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ery bed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2초

Nursery Growing Media Practice: Impact on Seed Germination and Initial Seedling Development of Hymenodictyon orixensis (Roxb.) Mabberley - A Vulnerable Native Tree Species

  • Islam, Azharul;Hao, Hong;Hossain, Mohammed Kamal;Rahman, Mahmudu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38-47
    • /
    • 2022
  • Hymenodictyon orixensis (Roxb.) Mabberley (locally known as Bhutum in Bangladesh) is both an ecologically and economically valuable multipurpose tree species for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programs in Bangladesh.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development study of H. orixense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sponse to different growing medium, e.g., polybag (15×10 cm (T0) and 20×15 cm (T1)), sand medium in propagator house (T2), conventional nursery bed (T3), and root trainer (T4) in the Nursery. Consequently, germination behavior and seedling morphological parameters of H. orixense were assess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and medium of the propagator house (T2) provided the highest germination % (58.57±22.30) and the highest germination energy (11.43±2.43) followed by seedlings growing in 20×15 cm polybags (T1) containing forest topsoil and cow-dung at a ratio of 3:1. Except for germination energy, germination values, and germination capacity, other seed biology parameters, particularly imbibition, germination period, germination rate, and plant survival percent in T1, T2, T3,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from T0. Each phenotypic parameter of seedlings and dry matter of shoot and root significantly differed from control except root length (p<0.992). Based on this study, Polybags of 20×15 cm size are regarded as the best medium for quality seedling development of H. orixense. The nursery bed (T3) had the lowest germination performance and developed more inferior quality seedlings. Thereby, 20×15 cm size of polybags with conventional soil and cow-dung media is recommended for maximum germination and to grow the quality seedlings of H. orixense in the Nursery.

인삼 종자의 발아에 관한 연구 I. 미개갑 종자 파종이 배생장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ermination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Meyer) Seed I. Influences of Nonstratified Seed on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 조재성;원준연;강희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58
    • /
    • 1988
  • 인삼종자의 자연상태에서의 배 생장 및 및 발아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직후 미숙배 상태의 종자를 묘상에 파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후 80일에는 관행개갑종자와 미숙배 종자직파구의 배율간에 유의차가 없었고 100일후에는 관행개갑종자에 비해 미숙배 종자직파구의 배율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2. 미숙배 종자 직파구의 파종 100일후 종자 자연개갑율은 관행개갑구 종자의 개갑율과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미숙배 종자직파구의 2개년 평균 발아율은 약 57%로서 관행개갑종자 추파구의 종자발아율과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4. 발아 전엽후 묘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 모두 관행개갑종자 추파구와 미숙배 종자직파구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쥐오줌풀 개화·결실 특성과 적정 채종방법 및 육묘이식재배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ering, Bearing Fruit, Seed Harvesting and Seedling Transplanting Cultivation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 안영섭;허목;안태진;박춘근;김영국;박충범;백완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65-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bearing fruit, the optimum period, regions and methods for seed harvesting, the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storage and germination, and the optimum period for sowing at nursery bed and seedling transplanting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The flowering and bearing fruit of Valeriana fauriei was developed from the before-year root. Optimum period for seed harvest of Valeriana fauriei was from late July to middle August, and optimum areas were the high elevated areas over 500 m above the sea level as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Using of net-bag for seed harvesting was the effective method to gather the full ripe seed, and bagging of net-bag was necessary from the season of middle May that was the flowering middle-stage. Germination rates don't show the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temperatures of storage as approximately 41% at $-20^{\circ}C$, $2^{\circ}C$ or $20^{\circ}C$ of seed storage temperatures.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was in $15{\sim}30^{\circ}C$ for seed germination at nursery bed. The optimum period for seed sowing at nursery bed was the late February, and the optimum period for seedling transplanting was the middle April.

인삼 양직모밭에서 약토 대체를 위한 팽화왕겨퇴비의 시용 효과 (Effects on the Application of Popped Rice Hulls Compost as Substitute Material of Yacto in Yang-jik Nursery Bed of Panax ginseng C. A. Meyer)

  • 강승원;이성우;현동윤;김장욱;김용범;이혜진;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48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substitute effect of Yacto (leaf mold compost) on popped rice hulls compost (PRHC) in Yang-jik nursery bed of Panax ginseng. PRHC was mixed with Yacto as 50:50 ratio, and 1 ~ 2% of the mixed oil cake, rice bran and urea were also added to promote decaying the mixed compost. The mixed compost made by PRHC and Yacto was showed that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ginseng seedling when it was mixed with 1% of oil cake and rice bran, and 2% of mixed oil cake. But addition to the 2% of urea in the mixture of PRHC and Yacto was not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ginseng seedling. Root yield of the mixed compost wa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compost by made 100% of Yacto. Therefore, the mixed compost can substitute for Yacto when PRHC and Yacto were mixed by 50:50 ratio and added 1% of oil cake and rice bran.

객토와 심토뒤집기 처리가 물푸레나무, 소나무, 잣나무 묘목의 초기 생장과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Short-term Effects of Soil Brought and Subsoil Inversion on Growth and Tissue Nutrient Concentrations of Fraxinus rhynchophylla,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Seedlings in a Nursery)

  • 안지영;박병배;변재경;조민석;김용석;한시호;김세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43-49
    • /
    • 2015
  • 숲 조성을 위한 조림체계(silvicultural systems)에서 건전한 묘목 생산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포지의 토양 개량이 물푸레나무, 소나무, 잣나무 묘목의 생장과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장기간 사용된 국유 포지 위에 새로운 토양을 30 cm 높이로 쌓은 '객토', 굴삭기를 이용하여 기존 포지를 깊이 100 cm까지 뒤집기 한 '심토뒤집기', 그리고 기존 포지 토양과 객토를 1:1로 혼합하여 30 cm 높이로 쌓은 '혼합' 처리를 3반복 처리한 후 토양특성, 생장 및 양분변화를 분석하였다. 미사와 점토의 함량은 심토뒤집기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물, 질소, 인 함량은 객토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물푸레나무의 생장은 객토 처리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다른 수종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물푸레나무 묘목의 식물체 조직 양분 농도는 모두 뿌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소, 인, 칼륨 농도는 심토뒤집기 또는 객토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물푸레나무는 혼합 처리에서 흡수한 질소량에 비해 생장이 더 증가하여 식물체 농도는 감소하고 양분 함량은 증가하는 '양분희석' 현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기존 포지 토양과 객토를 1:1로 혼합한 방법이 경제적이면서도 악화된 포지 토양을 개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통일벼의 등숙(登熟) 향상(向上)과 적고방지(赤枯防止)를 위(爲)한 묘대개선(苗垈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Nursery for Better Ripening Percentage and Prevention of Red Discoloration of Rice Variety "Tongil")

  • 최범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9-26
    • /
    • 1974
  • 1. 육묘성적(育苗成績) 통일품종(品種)을 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에서 육묘(育苗)하는 경우(境遇) 자재대(資材代)와 노력(勞力)이 표준(標準)터넬식(式)에 비(比)하여 크게 절약(節約)되는 평상식방법중(平床式方法中) 육묘성적(育苗成績)이 표준(標準) 터넬식(式)에 의(依)한 것과 비등(比等)할만한 새로운 형(型)을 고안(考案)해 보고져 묘대설치(苗垈設置) 및 파종(播種)에 있어 최아(催芽)의 유무(有無), 묘대정지법(苗垈整地法), 복토(覆土)의 종류(種類), 중간피복(中間被覆)의 4요인(要因)을 가지고 실험(實驗)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무최아구(無催芽區)는 최아구(催芽區)에 비(比)하에 육묘(育苗) 성적(成績) 전반(全般)에 걸쳐 현저(顯著)히 불량(不良)하여 실용(實用) 가치(價値)가 없는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2) 묘대정지방법(苗垈整地方法) 즉 건묘대식(乾苗垈式)과 수묘대식(水苗垈式)에 있어 통일 품종(品種)은 성묘율(成苗率)과 치묘기(稚苗期)의 초장비(草長比)가 건묘대식(乾苗垈式)의 것이 우수(優秀)하였고 기외(其外)의 묘소질(苗素質)에는 차이(差異)가 거의 인정(認定)되자 않았다. (3) 복토(覆土)의 종류간(種類間)에는 육묘성적(育苗成績)에 전연(全然)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평상식(平床式)에 있어 중간피복(中間被覆)으로 볏짚을 중고형(中高型)으로 덮은 것은 무피복구(無被覆區)에 비(比)하여 묘(苗)의 소질(素質)에 있어서 유의차(有意差)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전자(前者)가 폴리에틸렌 피복기간중(被覆期間中) 저온(低溫) 또는 과고온(過高溫)이거나 강우(降雨)가 많을 경우(境遇)엔 안전성(安全性)이 훨씬 높을 것으로 보았다. (5) 평상식(平床式)과 표준(標準)터넬식(式) 간(間)에는 육묘성적(育苗成績) 전반(全般)에 걸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는데 이는 보통조식간(普通早植間) 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인 관계(關係)로 폴리에틸렌 피복기간(被覆期間)이 짧은데 주인(主因)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6) 품종간(品種間)에는 성묘율(成苗率)은 아끼바레가 통일에 비(比)하여 높았고 묘령(苗令)과 초장비(草長比)는 반대(反對)로 통일이 아끼바레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높았으나 기타(其他) 요인(要因)에서는 별(別)로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본묘성적(本苗成績) 육묘성적(育苗成績)이 좋았던 최아구(催芽區)의 묘(苗)와 일반묘대(一般苗垈)를 공시(供試)하여 주(主)로 등숙비율(登熟比率), 수량(收量), 적고발생정도(赤枯發生程度)를 알아 보고져 본답실험(本畓實驗)을 시행(施行)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량(收量) 및 적고발생(赤枯發生) 정도(程度)에 있어 통일, 아끼바레 두 품종(品種)이 다 표준(標準)터넬식(式), 볏짚 중고형중간피복평상식(中高型中間被覆平床式), 보통(普通) 평상식(平床式)의 순(順)으로 다소(多少) 좋은 경향(傾向)이었으나 각(各) 3자간(者間)에 유의차(有意差)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통일품종(品種)에 있어 수묘(水苗) 대구(垈區)가 보온절충묘대구(保溫折衷苗垈區)에 비(比)하여 등숙비율(登熟比率)과 수량(收量)은 현저(顯著)히 떨어지고 적고발생정도(赤枯發生程度)도 높았다. (3) 아끼바레품종(品種)은 등숙비율(登熟比率) 및 수량(收量)에 있어서 보온절충묘구(保溫折衷苗區)는 수묘대묘구(水苗垈苗區)에 비(比)하여 현저(顯著)히 떨어져 통일품종(品種)과는 정반대(正反對)의 현상(現象)을 나타냈는데 이는 호엽고발생관계(縞葉枯發生關係)가 주인(主因)인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이상(以上)의 육묘(育苗)와 본답(本畓)의 종합성적(綜合成績)으로 보아 통일품종(品種)의 재배(栽培)에 있어 등숙비율(登熟比率)과 수량(收量)의 향상(向上) 및 적고방지(赤枯防止)를 위(爲)해서는 보온절충묘대(保溫折衷苗垈)로 육묘(育苗)해야 되며 이를 위(爲)한 묘대양식(苗垈樣式)으로서는 표준(標準) 터넬식(式)이 완전(完全)하다고 보나 볏짚을 중고형(中高型)으로 중간피복(中間被覆)을 하는 평상식(平床式)도 이에 비등(比等) 할 만한 방법(方法)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인정(認定)되었다.

  • PDF

참깨묘 양성조건이 활착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ry Condition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Growth of Sesame Seedling)

  • 이정일;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86-389
    • /
    • 1983
  • 참깨 이식방법의 확립을 위하여 육묘이식방법에 대한 일연의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깨솎음묘의 이식은 묘의 측근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솎음할 때 뿌리가 절단되어 활착이 잘 안되고 생육이 부진하여 활용성이 없었다. 2. 참깨육묘이식은 이식시 뿌리의 절단이 적은 육묘방법(종이 pot, 비닐 pot, 연상 및 개량상)으로 했을 때 활착은 문제되지 않았으나 묘의 생육이 개량상 육묘 즉, 비닐위에 상토를 3cm로 하여 4방 5cm로 파종함으로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고 측근발생도 많을 뿐 아니라 노력도 절감되었다. 3. 6월 10일 파종 6월 30일 이식은 6월 15일 직파에 비해 개화기가 4일이상 빨랐으며 비닐 pot육묘나 개량상육묘는 주당삭수도 많아 수량이 비닐 pot 육묘가 10% 개량상육묘는 18% 증수하였다. 4. 참깨육묘에 적합한 상토는 흙, 모래, 퇴비를 1:1:1의 객적비로 하는 것이었다. 5. 상토의 깊이는 3cm정도로 하고 묘대시비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4-2-4g/$m^2$로 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 PDF

Effect of Bed Soil with Polypropylene Spunbonded Fabrics on Rice Seedling Production

  • Lee, Sang-Chul;Lee, Ji-Ean;Shon, Tae-Kwon;Jeong, Ki-Po;Daniel Acquah;Kim, Sang-K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9-95
    • /
    • 2003
  • The study of this experiment is focused on labor saving of healthy rice seedling production using PSF (polypropylene spunbonded fabrics) as thermal protection material. Several factors such as different compositions of nursery soil and PSF materials were tested to produce healthy rice seedlings. The inner thermal protection material in PE film (polyethylene film) showed $0.9-1.7^{\circ}C$ higher than that of PSF 40-100 $\textrm{gm}^{-2}$. The light transmittance-ratio also showed similar trends.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ropriate PSF material density was 40 gm$\textrm{gm}^{-2}$ in accordance with economic values and healthy rice seedlings. Plant height and dry weight according to various nursery soil showed the rang-es of 8.5-14.2cm and 5.5-10.0mg, respectively. In composition of nursery soil, artificial soil combined with paddy soil was effective in producing healthy seedling for rice seedling production. The total sugar content also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PSF 40, 60 $\textrm{gm}^{-2}$ PE film (0.43-0.52mg FW $\textrm{g}^{-1}$) and PSF 80, 100 $\textrm{gm}^{-2}$ (0.28-0.35mg FW $\textrm{g}^{-1}$) and it showed the same tendency among varieties as well as various nursery soi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SF 40 $\textrm{gm}^{-2}$ economically affordable, and can be recommended as thermal protection material for producing good healthy rice seedling.

딸기 육묘장 토양 내 식물기생선충의 감염현황과 자묘를 통한 선충의 분산 (Incid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Strawberry Nursery and Nematode Dispersal by Daughter Plant)

  • 고형래;이민아;김은화;김세종;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186-192
    • /
    • 2017
  •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국내 딸기 육묘장 117개 포장의 토양으로부터 식물기생선충의 토양 내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과 뿌리혹선충(Meloidogyne)이 11%와 3%로 검출되어 딸기 육묘장의 문제선충으로 나타났다. 육묘 형태별로는 토경육묘에서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의 발생빈도가 다른 육묘방법에 비해 높았고, 상토를 이용한 비가림 포트육묘에서는 식물기생선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뿌리썩이선충은 딸기뿌리썩이선충(P. penetrans)과 사과뿌리썩이선충(P. vulnus) 2종이 확인 되었으며, 뿌리혹선충은 당근뿌리혹선충(M. hapla) 1종이 확인되었다. 사과뿌리썩이선충은 딸기 자묘를 통해 식물기생선충이 감염되지 않은 건전한 토양으로의 확산이 확인되었다(33%).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량 산정 시스템 개발

  • 주욱종;김진택;박기욱;이용직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2-90
    • /
    • 2006
  • The practical date of rice growing stages and the date for calculating the water demand in paddy field have differences. The causes are rice planting water requirement, nursery bed area and change of average temperature and so on. Some recent papers have shown the same results. So we have investigated the nursery period,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mid-summer drainage and developed a system for estimating water demand. And we calculated the water demand by using the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calculation by using the new system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calculation by using the established period. But because water losses in canals and crop coefficient are not determined appropriately, we can calculate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more accurately by dstablishing canal losses ratio, crop coefficient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