complex (especially nematode + soilborne pathogenic microbes) in established mulberry gardens, which facilitates quick spread of the disease and enhance the plant mortality, resulting substantial loss in leaf yield. Therefore, prevention and timely control measures need to be taken up to protect the mulberry plants from different soilborne plant pathogens. In this review article, symptomatology, epidemiology, disease cycle and control measures of soilborne diseases of mulberry are discussed.

벼 품종 및 지역에 따른 도열병균 레이스 분리와 도열병 발병정도와의 관계 (Pathogenic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solated from Various Rice Cultivars on the Blast Nursery and Paddy Field in Different Locations)

  • 심홍식;예완해;유병주;명인식;홍성기;이승돈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24-330
    • /
    • 2012
  •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분리 비율이 분리품종과 지역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 분포는 채집지역이 동일하여도 분리품종이 상이하거나, 품종이 동일하여도 채집지역이 상이하면 레이스 종류와 비율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었다. 정확한 레이스 조사를 위해서는 도열병균 채집지역의 객관적인 선정과 재배품종의 면적비율에 의하여 도열병균을 분리 동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체의 저항성측면에서 도열병균에 대한 유묘기 밭못자리상태에서의 저항성 정도와 성체기 본답상태에서의 잎도열병과 이삭도열병 발병정도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벼 품종에 대한 도열병균 침해 레이스의 수와 포장에서 밭못자리 검정의 저항성 정도와 본답상태의 잎도열병과 이삭도열병 발병정도와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다.

종자소독의 현황과 문제점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Chemical Seed Treatment of Seedborne Disease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7
    • /
    • 1983
  • A wide variety of pathogens are known io be seedborne, carried either as infectious mycelium internally or as contaminants on the seed coat. When seed is infected with a pathogen, the seed nay be rendered nonviable or it may remain viable but produce weak seedling. In some cases, the Infected seedling nay not be severely weakened, but nay serve as a source of primary inoculum within a community of plants. A recent problem nay be the dissemination of seedborne pathogens occurring as a result of the massive movements of seed, as a part of the 'Green revolution' Disease of great danger to agriculture may be introduced with seed from other parts of world. Seed treatment with organic mercury compounds in liquid form had become popular since about 1955. Organic mercury compound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increase in production of many crops and vegetables. In 1975, however, the use of organic mercury compound was forbidden because of doubts regarding their residual mammalian toxicity in agricultural products. Benomyl-thiram mixture, thiophanate methyl-;hiram mixture and TCMB have now been registered as seed disinfectants for the use of rice blast, brown spot and Bakanae disease. Oxathiinsthiram mixture has been registered as seed disinfectant for barley and wheat loose smut and leaf stripe of barley. Agricultural techniques have made such rapid progress that the nursery methods changed from the use of paddy nursery to box nursery designed for machine-transplanting. The spread of rice transplanting machines has caused increase of seedborne diseases. Among seedborne diseases, Bakanae disease has remarkably increased and causes much damage recently. In order to counter this trend, seed disinfectants must also be diversified. First, effective non-selective disinfectants need to be developed, and second, appropriate control methods always need to be prepared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for cultivation.

  • PDF

쥐오줌풀 개화·결실 특성과 적정 채종방법 및 육묘이식재배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ering, Bearing Fruit, Seed Harvesting and Seedling Transplanting Cultivation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 안영섭;허목;안태진;박춘근;김영국;박충범;백완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65-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bearing fruit, the optimum period, regions and methods for seed harvesting, the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storage and germination, and the optimum period for sowing at nursery bed and seedling transplanting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The flowering and bearing fruit of Valeriana fauriei was developed from the before-year root. Optimum period for seed harvest of Valeriana fauriei was from late July to middle August, and optimum areas were the high elevated areas over 500 m above the sea level as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Using of net-bag for seed harvesting was the effective method to gather the full ripe seed, and bagging of net-bag was necessary from the season of middle May that was the flowering middle-stage. Germination rates don't show the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temperatures of storage as approximately 41% at $-20^{\circ}C$, $2^{\circ}C$ or $20^{\circ}C$ of seed storage temperatures.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was in $15{\sim}30^{\circ}C$ for seed germination at nursery bed. The optimum period for seed sowing at nursery bed was the late February, and the optimum period for seedling transplanting was the middle April.

수도집단재배의 기술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chnological System of the Cooperative Cultivation of Paddy Rice in Korea)

  • 조민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9-177
    • /
    • 1970
  • 수도작에 있어서 수량성의 향상과 경영의 합리화률 기하기 위한 집단재배의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지역과 지대별로 임의선정된 18개소에서 집단재배와 개별재배를 한 수도에 대하여 경종 및 생육ㆍ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조사연구하였으며 460개소의 집단재배와 개별재배에 대하여 경종ㆍ경영 및 조직운영등을 비교조사하고 집단재배와 개별재배의 경제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집단재배와 개별재배의 경종 및 생육ㆍ수량형질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묘에 있어서 집단재배가 비료의 3요소 특히 인산과 가리의 사용량이 많았고 약제살포의 횟수도 많았다. (2) 본답에 있어서의 경종기술은 집단재배가 개별재배보다 ${\circled1}$ 이앙기가 빨랐고 ${\circled2}$ 재식밀도에 있어서 1주당 재식묘수는 적으나 단위면적당의 포기수는 많으며 \circled3 시비량은 질소, 인산, 가리 및 퇴비의 시용량이 현저히 많았고 ${\circled4}$ 분시횟수도 많았으며 ${\circled5}$ 살충제 및 살균제의 살포횟수도 역시 집단재배에서 많았다. (3) 도북의 정도는 집단재배가 약간 더 하였고 병해충의 발생정도는 잎도열병, 목도열병 그리구 멸구, 이화명충 1화기 및 2화기의 발생이 집단재배가 적었다. (4) 집단재배를 한 수도의 간장 및 수장은 길고 고중도 무거웠다. 그리고 조고비율은 집단재배에 있어서 80.9%, 개별재배가 69.9%로서 높은 유의차가 있었다. (5) 수량구성요소인 수수와 1수평균영화수가 집단재배에서 현저히 많았고 현미 1000립중도 무거웠으며 등숙율은 개별농가의 벼와 차이가 없었고 그 변이계수는 집단재배가 개별재배에 비하여 모두 작은 값을 보였다. (6) 현미수량은 평균 10a당 집단재배 459.0kg, 개별재배 374.8kg으로서 84.2kg이나 전자가 많았으며 그들간의 변이계수는 집단재배에서 작게 나타났다. (7) 기간재배기술과 수량구성요소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고도의 유의상관을 보인 것은 파종기와 1수영화수, 못자리 약제살포횟수와 1수영화수, 이앙기와 1수영화수, 본답의 인산시용량과 수량, 본답의 가리시용량과 등숙율, 분시횟수와 수량등에서 정(+)상관을 보였고 파종기와 등숙율간에는 부(-)상관을 보였다. 2. 집단재배와 개별재배의 경종\ulcorner경영 및 조직운영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조사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재배의 품종수는 13개이고 개별재배에서는 47품종으로서 개별재배가 품종의 단순화를 기하지 못하고 있다. (2) 육묘기술에 있어서 비료3요소 특히 인산과 가리의 시용량이 많았고 약제살포횟수가 많다는 것은 1ㆍ의 실험결과와 같으며 이밖에 집단재배의 경우에는 종자소특이 100% 실시되었으며 파종량도 3.3$m^2$당 표준파종량인 3.6~5.4이 파종이 많이 실시되었으나 개별재배에서는 박파와 밀파가 많아 파종량의 변이가 컸었다. (3) 이앙기, 재식밀도, 병충해방제, 약제살포횟수, 시비량 및 분시횟수등은 1.의 결과와 같으며 추경 및 객토와 동력경운기의 사용은 집단재배에서 많았으며 이앙방식은 종전의 정방형식에서 극단적인장방형식으로 많이 바뀌었으며 물관리에 있어서는 중각낙수와 간단관수가 비교적 많이 실시되었다. (4) 현미수량은 평균 10a당 집단재배가 466kg이고 개별재배는 380kg으로서 전자가 86kg 많았다. (5) 병충해방제작업이 집단재배에서 집단방제로 많이 실시되었고 종자소독도 80% 이상의 공동으로 이루어 졌으며 수확, 수확물의 운반, 탈곡, 논갈이 작업등도 개별재배에서 보다 많이 공동으로 이루어졌다. (6) 집단재배에서 객토 및 퇴비의 사용이 현저히 많았으며 그 작업도 공동으로 이루어진 비율이 높고 또한 노동력의 투입도 많았다. (7) 육묘 및 본답의 물관리작업은 집단재배가 개별재배보다 노동력의 투입이 적었다. (8) 비료, 농약 및 노동력등의 비용가액은 집단재배가 개별재배보다 많았으며 약 2배에 가까웠다. (9) 경영규모는 3ha로부터 7ha 이상의 범위에 있으며 5ha내외의 것이 많았고 1개소의 집단재배는 10~20개 정도의 필지로 되어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10) 경영자 및 경작자의 학력은 집단재배의 회장, 재배반장, 방제반장 및 수리반장 모두 국민학교졸업 이상이 93.7%이며 개별재배는 83%를 보였고 그들의 연령은 40~45세가 가장 많으며 이러한 경향은 양자가 비슷하였다. (11) 집단재배의 운영에 관한 주요설문에 대한 경작자들의 반응은 집단재배를 함으로서 확실히 수량은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시비법개선과 병충해방제의 효과가 가장 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고 집단재배를 함으로서 영농자재의 입수와 모든 작업이 적기에 이루어 졌다고 하는 것이 많았다. 또한 경작노력은 적게 들었다는 것이 66.8%이며 이앙노력은 집단재배가 오히려 더 들었다는 것 그리고 관의 간섭이 많았다는 것 등이 특이한 것이며 집단재배의 계속을 원하는 농가가 74.5%이고 원치 않은 농가가 25.5%였었다. 3. 집단재배와 개별재배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영비의 비용가액중 퇴비, 금비, 농약대 및 고용노임은 집단재배에 있어서 개별재배보다 각각 335원, 199원, 388원 및 303원이 더 투입되어 큰 차이를 보였으나 기타생산비목들은 집단재배와 개별재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2) 총수익에서 경영비를 뺀 소득은 집단재배에서 24,302원이였고 개별재배에서는 20,168원으로 집단재배에서 10a당 4,134원의 소득증대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도집단재배는 새로운 기술의 적용도를 높이고 경영의 합리화를 기하여 안전다수확으로 개개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하였을 뿐만아니라 농민에게 새 기술의 적용이 유익했다는 실증을 보여 줌으로서 농민 스스로의 생산과정에 파급적이며 영속적인 변화를 촉진시킬것이라는 또 하나의 결론을 얻었다.

  • PDF

산지 반양직묘포에서 육묘방법 및 - 묘삼 생산실태 (Yields of Ginseng Seedlings and Cultivation Methods in Ban-Yang-Jik (Semimodified Soil) Nursery)

  • 이종출;안대진;변정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68-75
    • /
    • 1988
  • 산지 반양직묘포 29개포장을 대상으로 육묘방법 및 묘삼생산량을 조사하고 그들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용가능묘삼수는 간($180{\times}90$)당 362본, 전묘삼수에 대한 사용가능묘삼수비율(사용가능묘삼비율)은 45%였으며 농가간에 그들의 변이가 심했다. 2. 반양직묘포에서의 사용가능묘삼량은 중량미달묘삼량과 달랭이 묘삼량에 지배되었다. 3. 달랭이 묘삼비율은 상고 및 관수회수와 부의 상관이 각각 인정되었다. 4. 사용가능묘삼비율은 일복의 전.후주 높이와 곡선상관, 일복폭과 부의 상관, 관수회수와는 정의 상관이 각각 인정되었다.

  • PDF

벼농사 복토직파기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Direct Seeder with Soil Application for a Stable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

  • 박광호;이재철;윤석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30-47
    • /
    • 2001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velope a stable direct seeding method in rice cultivation using by a direct seeder with soil application. A principle of this methodology was introduced from seeding nursery system of machine transplanting enable to increase high seeding establishment direct seeding method with soil application was high of 89-95% while that of water seeding was 68%. During seeding growth plant height was ralatively small but seeding health was high. A total soil consumption of this methodology was 145kg/10a in dirll seeding and 26kg/10a in hill seeding respectively, there was 100% erected in direct seeding with soil application while water seeding was 45% in erected seeding stand. In direct seeding method with soil application total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seeding. This machine was manufactured to attach and/or detach to a machine transplanter with riding type and machine cultivator with multipurpose. In the farmer's demonstrated rice field this method was well performed like machine transplanting in terms of rice growth and development. There was highly cost reduction for rice production like other direct seeding methods.

벼 어린모 육묘일수 연장에 따른 모소질, 본답 생육 및 수량성 (Effect of Nursery Period on Seedling Growth and Yield in Transplant Rice with Infant Seedling)

  • 김덕수;김정곤;김제규;한희석;강양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4-188
    • /
    • 2001
  • 벼 어린모 육묘시 적기이앙을 못하여 육묘일수가 연장 될 경우 모소질과 본답초기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화성벼를 공시하여 1997년 작물시험장 포장에서 8일모, 12일모, 16일모, 20일모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묘을은 8일모가 93.9%로 가장 높았으며, 12일모는 88.9%, 16일모는 82.0%, 20일모는 80.8%로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성율이 낮아졌다. 2. 이앙당시 초장이 8일모가 7,6cm, 12일모가 13.0cm, 16일모가 15.1cm, 20일모가 16.9cm로 육묘 12일 이후는 육묘일수 지연에 따른 생육 차이가 적었다. 3. 종자내 배유양분 잔존율은 8일모가 52.5%로 가장 많았으며 12일모가 36.2%, 16일모 30.1%, 20일모가 27.4%였다. 4. 결주율은 8일모와 12일모는 5.1-5.2%로 비슷하였으나 16일모와 20일모는 6.7%, 7.8%로 결주 발생이 많았다. 5. 발근량은 8일모가 10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12일모로 59.5, 16일모는 41.4, 20일초는 27.9였다 6. ha당 쌀수량은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수량감소가 현저하여, 8일모 대비(6.18톤) 12일모는 5%, 16일모는 11%, 20일 모는 16%가 감소하였다. 7. 현미의 완전미 비율은 8일모와 12일모는 92.1, 91.5%로 비슷하였으며, 16일모와 20일모는 88.8, 85.4%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