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c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7초

도시 물 순환 건전성을 위한 유수지와 침투기반 저류지의 복합설계기법 (An Hybrid Approach for Designing Detention and Infiltration-based Retentions to Promote Sound Urban Hydrologic Cycle)

  • 최치현;최대규;이재관;김상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11
  • 본 연구는 도시환경개선계획의 일환으로서 강우유출수 제어설비의 크기 결정과 관련된 복합 설계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복합설계기법의 목적은 도시 개발이전의 수문순환상태를 복원시키는 것에 있다. 먼저, 연속적인 강우기록으로부터 개개의 강우사상을 분리하기 위해 IETD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NRCS-CN 방법을 적용하여 모든 강우사상에 대한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을 산정한다.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의 장기간 통계치는 개발이전, 개발이후, 개발이후 유수지 설계, 그리고 개발이후 제안된 복합설계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분석된다. 개발이전의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을 재현하기 위해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수지 및 침투기반 저류지의 크기가 산정된다. 제안된 복합설계기법은 자연 상태의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의 통계치를 재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이 보여진다.

물수지 및 식생 동역학 모의를 위한 생태수문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Ecohydrologic Model for Simulating Water Balance and Vegetation Dynamics)

  • 최대규;최현일;김경현;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2-594
    • /
    • 2012
  • A simple ecohydorlogic model that simulates hydrologic components and vegetation dynamics simultaneously based on equations of soil water dynamics and vegetation's growth and mortality is discussed. In order to simulate ungauged watersheds, the proposed model is calibrated with indirected estimated observation data set; 1) empirically estimated annual vaporization, 2) monthly surface runoff estimated by NRCS-CN method, and 3) vegetation fraction estimated by SPOT/VEGETATION NDVI.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model is performed well with indirectly estimated data or not, four upper dam watersheds (Andong, Habcheon, Namgang, Milyang) in Nakdong River watershed are selected, and the model is verified.

논의 수문특성을 고려한 소유역의 유출곡선 합성 (Runoff Hydrograph Synthesis from Small Watersheds Considering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Irrigated Rice Paddies)

  • 김철겸;박승우;임상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6-62
    • /
    • 2000
  • The NRCS curve number (CN) method has been widely adopted in practice to synthesize runoff hydrographs from small watersheds with complex land use. It may not be valid to apply this model for irrigated paddies, sinc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irrigated rice paddies a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in CN method.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the capability of the well-known SCS TR-20 model to local conditions by formulating a submodel for the runoff-processes in paddies. The modified model was tested with field data from the Baran watershed. Th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field data. It was also applicable to simulate runoff changes resulting from land use changes within the watershed.

  • PDF

고해상도 수치정사 항공사진, 불투수층 레이어 그리고 Feature Analyst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작성과 유출계수 산정 (Generating Land Cover Map and Estimating Runoff Curve Numbers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Orthophotos, Impervious Surface Layers and Feature Analyst)

  • 정진원;;이우균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8-231
    • /
    • 2006
  • 유출계수(Runoff Curve Number, CN)란 강수량으로부터 대상유역의 유출량과 우수 잠재능(stormwater potential) 평가에 이용하는 수문학 변수로, 미국 자연자원 보존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이 제안한 방법이다. 유출계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지피복, 토양형, 토양 습윤 조건에 대한 정보를 조합하여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North Carolina의 Raleigh와 Cary시를 관통하는 Walnut Creek 유역 서부지역의 토지 피복도를 제작하여, 이 유역의 유출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위의 불투수면 레이어와 정사항공사진을 기초자료로, ArcGIS와 Feature Analyst를 이용하여 서부 Walnut Creek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였다. 둘째, 제작된 토지 피복도와 본 유역의 수문학적 토양 분류체계도(Hydrologic Soil Group Map)를 중첩하여 이 유역의 유출계수도를 제작하였다.

  • PDF

침투량에 의한 사면규모별 지하수위 분석 (Analysis of the Groundwater Level by Landslide Scales according to the Infiltration)

  • 이일주;문영일;신동준;이수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14-1918
    • /
    • 2008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면재해 중 대부분이 침투량 증가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의 기후적 요소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산지나 비탈면의 구성은 암반과 토사층의 복합사면이 많으며 이러한 복합사면은 단층으로 구성된 사면보다 붕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로, 철도, 택지 개발 등의 인위적인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다양한 크기의 사면붕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우리나라의 사면피해는 각각의 요소가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큰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적용하여 강우량에 따른 침투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지하수위를 사면 규모별로 산정하였는데 규모가 큰 단면일수록 사면의 경사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의 차이가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과거보다 다양해지고 있는 사면붕괴에 대해 대비하고자 한다.

  • PDF

지역공동체를 위한 수문/수질 평가 의사결정지원시스템 (Hydrological Impect Evaluation Web-Based DSS for Local Community)

  • 최진용
    • 농촌계획
    • /
    • 제8권2호
    • /
    • pp.3-16
    • /
    • 2002
  • 의사결장지원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그 중 수자원 및 수질 관련 분야에도 다각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 농무성의 자연자원보전국(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에서 개발한 유출곡선법(Curve Number Method)과 EMC(Event Mean Concentration)을 사용한 L-THIA(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수문/수질 모형을 강우자료 데이터베이스, 웹기반 지리정보시스템, 웹 사용자 편의 시스템과 통합한 수문/수질 L-THIA web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L-THIA web은 도시계획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의 공동체가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단순한 사용자 편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의 50개 본토의 주와 카운티(County) 이름으로 기상자료와 수문토양분류(Hydrologic Soil Group)을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공동체의 실무자를 사용자로 수문/수질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황곡선 보전을 위한 저류형 강우유출수 제어설비 설계 (Design of Storage-based Stormwater Contol Facilities for Preserving Flow Druation Curve)

  • 최치현;김호성;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24-1128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 개발이전의 유황곡선과 개발이후의 유황곡선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강우유출수 제어설비의 크기 결정과 관련된 복합 설계기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우선 CN값을 산출 및 보정한 후, IETD에 따라 분할된 강우사상에 NRCS-CN 방법을 적용하여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을 산정한다.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의 장기적인 통계치는 개발이전, 개발이후, 개발이후 유수지 설계, 그리고 개발이후 제안된 복합설계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분석된다. 개발이전의 직접유출량과 침투량을 재현하기 위해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수지 및 저류지의 크기를 추정한다. 분석결과 복합설계 강우유출수 제어설비를 적용하였을 때 개발이전의 지표면 유출수와 침투수의 평균을 잘 재현하였고, 개발이전의 유황곡선이 개선될 여지가 충분히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Time of Concentration using Topographical Data with Fine Spatial Resolution)

  • 김광섭;김종필;최규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91-1195
    • /
    • 2010
  • 도달시간 또는 집중시간이란 어떤 유역에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유역의 최상류부에서 내린 강우가 유역의 최하류부 출구점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유역출구점에서의 첨두홍수량은 도달시간만큼 지체되어 발생하고, 하천의 치수 시설물을 설계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므로 정확한 홍수도달시간의 산정은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공식, SCS(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공식 등을 이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한 후 그 유역에 적절한 것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식들은 모두 유역의 지배적인 유로의 연장과 하도경사에 의해 결정되어 홍수의 이동특성을 물리적으로 반영할 수 없으며, 유역면적이나 하도 경사에 따라 적용성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각 경험식들에 따라 산정된 도달시간은 경우에 따라 수십 배의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유역의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기 위하여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하며, 임의의 격자점에 내린 강우의 흐름방향을 결정하고 인접 격자점에서 유입되는 홍수의 이동경로를 보다 물리적이고 현실적으로 모의하고자 하였다.

  • PDF

Peanut Shells as an Environmentally Beneficial Sound-Absorbing Material

  • JANG,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179-18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spect of using peanut shells as an alternative and green sound-absorbing material. The sound-absorption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after filling impedance tubes of 30, 60, and 90 mm in height with peanut shells. The sound-absorption ability increased as the filling height increased, showing noise reduction coefficient (NRCs) of 0.23, 0.43, and 0.54 for the 30-, 60-, and 90-mm heights, respectively. In addition, for sounds greater than 2,000 Hz, the average sound-absorption coefficient of peanut shells in the 60- and 90-mm heights was 0.9. In summary, peanut shells were found to have good sound-absorption properties comparable to or better than those of bamboo, sisal, jute, and wool, an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peanut shells may be useful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ound-absorbing material.

GIS와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 연구 (The Study of the Fitness on Calculation of the Flood Warning Trigger Rainfall Using GIS and GCUH)

  • 신현석;김홍태;박무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407-424
    • /
    • 2004
  • 본 연구는 지형 기후학적 단위유량도(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 GCUH)가 산악지역의 유출량과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하는데 적절한지를 검토한 것으로, 우선 산악지역의 유출량을 산정하는데 적절한 방범인지를 덕천강 유역에 대해 확률강우량으로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의 첨두유량과 기존 보고서의 착률 홍수량 자료를 비교하는 방법과 실측 호우사상을 HEC-HM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Hydrologic Modeling System) 모형과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에서 산정된 첨두 유량을 태수지점의 실측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려했고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와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방법을 이용하여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함으로써 산악지역의 돌발홍수 기준우량 산정 방법을 제시했다. 덕천강 유역에 대해 확률강우량으로 첨두 유량을 비교한 경우 표 11과 같이 대체로 30년 빈도를 제외하곤 비율이 1.1을 초과하지 않았고, 실측 호우사상으로 첨두유량을 비교한 경우 표 12와 같이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 결과가 HEC-HMS 모형보다 모두 크게 나타났고 태수 수위표의 실측치와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지형기후학적 단위유량도를 이용한 산악지역의 유출량 산정이 타당함을 확인했고 이를 이용해 덕천강 유역의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한 결과 한계유출량이 95.59 $m^3$/sec일때, 최초 10분 동안에 12.96 mm가 발생하면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