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un sense disambiguation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Noun Sense Disambiguation Based-on Corpus and Conceptual Information (말뭉치와 개념정보를 이용한 명사 중의성 해소 방법)

  • 이휘봉;허남원;문경희;이종혁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0 no.2
    • /
    • pp.1-10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a noun sense disambiguation method based-on corpus and conceptual information. Previous research has restricted the use of linguistic knowledge to the lexical level. Since knowledge extracted from corpus is stored in words themselves, the methods requires a large amount of space for the knowledge with low recall rate. On the contrary, we resolve noun sense ambiguity by using concept co-occurrence information extracted from an automatically sense-tagged corpus. In one experimental evaluation it achieved, on average, a precision of 82.4%, which is an improvement of the baseline by 14.6%. considering that the test corpus is completely irrelevant to the learning corpus, this is a promising result.

  • PDF

Homonym Disambiguation based on Mutual Information and Sense-Tagged Compound Noun Dictionary (상호정보량과 복합명사 의미사전에 기반한 동음이의어 중의성 해소)

  • Heo, Jeong;Seo, Hee-Cheol;Jang, Myung-Gi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3 no.12
    • /
    • pp.1073-1089
    • /
    • 2006
  • The goal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 is to make a computer understand a natural language and to deliver the meanings of natural language to humans. Word sense Disambiguation(WSD is a very important technology to achieve the goal of NLP. In this paper, we describe a technology for automatic homonyms disambiguation using both Mutual Information(MI) and a Sense-Tagged Compound Noun Dictionary. Previous research work using word definitions in dictionary suffered from the problem of data sparseness because of the use of exact word matching. Our work overcomes this problem by using MI which is an association measure between words. To reflect language features, the rate of word-pairs with MI values, sense frequency and site of word definitions are used as weights in our system. We constructed a Sense-Tagged Compound Noun Dictionary for high frequency compound nouns and used it to resolve homonym sense disambiguation. Experimental data for testing and evaluating our system is constructed from QA(Question Answering) test data which consisted of about 200 query sentences and answer paragraphs. We performed 4 types of experiments. In case of being used only MI,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a precision of 65.06%. When we used the weighted values, we achieved a precision of 85.35% and when we used the Sense-Tagged Compound Noun Dictionary, we achieved a precision of 88.82%, respectively.

Word Sense Disambiguation of Predicate using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KorLex (세종 전자사전과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용언의 어의 중의성 해소)

  • Kang, Sangwook;Kim, Minho;Kwon, Hyuk-chul;Jeon, SungKyu;Oh, Juhyu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7
    • /
    • pp.500-505
    • /
    • 2015
  • The Sejong Electronic(machine readable) Dictionary, which was developed by the 21 century Sejong Plan, contains a systematic of immanence information of Korean words. It helps in solving the problem of electronical presentation of a general text dictionary commonly u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problems can also be solved using the specific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owever,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has a limitation of suggesting structure of sentences and selection-restricted nouns. In this paper, we discuss limitations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by using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as suggested by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generalize selection-restricted noun of argument using Korean Lexico-semantic network.

Noun Sense Identification of Korean Nominal Compounds Based on Sentential Form Recovery

  • Yang, Seong-Il;Seo, Young-Ae;Kim, Young-Kil;Ra, Dong-Yul
    • ETRI Journal
    • /
    • v.32 no.5
    • /
    • pp.740-749
    • /
    • 2010
  • In a machine translation system, word sense disambiguation has an essential role in the proper translation of words when the target word can be transl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xt. Previous research on sense identification has mostly focused on adjacent words as context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nominal compounds, sense tagging of unit nouns mainly depended on other nouns surrounding the target word.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actical method for the sense tagging of Korean unit nouns in a nominal compound.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raditional methods regarding the data sparseness problem, the proposed method adopts complement-predicate relation knowledge that was constructed for machine translation systems. Our method is based on a sentential form recovery technique, which recognizes gram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unit nouns. This technique makes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dicative nouns. To show that our method is effective on text in general domain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a test set randomly extracted from article titles in various newspaper sections.

Unsupervised Noun Sense Disambiguation using Local Context and Co-occurrence (국소 문맥과 공기 정보를 이용한 비교사 학습 방식의 명사 의미 중의성 해소)

  • Lee, Seung-Woo;Lee, Geun-Ba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7
    • /
    • pp.769-783
    • /
    • 2000
  • In this paper, in order to disambiguate Korean noun word sense, we define a local context and explain how to extract it from a raw corpus. Following the intuition that two different nouns are likely to have similar meanings if they occur in the same local context, we use, as a clue, the word that occurs in the same local context where the target noun occurs. This method increases the usability of extracted knowledge and makes it possible to disambiguate the sense of infrequent words. And we can overcome the data sparseness problem by extending the verbs in a local context. The sense of a target noun is decided by the maximum similarity to the clues learned previously. The similarity between two words is computed by their concept distance in the sense hierarchy borrowed from WordNet. By reducing the multiplicity of clues gradually in the process of computing maximum similarity, we can speed up for next time calculation. When a target noun has more than two local contexts, we assign a we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local context to implemen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semantic restriction of local contexts. As another knowledge source, we get a co-occurrence information from dictionary definitions and example sentences about the target noun. This is used to support local contexts and helps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sense of the target noun. Through experiments using the proposed method, we discovered that the applicability of local contexts is very high and the co-occurrence information can supplement the local context for the precision. In spite of the high multiplicity of the target nouns used in our experiments, we can achieve higher performance (89.8%) than the supervised methods which use a sense-tagged corpus.

  • PDF

Homonym Disambiguation using Sense-Tagged Compound Noun Dictionary (복합명사 의미사전을 이용한 동음이의어 중의성 해소)

  • Hur Jeong;Jang My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38-5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평균 상호정보량에 기반하고 복합명사 의미사전을 이용한 동음이의어 중의성 해소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평균 상호정보량을 이용한 방법은 사전의 뜻풀이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의 자료부족문제를 완화시킨다. 복합명사 의미사전은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단일영사들의 의미제약 관계를 이용하여 구축된다. 기 구축된 복합명사 의미사전은 어휘 의미 중의성의 정확률을 향상시키고, 연산 시간을 줄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평균 상호정보량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62.04\%$의 정확률로 LESK의 방법에 비해 $6.06\%$의 향상이 있었고, 복합명사 의미사전을 이용하였을 때는 $68.13\%$의 정확률로 $12.76\%$의 정확률 향상이 있었다.

  • PDF

Noun and Verb Polysemy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UWordMap (어휘지도(UWordMap)를 활용한 명사와 용언의 다의어 중의성 해소)

  • Shin, Joon-Choul;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216-219
    • /
    • 2015
  • 컴퓨터를 이용하여 명사와 용언의 의미를 자동으로 분별하는 것은 기계번역이나 검색 등의 기술에서 아주 중요한 기반 기술이다. 최근에 동형이의어 분별에 대한 연구 결과로 약 96%의 정확률을 보이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다의어 분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일부 어휘만을 한정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어휘지도를 이용하여 다의어를 분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어휘지도에 등록된 모든 일반 명사와 용언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문장에서 나타나는 명사와 용언의 관계를 어휘지도에서 찾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다의어를 분별하였다. 아직은 그 정확률이 실용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전체 다의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그 실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다의어 분별 연구 방향에 도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arget Word Selection for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using Multiple Knowledge (다양한 지식을 사용한 영한 기계번역에서의 대역어 선택)

  • Lee, Ki-Young;Kim, Han-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5 s.43
    • /
    • pp.75-86
    • /
    • 2006
  • Target word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tasks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It effects on the translation accuracy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select Korean target word for an English noun with translation ambiguities using multiple knowledge such as verb frame patterns, sense vectors based on collocations, statistical Korean local context information and co-occurring POS information. Verb frame patterns constructed with dictionary and corpu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olving the sparseness problem of collocation data. Sense vectors are a set of collocation data when an English word having target selection ambiguities is to be translated to specific Korean target word. Statistical Korean local context Information is an N-gram information generated using Korean corpus. The co-occurring POS information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 clue which appears with ambiguous word. The experiment showed promising results for diverse sentences from web documents.

  • PDF

A Method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for Korean Complex Noun Phrase Using Verb-Phrase Pattern and Predicative Noun (기계 번역 의미 대역 패턴을 이용한 한국어 복합 명사 의미 결정 방법)

  • Yang, Seong-Il;Kim, Young-Kil;Park, Sang-Kyu;Ra, Dong-Y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246-251
    • /
    • 2003
  •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의해 빈번하게 등장하는 명사와 기능어의 나열은 기능어나 연결 구문의 잦은 생략현상에 의해 복합 명사의 출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한국어 분석에서 복합 명사의 처리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복합 명사의 의미 결정은 복합 명사구 내 단위 명사간의 의미적인 수식 관계를 고려하여 머리어의 선택과 의미를 함께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검색의 색인어 추출 방법에서 사용되는 복합 명사구 내의 서술성 명사 처리를 이용하여 복합 명사의 의미 결정을 인접 명사의 의미 공기 정보가 아닌 구문관계에 따른 의미 공기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복합 명사구 내에서 구문적인 관계는 명사구 내에 서술성 명사가 등장하는 경우 보-술 관계에 의한 격 결정 문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문 구조는 명사 의미를 결정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구문 구조 파악을 위해 구축된 의미 제약 조건을 활용하도록 한다. 구조 분석에서 사용되는 격틀 정보는 동사와 공기하는 명사의 구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의미 정보를 제약조건으로 하여 구축된다. 이러한 의미 격틀 정보는 단문 내 명사들의 격 결정과 격을 채우는 명사 의미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중인 한영 기계 번역 시스템 Tellus-KE의 단문 단위 대역어 선정을 위해 구축된 의미 대역패턴인 동사구 패턴을 사용한다. 동사구 패턴에 기술된 한국어의 단문 단위 의미 격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격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의미 제약 조건이 복합 명사의 중심어 선택과 의미 결정에 재활용 될 수 있으며, 병렬말뭉치에 의해 반자동으로 구축되는 의미 대역 패턴을 사용하여 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한다.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