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rn East China Sea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5초

라듐 동위원소 방사능비를 추적자로 사용한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 장강 유출수의 영향 추정 (Radium Isotope Ratio as a Tracer for Estimating the Influence of Changjiang Outflow to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 김기현;김승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3-142
    • /
    • 2009
  • 2009년으로 예정된 산샤댐 완공 후 인근해역에 대한 장강 유출수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라듐 동위원소의 방사능비($^{228}Ra/^{226}Ra$)와 염분을 이용하여 북부 동중국해의 표층수를 쿠로시오수(Kuroshio Water; KW), 동중국해수(East China Sea Water; ECSW), 장강수(Changjiang Water; CW)등 세가지 단성분 수괴로 나누고, 세 단성분 사이의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2005년 11월에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32개 정점(조사선 '탐구3호'), 2006년 7월에 20개 정점(조사선 '해양 2000호'), 2006년 8월에 17개 정점(조사선 '이어도호')에서 표층해수의 시료 각 300 L씩을 망간섬유에 통과시켜 라듐을 농축하였고, $Ba(Ra)SO_4$형태로 공침된 라듐 동위원소를 감마선 분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라듐 동위원소 방사능비와 염분을 이용하여 추정된 세 단성분의 혼합비는 풍수기에 장강수가 약 1-23%, 쿠로시오수가 0-30 %, 동중국해수는 58-100% 사이에 분포하였다. 여름철 인공위성 이미지에서 장강수 플룸이 동쪽으로 향하는 것이 관찰되듯, 이 연구에서도 장강수 혼합비가 동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는데 이는 이 지역에 여름에 우세한 남동계절풍에 의한 표층수의 엑크만 수송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갈수기에는 연구해역의 표층수에 장강수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강수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용존 무기질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용존 무기질소의 주 공급원이 장강수임을 의미하며, 혼합곡선이 제거의 형태를 보이는 것은 장강수가 인근 해수와 혼합시에 식물플랑크톤의 섭취 같은 생물작용에 의하여 질산염이 소모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동중국해 북부해역 클로로필-a의 분포특성과 해양환경 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hlorophyll-a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Northern Part of East China Sea)

  • 오현주;강영실;박정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8-97
    • /
    • 1999
  •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클로로필-a의 분포특성과 해양환경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1995년$\~$1997년 3개년간 매년 2, 5, 8, 11월에 해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온과 염분은 전 조사월에 중국연안인접해역에서 낮아 동고서저의 분포를 보였으며, 수온약층과 염분약층이 50m 수층을 중심으로 8월에 강하게 형성되었다. 용존산소는 8월에 평균 3.77ml/$\iota$로 가장 낮았으며 특히, 중국연안인접해역의 저층을 중심으로 2.0ml/$\iota$이하의 저산소층이 분포하였다. 투명도는 5월에 가장 높으며 2월에 가장 낮았다. 총질소와 인산인은 11월에 가장 높고 규산규소는 8월에 가장 높아 계절적으로 변동 양상이 달랐다. 총질소, 규산규소는 주로 저염수가 분포하는 중국인접연안역을 중심으로한 해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염분이 가장 낮은 8월에 총질소와 규산규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인산인은 비교적 고른 분포양상을 보였다. 클로로필-a는 동계인 2월에 0.372$\mu$g/$\el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8월에는 평균 0.512$\mu$g/$\el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층별 연평균 값은 10m 수층에서 0.632$\mu$g/$\el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층이 깊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졌고 저층인 150m 수층에서 다시 0.243$\mu$g/$\ell$로 높아졌다. 계절별 평균 클로로필-a의 수직분포에서 2월에는 표층에서 5월에는 30m 수층, 8월에는 10m 수층에서, 11월에는 10m 수층에서 최대 값을 보였다. 또한, 투명도가 평균 15.7 m로 가장 깊은 5월에 클로로필-a의 최대 농도 분포층도 30m로 가장 깊었다 이는 클로로필-a의 수직적 분포와 투명도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_{dom}$ ESTIMATION ALGORITHM BY EMPIRICAL METHOD FOR GOCI OCEAN COLOR SENSOR

  • Moon, Jeong-Eon;Ahn, Yu-Hwan;Ryu, Joo-Hyung;Choi, Joong-K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9-52
    • /
    • 2007
  • This study uses empirical method to estimate absorption coefficient of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a_{dom})$ from GOCI satellite data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band ratio of remote sensing reflectance $(R_{rs})$ and $a_{dom}$. For development of $a_{dom}$ estimation algorithm, the used data is in-situ data about ocean optical properties in the around seawater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98 - 2005. The relationship of $R_{rs}$(412)/$R_{rs}$(555), $R_{rs}$(443)/$R_{rs}$(555), $R_{rs}$(490)/$R_{rs}$(555), $R_{rs}$(510)/$R_{rs}$(555) and $a_{dom}$(412) showed $R^2$ values of 0.707, 0.707, 0.597 and 0.552, respectively. The spectrum of $a_{dom}({\lambda})$ is shape of exponential function $a_{dom}({\lambda})$ value decreases with increasing wavelength. For estimation of $a_{dom}$ from satellite data, we developed an algorithm from the relationship of $a_{dom}$(412) and $R_{rs}$(412)/$R_{rs}$(555). This algorithm was employed on SeaWiFS imagery to estimate $R_{rs}$(412) in the South Sea, East Sea,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Sea areas. Also, SeaDAS-derived $a_{dg}$(412) from same SeaWiFS imagery, These $a_{dg}$(412) was then compared with in-situ and empirical-algorithm-derived $a_{dom}$(412), but these values were different. We think two points that such different values are caused by discrepancy related to failure of standard atmospheric correction scheme, the other are caused by error related to definition of $a_{dom}$(412) and $a_{dg}$(412).

  • PDF

한국 동해 표층수중 $^{226}Ra$$^{228}Ra$의 농도분포 (Distributions of $^{226}Ra$\;and\;^{228}Ra$in the Surface Waters of East Sea of Korea)

  • 양한섭;권영안;김규범;김성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99-405
    • /
    • 1992
  • 동해 남부 및 중부해역의 총 14개 정점에서 표층수중 Ra동위체를 $MnO_2$피복 아크릴섬유로 추출한 후 분리농축시켜 감마계측하였다. 본 연구결과, 동해표층수중 $^{228}Ra$의 농도분포는 102-232 $dpm/10^3l$ 범위로 연안정점들이 외해역 정점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보였고, 대마난류의 주류가 북상하는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226}Ra$의 농도는 70-110 $dpm/10^3l$ 범위로 $^{228}Ra$에 비해 해역별 혹은 정점별로 농도차이가 작았으나, 농도분포는 $^{228}Ra$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동해표층수중 Ra동위체의 비는 1.0-2.7 범위로 쿠로시오 표층수 보다 훨씬 큰 값이나, 황해표층수 보다는 작은 값이다. 동해표층수중 해역별 Ra동위체비의 수평분포는 $^{228}Ra$의 농도분포와 비슷하다. 동해표층수중 $^{226}Ra$$^{228}Ra$은 좋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며, 염분에 대한 $^{228}Ra$의 농도도 좋은 역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염분과 Ra동위체비의 상관관계로부터 동해표층수는 황해 및 동지나해 대륙붕수와 쿠로시오 표층수가 혼합된 것으로 사료되며, 동해표충수중 Ra동위체의 농도는 해역별 혹은 계절별로 달라진다.

  • PDF

Application of Optimum Multiparameter Analysis on Seawater Mixing in the South Sea of Korea Using Ra Isotopes

  • Lee Tongsup;Yang Han-Soeb;Kim Hyang-B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2호
    • /
    • pp.143-150
    • /
    • 2000
  • Assuming that summer surface waters in the South Sea (northern East China Sea) are formed mostly by a mixing of three source water (Changjiang Discharge Water; Kuroshio Water and Yellow Sea Surface Water) we apply optimum multiparameter (OMP) analysis to calculate the mixing ratio of each source water to a given surface water. Since OMP requires more parameters than the number of water types (three in this study), we utilize two radium isotopes of dissolved $^{226}Ra\;and\;^{228}Ra$ along with temperature and salinity. Parameter values of each source water are deduced from in situ and historical data. Results with three source of waters on the surface waters are quite promising with less than $1\%$ of unanswered portions. Results not only reproduce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salinity faithfully but also discern the water masses of similar T and S according to their source water mixing. Extending OMP analysis to a whole water column obviously requires more parameters because more source waters are involved in the water mass formation. Original OMP routine utilized dissolved oxygen and nutrients. However, they seem to be perturbed too much by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case of shallow waters. We discussed the use of other potential parameters. Also the benefit of parameter substitution is briefly introduced for the future OMP application on shallow waters.

  • PDF

동중국해권 민가의 성역(聖域)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nctuary of the Residence in East China Sea Skirts Area)

  • 윤일이;尾道建二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60-81
    • /
    • 2010
  • 우리나라 제주도에는 바다를 통해 전달된 수평적 신화가 널리 분포하고, 가족 내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고, 민가 역시 한반도 민가와 건물배치, 난방 취사 분리, 거주유형 등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여, 민가형성에 북방문화 외에 다른 문화의 전래도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반도의 남해안과 제주도 이남에 펼쳐진 동중국해(혹은 동지나해)에 접한 민가를 비교하였다. 쿠로시오가 흐르고 계절풍이 부는 동중국해 지역에는 대륙의 북방문화뿐만 아니라 단속적이지만 바다를 통한 남방문화가 복합화되어 이곳 주문화권만의 특색을 이루었다. 이에 가신들이 좌정하는 성역을 통해 동중국해 민가에 나타나는 남방문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동중국해 지역에는 해양과 관련된 수평적 신화가 주류를 이루고, 척박한 자연화경으로 반농반어 반농반채 등 이중적 생계수단을 지닌다. 가족구성은 전체적으로 모계 쌍계사회의 특성이 강한 연령계제제의 남방계 특성이 잔존하면서도, 외부적으로 대륙북방계에 원류를 두고 있는 가부장권의 특성이 상류계층과 도시에 나타나는 이중체계를 유지한다. 그래서 주택구조는 종적위계 남녀구별의 수직적 공간구성 대신에 세대별 기능별에 따른 수평적 공간구성을 이룬다. 둘째, 동중국해 지역은 정령신앙 조상숭배를 기반으로 한 토속신앙으로 가신들은 여성 농경 불과 관련성이 깊다. 부엌에서는 화신(조왕신), 곡창에서는 곡령신, 측간에서는 측신을 섬겼는데, 이들은 대부분 여신이고 사제도 주부들이 담당하였다. 이후 한 중 일 본토에서 불교 유교가 들어오면서 기존 여성중심의 무속의례에 남성중심의 불교 유교의례가 공존하는 이중적 성역을 이룬다. 셋째, 동중국해 지역에서 조왕신, 조령신, 측신들을 모시는 곳을 통해 별동형 부엌, 곡창, 돼지뒷간 등이 별동으로 존재했다가 점차 주택내로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건축기술의 발달과 생활양식 변화에 연유하였다. 또 곡창 돼지 뒷간의 고상식은 중국남부 경로와 별동형 부엌과 화신의 성격은 남양 경로와 관련이 있는 등 해양문화의 혼합성이 나타난다. 그러나 별동형 부엌 곡창 돼지 뒷간에 석재의 사용은 동중국해권 주문화권만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2004년 겨울철 황해 연안 해역 이상 수온 해석 (Analysis of Abnormal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Using Satellite Data for the Winter Season of 2004)

  • 문정언;양찬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09
  • 각종 위성자료와 현장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2004년 겨울철 황해 연안해역 이상수온 상승 현상과 외해의 해양 변동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위성자료에 의하면, 2003년 황해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10^{\circ}C$ 정도였고, 2004년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13^{\circ}C$ 정도로 약 $3^{\circ}C$ 정도 높았다. 현장관측 자료에서는 2003년 황해의 평균 표층수온은 $9.85^{\circ}C$ 정도였고, 2004년의 평균 표층수온은 $12.17^{\circ}C$ 정도로 위성자료와 마찬가지로 약 $3^{\circ}C$ 정도 높았다. T-S diagram 분석에 의하면, 2003년은 황해 수괴와 동중국해 수괴를 아주 명확하게 구분되었지만, 2004년에는 양 수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2003년의 평균 기온과 풍속은 각각 $5.23^{\circ}C$, 4.81 m/s 이고, 9004년의 평균 기온과 풍속은 각각 $5.61^{\circ}C$, 4.52 m/s 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2003년에는 북서풍이 우세하였으나, 2004년에는 다양한 북풍 계열의 바람이 불어서 풍향이 달랐다. 2004년 겨울철 황해 연안해역의 이상수온 상승은 대기의 영향보다 외해 해양 변동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기후변화와 이상기상 발생의 현황과 미래 (Overview of Climate Change and Unusual Regional Climate and the Future)

  • 문승의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3-11
    • /
    • 2000
  • The Asian summer monsoon has a profound social and economic impact in East Asia and its surrounding countries. The monsoon is basically a response of the atmosphere to the differential heating between the land mass of the Asian continent and the adjacent oceans. The atmospheric response, however, is quite complicated due to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tmospheric heat sources, land-sea contrast, and topography, The occurrence of extreme summertime floods in Korea, Japan, and China in 1998 and 1999 has highlighted the range of variability of the East Asian summertime monsoon circulation and spurred interest in investigating the cause of such extreme variability. While ENSO is often considered a prim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unusual hydrological disasters in East Asia,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ENSO and the East Asian monsoon is hampered by their dynamic complexities. Along with a recent phenomenon of weather abnormalities observed in many parts of the globe, Korea has seen its share of increased weather abnormalities such as the record-breaking heavy rainfalls due to a series of flash floods in the summers of 1998 and 1999, following devastating Yangtze river floods in China. A clear regime shift is found in the tropospheric mean temperature in the northern hemisphere middle latitude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ver the Asian continent during the summer with a sudden warming since 1977. Either decadal climate variation or climate regime shift in the Asian continent is evident and may have alt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Considering the summertime rainfall amount in Korea is overall increased lately, the 1998/99 heavy rainfalls may not be isolated episodes related only to ENSO, but could be a part of long-term climate variation. The record-breaking heavy summer rainfalls in Korea may not be direct impact of ENSO. Instead, the effects of decadal climate variation and ENSO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lso to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system, while their individual impacts are difficult to separate.

  • PDF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ge around Korea and Adjacent Area

  • Yoon, Soon-Ock;Hwang, Sang-Il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38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data of climate or environmental change in the northeastern Asi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 remarkable feature of the 18,000 BP biome reconstructions for China is the mid-latitude extention of steppe and desert biomes to the modem eastern coast. Terrestrial deposits of glacial maximum age from the northern part of Yellow Sea suggest that this region of the continental shelf was occupied by desert and steppe vegetation. And the shift from temperate forest to steppe and desert implies conditions very much drier than present in eastern Asia. Dry conditions might be explained by a strong winter monsoon and/or a weak summer monsoon. A very strong depression of winter temperatures at LGM. has in the center of continent has influenced in northeast Asia similarly. The vegetation of Hokkaido at LGM was subarctic thin forest distributed on the northern area of middle Honshu and cool and temperate mixed forest at southern area of middle Honshu in Japan. The vegetation landscape of mountain- and East coast region of Korea was composed of herbaceous plants with sparse arctic or subarctic trees. The climate of yellow sea surface and west region of Korea was much drier and temperate steppe landscape was extended broadly. It is supposed that a temperate desert appeared on the west coast area of Pyeongan-Do and Cheolla-Do of Korea. The reconstruction of year-round conditions much colder than today right across China, Korea and Japan is consistent with biome reconstruction at the LGM.

  • PDF

중국 기원 광물성 먼지 입자의 지화학 추적자 개발 및 기초 적용연구 (Development of Geochemical Tracers to Identify a Specific Source Region of Mineral Dust in China and Preliminary Test of Their Applicability)

  • 이소정;형기성;김원년;김태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169-18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ochemical tracers to identify a specific source desert of mineral dust in China using the published data. In addition, we tested the applicability of these tracers to wet-deposits and soil samples collected in Jeju, Korea. Because of similarity in trace elemental compositions of mineral dust from the major arid regions in China, such as Taklimakan, West Ordos (Badain Jaran), East Ordos (Mu Us and Hobq), East Northern China (Horqin), West Northern China (Gurbantunggut), and Chinese Loess Plateau, there has been limited to the use of geochemical data for source identification. Here we propose the four (4) plots using combination of seven (7) geochemical variables as a source indicator to distinguish one from other source regions in China: $\frac{Y}{Tb_N}$ vs. $\frac{Th}{{\Sigma}REE_N}$, $\(\frac{La}{Gd}\)_N$ vs. $\frac{Y}{{\Sigma}REE_N}$, $\frac{Th}{Tb_N}$ vs. $\frac{Y}{Nd_N}$, and $\frac{Th}{Tb_N}$ vs. $\(\frac{Ce}{Ce}\)_N^*$, where $_N$ and $\(\frac{Ce}{Ce}\)_N^*$ stand for values normalized to Post-Archean Average Shale composition and Ce anomaly, respectively. Mineral dusts from aforementioned six major deserts are distinguished one from the others by the combined use of these variables. Jeju rock and soil samples form a separate domain from Chinese mineral dusts in all four plots. In contrast, most of Jeju dust samples were comparable with the West Ordos desert (Badain Jaran) domain, indicative of strong influence of Badain Jaran dust in Jeju in spring season when the mineral dust was collected. A weak positive Ce anomaly in Jeju samples implies minimal local contribution. Our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frac{Y}{Tb_N}$ vs. $\frac{Th}{{\Sigma}REE_N}$, $\(\frac{La}{Gd}\)_N$ vs. $\frac{Y}{{\Sigma}REE_N}$, $\frac{Th}{Tb_N}$ vs. $\frac{Y}{Nd_N}$, and $\frac{Th}{Tb_N}$ vs. $\(\frac{Ce}{Ce}\)_N^*$ can be used to identify a specific source region of mineral dust in China as well as Jeju mineral 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