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ast Asia Regio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초

Establishing "Green Regionalism" Environmental Technology Generation across East Asia and Beyond

  • Shapiro, Matthew 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3권2호
    • /
    • pp.41-56
    • /
    • 2014
  • This research paper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complex interdependence among countries. Existing research has found that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the residual from the economic growth function, is hindered in the absence of a country's strong political and legal institutions or if a country does not already have a sufficiently high level of TFP. We also know that regional efforts to eliminate pollution are complex. Bridging these two areas while focusing on a high polluting yet high innovating reg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re Northeast Asian countries key collaborators in pursuit of green R&D? Are Northeast Asian countries collaborating extensively with each other?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other regions' attempts to establish these kinds of relations?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biofuels-related technology as defined in th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s "green inventory" of environmentally sound technologies is examined. Patent data is drawn from the USPTO and inventors' country origin as the unit of analysis. For the 1990-2013 period,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in the core of a small set of collaborating countries. There is evidence that their centrality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Most importantly, East Asia is becoming a singular research hub in terms of biofuels-related R&D, offering a counter in the foreseeable future to the dominance of the American and European research network hubs.

Dust and sandstorm: ecosystem perspectives on dryland hazards in Northeast Asia: a review

  • Kang, Sinkyu;Lee, Sang Hun;Cho, Nanghyun;Aggossou, Casmir;Chun, Jungwh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28-236
    • /
    • 2021
  • Backgrou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arried out to study dust and sandstorm (DSS) in terms of its ecosystem processes and relationship to other dryland disasters in Northeast Asia. Drylands are ecosystems that include grasslands, semi-deserts, and deserts, and these types of ecosystems are vulnerable due to their low primary productivity that depends on a small amount of precipitation. Results: Drought, dust, desertification, and winter livestock disasters (called dzud) are unique natural disasters that affect the region. These disasters are related in that they share major causes, such as dryness and low vegetation cover that combine with other conditions, wind, cold waves, livestock, and land-surface energy, to dramatically impact the ecosystem. Conclusions: The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illustrates the macroscopic context of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DSS according to geography, climate, and vegetation growth in the drylands of Northeast Asia. The effects of ocean climates and human activities were discussed to infer a possible teleconnection effect of DSS and its relations to desertification and dzud.

환태평양 시대의 부산항 물류산업 합리화 (The Rationalization of PDM in Pusan Port for the Period of Round Pacific Area)

  • Park, S. Y.;Park, C. S.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3-110
    • /
    • 1992
  • The most change in this century is supposed to be declination of ideology, and block of world economy. Addition to down full of cold war atmosphere around Northeast Asia, not only economic and social mood in this region is dramatically changed, but also it gave birth to the block of Northeast economy that accerlated new hub of world economy. According to dramatic change of economic surroundings the dynamic potential of growth in this region will be guided to enlarge inter-regional trade and increase volume of trade, thus suggests to grow steadily transportation. cargos in this region will have to arrange the system of delivery and inner transportation, accessary facilities, inter-regional harbors if North America and EC has connected easily. As have accerlated GATT and UR represented multilateralism and regionalism, it has regulated to increase trades of region due to relief of the trade barrier through specific areas has agreed with separately. The flow of regionalism of world economy has appeared to realize EC and NAFTA centered U.S.A, and also has presented to free trade region or one-size market agreement in Asia as APEC, EAEG in Malaysia, and etc. In defense to this block and internationalism of world economy, Pusan has to come forward to the hub of Northeast others has proposed a project to dominate the Northeast, Economy Association Agreement as Far East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in USSR, Hunchun development project in NK, and East Sea development project in PRC, Niigate regional development in Japan, Duman River development project in NK, and East Sea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As this exercise has proceed, Pusan also have arranged development strategy definitely and prepared provisions systematically. Engaging to participate center of delivery system is meant to be completed complex functions, namely the transfer storage processing & assembly function of international commodity. Pusan has ability to be terminal point of TSR. it had been connected to EC as the biggest economy block and TKR as complex transportation root to Far East, it would be the center of inground and seabase delivery terminal to Rotterdom as the biggest container pier and major piers to North-East and South East Asia. In order to provide a Role of 21 century's internationalization, Pusan has appealed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inform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onnected to Pohang-Ulsan-Changwon-Masan, and has utilized efficiently the resources such as man, material, money and information.

  • PDF

동북아 항공물류허브을 구축하기 위한 다자적 접근방안 (Multilateral Approach to forming Air Logistics Hub on North East Asia Region)

  • 홍석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7-136
    • /
    • 2004
  • 동북아 항공운송시장에서는 중국시장의 개방으로 항공운송시장이 전에 없는 급팽창을 하고 있으며, 전 세계 항공운송시장에서 아시아-태평양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향후 점차적으로 확대될 이 지역의 인적, 물적, 서비스 그리고 정보의 교류를 위해서는 동북아 역내에서 보다 자유로운 항공편의 연결이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에서는 지역 내 항공운송시장 통합을 위한 동북아 항공운송시장에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국의 국내 항공운송시장에 대한 정책 변화가 필요하고, 둘째, 각 국 국내시장의 자유화 정책의 확대, 셋째, 동북아 지역 내의 양자협정의 보다 자유로운 항공협정의 체결이 필요 넷째, 동북아 항공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각 국 항공사 간 전략적제휴의 확대, 다섯째, 경쟁력 있는 공항 및 노선 또는 저수요 노선부터 단계적으로 자유화 실시, 여섯째, 동북아 3 국의 주요 공항 간 셔틀 운영 필요, 일곱째, 동북아 삼국간 국제표준의 항공안전 및 보안체계의 공동 구축, 여덟째, 항공 외의 분야에서 우선적 자유화 추진, 마지막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민간항공기구의 설립과 한, 중, 일간의 협의기구를 설립하여 각 국이 정기적으로 항공운송시장의 통합과 자유화에 대한 의견 개진을 통한 점진적인 자유화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동북아에서 항공자유화를 위한 단기적 차원의 진전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중국 항공사의 계속적인 성장과 일본계 항공사들의 저비용 구조화에 대한 진전이 이루어질 경우 의외로 조속한 항공운송시장의 통합이 이루어질 수 도 있다. 항공운송시장은 과거 25년간 대변혁의 과정을 겪었다. 대 변혁의 과정 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것은 자유화였으며, 그 결과로 요금은 인하되고, 항공수요는 증가하였다. 이로써 침체되어있던 항공운송산업은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자유화 정책의 확대 추진을 통해서 만이 지역 내 교류를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이를 주도한 국가가 지역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동북아 부가가치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Value Added Petroleum Logistics in Northeast Asia)

  • 박지웅;이충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9-172
    • /
    • 2023
  • 한·중·일을 포함하는 동북아지역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역내외 석유물류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대외적인 환경하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 동북아 석유물류허브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동북아 물류허브화를 위해서는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과 촉진이 중요하다. 동북아 지역에서 우리나라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석유물류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체 23개 탱키지 업체를 대상으로 면담조사에 의한 사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조사한 대부분의 유류저장탱크터미널업체들은 블랜딩, 소분화, 집적화와 같은 부가가치 석유물류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발생은 주변국들간 수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 오세아니아, 미국, 남미 등을 연결하는 소분화와 블랜딩 수요가 높다. 셋째, 부가가치 물류수요에 대응한 인프라, 제도 및 규제 등에 대한 개선을 통해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활성화를 촉진해야 할 것이며 이는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정책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인천국제공항의 허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 비행편 서비스망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ight Service Network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be a Successful Hub Airport in Northeast Asia)

  • 유광의;이영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43-156
    • /
    • 1998
  •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 허브 공항으로서 성공하려면 동 공항을 중심으로 한 비행편 구성이 경쟁 공항보다 효율적이어야 한다. 본 논문은 항공여행자의 비행편 선택 행위를 분석하여 인천국제공항 허브화 성공을 위한 비행편 구성 계획에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규제가 완화된 시장에서는 소비자의 선호 파악에 기초한 사업 계획이 유효하므로 비집계형 선택모델에서 산출할 수 있는 여행시간가치, 운항빈도와 여행시간의 대체율 등을 이용하여 비행편 구성 계획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탱크터미널 운영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우리나라의 동북아 석유물류허브 정책에 대한 시사점 (A Study on Global Strategies of Tank Terminal Operators and Implications for Korea's Oil Hub Policy in Northeast Asia)

  • 이충배;박선영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86
    • /
    • 2009
  • 최근 세계 에너지시장의 불안정성이 심화되면서 에너지 안보 확립을 위한 국가 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터키, 싱가포르 등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지 못한 국가들이 에너지 자원의 물류중심지를 구축함으로써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국가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물리적, 제도적인 요인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오랜 기간 석유시장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 동북아 지역에서의 석유제품의 수출입이 증가하면서 지역내 경제적 석유확보와 석유안보 도모 및 유리한 개발 이익을 거두기 위해 동북아 지역에서의 석유물류 중심지의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의 항만 여건을 포함한 지리적 요건과 전반적 기반 시설은 중국, 일본과 같은 동북아에 다른 국가들에 비해 석유중심지로서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은 지금까지 아시아 석유중심지로 역할을 해온 싱가포르를 대신하여 동북아의 석유물류중심지로의 큰 잠재력과 기회를 갖고 있다. 동시에 충분한 상업적 저장 시설, 항만 배후지를 포함한 제한된 항만시설, 석유거래시장의 미발달, 비즈니스 친화적이지 못한 환경으로 인한 외국기업 활동의 어려움 등의 약점과 장애요인을 안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탱크터미널 회사로는 독일 함부르크(Hamburg)에 본부를 두고 있는 독일계 오일탱크(Oiltanking), 로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있는 네덜란드계 보팍(Vopak), 그리고 오드펠(Odfjell)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주요국의 석유물류중심지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이들 기업의 유치 전략 등에 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 PDF

동북아 전력계통 연계를 통한 융통전력 도입 시 가격상한 수준에 대한 분석 (Estimation of Electricity Price of the Imported Power via Interstate Electric Power System in North-East Asia)

  • 김홍근;정구형;김발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5권3호
    • /
    • pp.128-132
    • /
    • 2006
  • Interstate electric power system, as an alternative for energy cooperation under regional economic bloc, has been hotly debated before progressing the restructure in electric power industry and rapidly expanded in many regions after 1990s. Especially, since northeast asia has strong supplementation in resource, load shape, fuel mix etc., electric power system interconnection in this region may bring considerable economic benefits. Moreover, since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has a great difficulty in a geographical condition to interrupt electricity transaction with other countries, it has been expanded as an independent system to supply all demand domestically. As a result,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makes considerable payment for maintaining system security and reliability and expands costly facilities to supply a temporary summer peak demand. Under this inefficiency, if there are electricity transactions with Russia via the North Korea route then economic electric power system operation nay be achieved using seasonal and hourly differences in electricity price and/or load pattern among these countries. In this paper, we estimate price cap of transacted electricity via interstate electric power system in northeast asia. For this study, we perform quantitative economic analysis on various system interconnection scenarios.

Mapping Philippine Studies in North East Asia: A SWOT Analysis of Southeast Asian Studies Programs from China, Japan, and Korea

  • Laranjo, Ronel O.
    • 수완나부미
    • /
    • 제12권1호
    • /
    • pp.111-130
    • /
    • 2020
  • This paper introduces the different Southeast Asian Studies academic programs of three universities in northeast Asia namely: Peking University (China);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Japan); and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hilippines as part of Southeast Asian studies program in the said universities. The researcher utilized archival work related to the Southeast Asian studies programs of each universit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background of faculty, and motivations of students in studying Southeast Asian studies by conducting interviews and surveys. Strength, Weakness, Opportunities, Threats (SWOT) Analysis was employed by the researcher in analyzing the data from the different universities. Finally, in mapping out the teaching of Filipino language and Philippine-related subjects, this paper argued that Northeast Asian universities established a Southeast Asian Studies focused on Philippines because of various socio-economic-political factors, and not only because of the Filipino diaspora in the region.

  • PDF